• 제목/요약/키워드: armor block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17초

소파블록의 안정성 평가에 대한 새로운 실험방법 제안 (Proposal of a New Experimental Method for Evaluating the Stability of Armor Blocks)

  • 김신웅;이성대;이광호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131-138
    • /
    • 2021
  • 소파블록은 제체의 보호와 파랑에너지 소산을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피복된 블록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소파블록의 안정성은 주로 수리모형실험으로부터 산정되는 안정계수를 통해 평가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소파블록인 K-블록을 활용하여 블록의 맞물림 효과를 포함한 안정성 평가를 위해 인발력에 기반한 새로운 안정성 실험방법을 제시하였다. 소파블록의 인발 실험은 일정 경사면 소파블록을 설치하고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인장력을 작용시켜 사면 상의 피복층으로부터 블록이 분리되는데 필요한 힘을 직접 계측하는 방법이다. 제안된 실험방법은 소파블록의 맞물림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맞물림 영향에 의한 단층 피복블록(K-블록)의 높은 안정성을 검증하였다.

국내 항만의 방파제 피복 블록의 신뢰성 해석 (Reliability Analyses of Breakwater Armor Blocks of Harbors in Korea)

  • 김승우;서경덕;이철응;박동헌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15-29
    • /
    • 2009
  • 방파제 피복 블록은 주로 Hudson 공식과 van der Meer 공식을 사용하여 설계되고 있다. 각 공식을 사용하여 저항과 하중이 같아지는 최소 중량을 각각 산정하며 그 중 큰 값을 설계중량으로 채택한다. 이렇게 설계된 국내 무역항 12곳과 연안항 8곳의 방파제 피복 블록에 대하여 신뢰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신뢰성 해석 결과 산정된 파괴확률은 각 항만별 피복 블록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최소 중량으로 설계한 경우에 파괴확률은 모든 항만에서 거의 비슷하게 계산되어 기존 방파제 피복 블록의 안전수준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결정론적 설계법의 설계 기준인 안전율과 신뢰성 설계법의 설계 기준인 파괴확률은 뚜렷한 선형관계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기존 구조물의 파괴확률은 안전율을 통해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결과는 향후 방파제 피복블록의 목표파괴확률을 결정하는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파향의 변동성을 고려한 방파제 피복 블록의 기대피해 계산 (Calculation of Expected Damage to Breakwater Armor Blocks Considering Variability In Wave Direction)

  • 서경덕;권혁민;윤현덕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1-3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1996년에 Hanzawa et al.이 수평혼성방파제 피복 블록의 기대피해를 계산하기 위해 개발한 신뢰성 설계법을 방향 불규칙 파의 방향 분산, 심해 설계 주파향이 해안선에 직각 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진 각도, 심해 주파향의 설계치에 대한 편차 등과 같은 파향의 변동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확장하였다. 심해로부터 방파제 설치 위치까지의 파랑 변형을 계산하기 위하여 Hanzawa et al.은 평행한 등심선을 갖는 직선 해안에 직각으로 입사하는 일방향 불규칙파를 가정하여 1975년에 Goda가 개발한 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방향 불규칙파의 변형을 계산하기 위하여 1997년에 Kweon et al.이 개발한 모형을 사용하였다 계산 결과. 파향의 변동성이 피복 블록의 기대피해 계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만일 본 연구에서 가정한 바와 같이, 방파제에 직각으로 입사하는 파랑에 대한 피복석의 안정공식이 비스듬히 입사하는 파랑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면 파랑의 방향성을 무시한 종래의 설계법은 수심과 바닥경사에 따라 기대피해를 두 배 정도까지도 과대산정 혹은 과소산정 할 수 있을 것이다.

경사식방파제의 피복재 안정성에 대한 비교 실험 (Hydraulic Model Test for Armor Stability of Rubble-Mound Breakwaters)

  • 이종인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49-25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사석, cube및 tetrapod를 대상으로 불규칙파를 적용하여 경사식방파제의 피복재 안정성에 대한 2차원 실험을 수행하였다. 파복재 중량산정식으로는 Hudson식과 van der Meer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Hudson식은 규칙파, van der Meer식은 불규칙파를 적용한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식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Hudson식과 van der Meer식을 비교 검토하는 것이다

확률신경망을 이용한 방파제 피복재 설계 (Estimation of the Stability Number of Breakwater Armor Blocks Using Probabilistic Neural Networks)

  • 김두기;김동현;장성규;장상길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0-76
    • /
    • 2006
  • A Probabilistic neural network (PNN) technique for predicting the stability number for the armor blocks of breakwaters is presented. A PNN is prepared using the experimental data of van der Meer and is then compared with the empirical formula and previous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model. This comparison shows that a PNN can effectively predict the stability numbers in spite of data complexity, incompleteness, and incoherence, and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the designers of rubble mound breakwaters to support their decision process and to improve design efficiency.

Core-Loc소파구조물의 안정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the Stability of Core-Loc Armour Structure)

  • 윤한삼;남인식;김종인;류청로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4-158
    • /
    • 2000
  • Hydraultic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2-D were flume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o the breakwaters, the destruction of armor blocks and overtopping under irregular wave attack on the structures armored by \`Core-Loc\`. Overtopping rate and stability were examined and compared when armored by Core-Loc and by T.T.P. Results shows both type of blocks are stable and overtopping rates are similar in the adopted experimental condition. Therefore Core-Loc can replace some portion of T.T.P. which is uniquely used in Korea. Further integrated experimental data with Core-loc are need for destruction mechanism or overtopping rate.

  • PDF

국내에서 시공된 Tetrapod 피복재에 대한 Hudson 공식의 부분안전계수 산정 (Evaluation of partial safety factors of Hudson formula for Tetrapod armor units constructed in Korea)

  • 김승우;서경덕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345-356
    • /
    • 2009
  • 국내 항만의 경사제 피복재는 대부분 Tetrapod이다. Hudson 공식은 국내 항만의 방파제 피복블록의 설계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Tetrapod에 대한 Hudson 공식의 하중과 저항의 부분안전계수를 산정하였다. 국내 무역항 12곳과 연안항 8곳의 대표단면을 채택하여 하중과 저항의 부분안전계수의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산정하였다. 또한 부분안전계수의 평균을 US Army(2006)에서 제안한 부분안전계수와 비교하였다. US Army의 결과와 비교해 볼 때, 하중의 부분안전계수는 비교적 작게 산정되었고 저항의 부분안전계수는 약간 크게 산정되었다. 하지만, 하중과 저항의 부분안전계수를 곱한 전체안전계수는 US Army의 결과와 비슷하다.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 항만의 방파제 피복블록에 대한 최종적인 부분안전계수를 제안하는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Impact of the Thruster Jet Flow of Ultra-large Container Ships on the Stability of Quay Walls

  • Hwang, Taegeon;Yeom, Gyeong-Seon;Seo, Minjang;Lee, Changmin;Lee, Woo-Dong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03-413
    • /
    • 2021
  • As the size of ships increases, the size and output power of their thrusters also increase. When a large ship berths or unberths, the jet flow produced from its thruster has an adverse effect on the stability of quay wall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numerical analys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thruster jet flow of a 30,000 TEU container ship, which is expected to be built in the near future, on the stability of a quay wall. In the numerical simulation, we used the fluid-structure interaction analysis technique of LS-DYNA, which is calculated by the overlapping capability using an arbitrary Lagrangian Eulerian formulation and Euler-Lagrange coupling algorithm with an explicit finite element method. As the ship approached the quay wall an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thruster approached the mound of the quay wall, the jet flow directly affected the foot-protection blocks and armor stones. The movement and separation of the foot-protection blocks and armor stones were confirmed in the area affected directly by the thruster jet flow of the container ship. Therefore, the thruster jet flows of ultra-large ships must be considered when planning and designing ports. In addition, the stability of existing port structures must be evalu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