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kfill inclinatio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8초

An analytical expression for the dynamic active thrust from c-φ soil backfill on retaining walls with wall friction and adhesion

  • Shukla, Sanjay K.;Bathurst, Richard J.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4권3호
    • /
    • pp.209-218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the derivation of an analytical expression for the dynamic active thrust from c-${\phi}$ (c = cohesion, ${\phi}$ = angle of shearing resistance) soil backfill on rigid retaining walls with wall friction and adhesion. The derivation uses the pseudo-static approach considering tension cracks in the backfill, a uniform surcharge on the backfill, and horizontal and vertical seismic loadings. The development of an explicit analytical expression for the critical inclination of the failure plane within the soil backfill is described. It is shown that the analytical expression gives the same results for simpler special cases previously reported in the literature.

좁은 공간의 형상에 따른 되메움 토압에 관한 연구 (Lateral Earth Pressure with The Shape of Narrow Space with Backfill)

  • 허경한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89-96
    • /
    • 2008
  • 본 연구는 되 메움 된 굴착 양측 벽이 비대칭으로 경사진 경우에 대하여 벽체간의 폭, 벽면경사각, 상대밀도, 벽면마찰각의 크기를 변화시켜 Kellogg의 이론과 이를 보완한 수정식으로 토압을 산정하고 또한, 벽면마찰반력을 고려한 토압 식을 제안하여 상호간 거동을 구명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구한 지중 토압을 검증하기 위하여 총 62종류의 모형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이론식에 의한 거동과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결과 양측 벽이 비대칭으로 경사진 경우, 되 메움 토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벽체경사각의 크기였으며, 또한 되 메움 공간이 협소할수록 그리고 수평면과 이루는 벽체의 경사각이 클수록 벽 마찰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한편, 실측토압과 가장 근소한 차이를 나타낸 것은 벽면마찰반력을 고려한 제안 식으로 구한 경우였으며 또한, 벽면사이의 폭이 좁은 경우 아칭효과가 크게 나타나 실측토압 및 제안된 이론토압모두 지중 토압과 가장 근소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블록식 보강토 옹벽 설계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Design Program for Block-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 이충원;유지훈;민연식;장동수;임현택;문용배;김승태;김용성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6권6호
    • /
    • pp.75-84
    • /
    • 2014
  •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program for design of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For this purpose, the external stability such as overturning, sliding and bearing capacity and the internal stability such as pull-out failure and tensile rupture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with the reinforcement spacing and the backfill inclination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calculated results from the developed program were verified by comparing with the simulated results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this program contributes to effective design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원심모형실험기를 이용한 철도 교대접속부 배면 기울기 및 형상에 따른 성능비교 (Comparison of Performance with Backfill Inclination Slope and Shape in Railway Abutment and Transitional Zone Using Centrifuge Model Tester)

  • 최찬용;김현기;박정현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85-93
    • /
    • 2018
  • 현행 고속철도 교대 접속부 표준단면은 교대배면에서부터 시멘트안정처리골재, 일반골재, 토공부로 하부 지지강성이 점진적으로 변화하도록 설계하고 있다. 일반골재와 토공부의 배면기울기는 기울기가 클수록 구조적으로 안정적이지만 이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형 원심모형실험기를 이용하여 교대 뒤채움 배면구간의 토공과 일반골재의 기울기를 변화하여 현행 표준단면과 침하 및 지지력 특성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철도하중이 경험하는 하중단계에서는 1:2단면과 1:1.5 기울기 단면이 거의 유사한 성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강성사면에 인접한 옹벽의 거동에 관한 연구 (Behavior of Retaining wall near Rigid slopes)

  • 유남재;이명욱;박병수
    • 산업기술연구
    • /
    • 제18권
    • /
    • pp.405-415
    • /
    • 1998
  • This thesis is an experimental and numerical research on bearing capacity acting retaining walls close to rigid slopes with stiff angles.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changing the roughness of adjacent slope to the wall, its inclination, distance between wall and slope. Vertical stress and applied surcharge loads were measured by miniature earth cells and a load cel respectively. Stress distribution Vertical Settlement of surcharge load of rigid model footing were measured by LVDTs. Bearing capacities of surcharge loads were compared with theoretical estimations by using several different methods of limit equilibrium and numerical analysis. For limit equilibrium methods, the modified silo and the wedge theories, proposed by Chung sung gyo and Chung in gyo (1994) were used to analyze test results Based on those modified theories, the particular solution with the boundary condition of surcharge loads on the surface of backfill was obtained to find the stress distributions acting in the backfill and to compare with test results. From results of surcharge test with model wall being very close to the slope, analyzed results by the modified silo theory and to be in the better agreements than other methods.

  • PDF

Effect of seismic acceleration directions on dynamic earth pressures in retaining structures

  • Nian, Ting-Kai;Liu, Bo;Han, Jie;Huang, Run-Qiu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7권3호
    • /
    • pp.263-277
    • /
    • 2014
  • In the conventional design of retaining structures in a seismic zone, seismic inertia forces are commonly assumed to act upwards and towards the wall facing to cause a maximum active thrust or act upwards and towards the backfill to cause a minimum passive resistance. However, under certain circumstances this design approach might underestimate the dynamic active thrust or overestimate the dynamic passive resistance acting on a rigid retaining structure. In this study, a new analytical method for dynamic active and passive forces in c-${\phi}$ soils with an infinite slope was proposed based on the Rankine earth pressure theory and the Mohr-Coulomb yield criterion,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eismic inertia force directions on the total active and passive forces. Four combinations of seismic acceleration with both vertical (upwards or downwards) and horizontal (towards the wall or backfill) directions, were considered. A series of dimensionless dynamic active and passive force charts were developed to evaluate the key influence factors, such as backfill inclination ${\beta}$, dimensionless cohesion $c/{\gamma}H$, friction angle ${\phi}$, horizontal and vertical seismic coefficients, $k _h$ and $k_v$. A comparative study shows that a combination of downward and towards-the-wall seismic inertia forces causes a maximum active thrust while a combination of upward and towards-the-wall seismic inertia forces causes a minimum passive resistance. This finding is recommended for use in the design of retaining structures in a seismic zone.

Seismic lateral earth pressure analysis of retaining walls

  • Ismeik, Muhannad;Shaqour, Fathi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8권4호
    • /
    • pp.523-540
    • /
    • 2015
  • Based on limit equilibrium principles, this study presents a theoretical derivation of a new analytical formulation for estimating magnitude and lateral earth pressure distribution on a retaining wall subjected to seismic loads. The proposed solution accounts for failure wedge inclination, unit weight and friction angle of backfill soil, wall roughness, and horizontal and vertical seismic ground accelerations. The current analysis predicts a nonlinear lateral earth pressure variation along the wall with and without seismic loads. A parametric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various parameters on lateral earth pressure distribution. Findings reveal that lateral earth pressure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horizontal ground acceleration while it decreases with the increase of vertical ground acceleration. Compared to classical theory, the position of resultant lateral earth force is located at a higher distance from wall base which in turn has a direct impact on wall stability and economy. A numerical example is presented to illustrate the computations of lateral earth pressure distribution based on the suggested analytical method.

조립식 격자 옹벽의 변형거동에 관한 모형실험 연구 (A Study on the Deformation Behavior of the Segmental Grid Retaining Wall Using Scaled Model Tests)

  • 배우석;권영철;김종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7권5호
    • /
    • pp.350-359
    • /
    • 2007
  • 노천광산이나 도로 철도의 대절토사면 등은 급경사를 형성하며 대부분이 토양층을 포함하지 않는 암반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암반 비탈면은 풍화와 파쇄가 발달해 있으며 경사가 심하여 표면침식에 의한 탈락과 붕괴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암반 비탈면의 붕괴억제 등 토압의 지지를 위해 가장 널리 쓰이는 토류 구조물로는 현장 타설식 콘크리트 옹벽이나 석축 등이 있으며, 기존의 옹벽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는 구조물로 기성 부재를 결합하여 시공하는 조립식 격자옹벽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립식격자옹벽의 변형거동을 평가하기 위해 배면 strecher의 형상과 벽체의 높이와 경사에 따른 실내모형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형실험을 통해 옹벽경사의 변화에 따른 상대적인 변위를 측정하고 위치별 변위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옹벽을 구성하는 header와 strecher 중 상부하중 전달의 역할을 수행하는 rear strecher의 유 무와 rear strecher의 형태에 따른 옹벽의 거동특성, 옹벽 배면채움재의 변위 특성 및 작용점의 위치를 측정하고 조립식 격자 옹벽의 하중-변위 특성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조립식 격자 옹벽의 파괴는 옹벽의 높이가 감소함에 따라 파괴하중이 급격히 증가하고 최대변형률의 크기가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동일한 경사와 높이에서 rear strecher의 형태는 최대수평변위 발생위치와 변형의 크기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며 벽체의 경사에 더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석방지벽에 작용하는 토압의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arth Pressure to a Debris-fall Prevention Wall)

  • 윤남식;박용원;박명수;최이진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41-48
    • /
    • 2008
  • 이 논문은 가파른 경사면 전면에 시공되는 낙석방지벽에 작용하는 토압의 특성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낙석방지벽 배면되메움 공간은 주동상태의 흙쐐기가 완전히 형성될 만큼의 공간이 없고, 토압의 특성은 벽체의 이동과 벽체와 절취사면 사이의 좁은 간격에서 발생하는 아칭 효과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해석적으로 신뢰성 있는 규명이 되지 않고 있다. 연구는 실내에서 축소모형에 대한 원심력시험을 통하여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는 낙석방지공 배면토압이 지반의 경사각과 벽체이동에 크게 영향 받음을 보여주었다 벽체상반부에서는 벽체이동에 의한 토압감소가. 하반부에서는 아칭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남을 보였다. 이 연구결과에 의하면 낙석방지벽 설계에서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은 지반경사와 공사중 또는 완공후의 벽체 이동조건을 고려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