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k thickness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초

산칠량(産漆量)이 많은 옻나무개체의 선발(選拔)에 관한 연구(硏究) (Mass Selection for Increased Lacquer Yield of Rhus verniciflua Stokes)

  • 현정오;김만조;이세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2호
    • /
    • pp.122-127
    • /
    • 1993
  • 본(本) 연구(硏究)는 옻나무의 칠액생산(漆液生産)을 증대(增大)시키기 위한 육종계획(育種計劃)의 일환으로 산칠량(産漆量)이 많은 옻나무 개체선발(個體選拔)에 관여하는 여러가지 형질(形質)들의 규명 및 옻나무의 간접선발(間接選拔)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임의로 선정된 24본의 표본목을 대상으로 생장인자(生長因子) 및 수피형질(樹皮形質)과 수피내(樹皮內) 옻산함량과의 상관분석을 한 결과 수피의 옻산함량은 외피(外皮)두께 및 칠액구(漆液構)의 수(數)와는 1%, 내피(內皮)두께와는 5% 수준의 유의상관을 나타내어 수피두께와 단위면적당 칠액구(漆液溝) 수(數)가 산칠량(産漆量)이 많은 옻나무의 간접선발(間接選拔) 기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800여본(本)의 선발(選拔) 대상목 중 수피의 옻산함량에 의거하여 옻산함량이 가장 높은 16개체(個體)를 산칠량(産漆量)이 많은 선발목(選拔木)으로 최종 선발(選拔)하였다. 선발목(選拔木)들은 임의로 선정된 표본목들에 비해 수피가 두껍고 수피의 2차 사부조직내(篩部組織內) 칠액구(漆液溝)의 수(數)가 많으며 칠액구(漆液溝)의 크기가 크고 고르게 발달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Kozak 수간곡선 모형을 이용한 아까시나무 입목재적표 개발 (Development of Stem Volume Table for Robinia pseudoacacia Using Kozak's Stem Profile Model)

  • 손영모;전준헌;표정기;김경남;김소원;이경학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6호
    • /
    • pp.43-49
    • /
    • 2012
  • 본 연구는 수간곡선식을 이용하여 아까시나무의 입목 수간재적표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용한 수간곡선식은 Kozak 모형이었으며, 모형의 모수를 추정하였다. 추정한 모형은 통계적으로 적합성이 인정되었으며, 잔차분석 결과도 양호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따라서 본 모형이 아까시나무 수간재적표를 조제함에 있어 충분히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수간재적표는 이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수피 포함 및 수피제외 재적표를 조제하고자, 수피두께추정식을 개발하여 이용하였다. 수피두께추정식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본 모형이 아까시나무 수간재적표를 조제함에 있어 충분히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한 아까시나무의 수간재적표는 임학뿐 만 아니라 타 분야에 널리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CEPA 처리(處理)가 옻나무의 칠액분비(漆液分泌) 및 수피생리(樹皮生理)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EPA on the Secretion of Lacquer and Bark Physiology of Lactree(Rhus verniciflua Stokes))

  • 최태봉;김만조;현정오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1호
    • /
    • pp.116-125
    • /
    • 2000
  • 본 연구는 CEPA(2-chloroethyl phosphonic acid)처리가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의 수피생리 및 해부학적 변화와 칠액의 분비촉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강원도 횡성군에 조성된 7년생 옻나무단지에서 크기가 비슷하고 생장이 균일한 개체 40본을 선발하여, CEPA가 각각 0%, 0.1%, 1%, 10% 함유된 lanolin pastes를 1.2m 높이에서 4방향으로 처리하고 5주 후 농도별 수피두께와 수피내 옻산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수피조직의 해부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수피조직을 광학현미경하에서 관찰하였다. CEPA 처리시 수피의 내피두께는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수피내 옻산 생산량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CEPA 0.1% 처리시 평균 내피두께는 1.65mm이고, 1% 처리구는 1.96mm였으며, 10% 처리구에서 3.59mm로 대조구의 1.43mm에 비해 약 2.5배 증가하였다. 이는 사부조직의 확대와 세포간극이 넓어진 것에 기인한다. 또한 CEPA에 의해 수피내 옻산 분비가 촉진되어 CEPA 처리목은 무처리목에 비해 더 많은 양의 옻산을 분비하였다. 수피내 단위면적당 평균 옻산함량은 CEPA 0.1% 처리구의 경우 $5.11mg/cm^2$이였고, 1% 처리구는 $6.86mg/cm^2$였으며, 10% 처리는 $12.12mg/cm^2$으로 대조구의 $4.29mg/cm^2$보다 2.8배 증가하였다. 옻나무 내피를 해부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단위면적당 칠액구 수에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전체 칠액구 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칠액구의 크기가 외피쪽으로 갈수록 현저히 커졌다. 또한 CEPA를 처리한 나무의 경우 유세포가 치밀하였으며, ray층 수가 무처리구의 경우 1-2층인데 반하여 처리구에서는 2-3층으로 잘 발달되어 있었다.

  • PDF

표고재배용(栽培用) 참나무 원목(原木)의 수종별(樹種別) 털두꺼비하늘소의 산란빈도(産卵頻度) (Differences in Ovipositional Frequency of Oak Longicorn Beetle (Moechotypa diphysis) by Oak Species Used for Lentinula edodes Cultivation Logs)

  • 구창덕;김재수;김길하;한규성;조남석;박재인;민두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4호
    • /
    • pp.533-540
    • /
    • 1999
  • 표고 재배용 참나무류 중에서 굴참나무는 수피가 두꺼워서 참나무의 내수피 (2차 사부조직)에 알을 낳는 털두꺼비하늘소(Moechotypa diphysis)의 산란을 어렵게 하였다. 굴참나무의 수피 두께는 평균 7.4 mm로서 다른 참나무 수종(신갈은 평균 1.1mm, 졸참은 1.3mm, 상수리는 2.0mm) 보다 3-7배나 두꺼웠다. 내수피의 두께는 상수리가 4.8mm로 가장 두껍고 다른 수종은 3.6-3.9mm 였다. 털두꺼비하늘소가 원목의 수피에 뚫은 산란공의 외부형태는 굴참나무에서 $8-12mm{\times}6-8mm$ 크기의 넓은 타원형이었으며, 다른 3수종에서는 $5-9mm{\times}1-5mm$로 좁은 타원형이었다. 털두꺼비하늘소는 굴참나무 조사목 중 9%의 원목(1.2m 길이)에 원목당 평균 3개의 산란공을 뚫었으며, 실제로 산란공에 알이 있는 비율은 15%였다. 반면에 이 하늘소가 선호하여 산란하는 수종은 신갈나무로서 조사된 원목 32개의 전부에 산란공을 뚫었으며, 원목당 산란공 수는 평균 20개, 그 산란공에 알이 있는 빈도는 56%였고, 이 중에서 35%가 6월초에 이미 부화하여 유충이 내수피를 가해하고 있었다. 털두꺼비하늘소가 산란하는데 선호하는 참나무 수종은 수피가 매끈하고 표피가 잘 벗겨지지 않는 얇은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he First Case of Successful Bark Implantation of a 250-year-old Zelkova Tree Heavily Damaged by Artificial Girdling

  • Ryu, Seong Ho;Kim, Gyoung Hee;Koh, Young Jin
    • 식물병연구
    • /
    • 제24권3호
    • /
    • pp.237-241
    • /
    • 2018
  • A circular bark with a 30 cm width was artificially removed from the trunk of a 250-year-old zelkova tree (Zelkova serrata) heavily damaged by artificial girdling in Sunchang, Jeonbuk Province in March of 2005. The debarked area was cleaned approximately 10 days after artificial girdling and bark margins with 2 cm width above and below the girdled portion were cut off to promote wound callus formation. Nine pieces of fresh bark (width 8 cm, length 35 cm, thickness 0.5 cm) were then prepared from branches of neighbor zelkova trees broken by heavy snowfalls and pasted onto the girdled portion of the tree, after which a Vaseline dressing was applied to water-proof the area and rubber bars were used to hold the implants to the trunk. Two pieces of the implanted fresh barks were successfully grafted onto the girdled area and the damaged tree has been vigorously growing over 13 year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of successful bark implantation to cure a 250-year-old zelkova tree heavily damaged by artificial girdling. This bark implantation technique will be utilized for the conversation and management of heavily damaged big and old trees in the future.

목재수피 파티클의 흡음율과 음향투과손실 (Sound Absorption Rate and Sound Transmission Loss of Wood Bark Particle)

  • Kang, Chun-Won;Jang, Eun-Suk;Jang, Sang-Sik;Kang, Ho-Yang;Kang, Seog-Goo;Oh, Se-Cha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425-441
    • /
    • 2019
  • 목재수피의 음향성능을 파악하고자 6가지 수종의 목재수피를 삭편으로 절삭하여 몇 가지 비중조건과 두께로 만든 후 흡음율과 음향투과손실을 전달함수법과 전달행렬법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 편백나무수피가 두께 100 mm 일 때의 100-6400 Hz 평균흡음율은 0.90이며 두께 50 mm 일때의 100-6400 Hz 평균흡음율은 0.84이다. 특히 두께 100 mm 일 때의 경우, 1 KHz의 주파수영역에서의 흡음율은 약 100%에 근접하는 높은 흡음율을 나타내었다. 음향투과손실은 측정주파수범위에서 편백나무수피는 500 Hz에서 15.30 dB의 투과손실을 나타내었고 1000 Hz 수치는 15.73 dB이었다. 10 mm 두께의 합판을 수피파티클 배면에 추가한 후에는 투과손실이 20-30 dB 증가하였다. 목재수피는 친환경적이면서 기존의 석고보드보다 흡음율이 높고 음향투과손실이 크게 나타나서 음향성능이 우수한 건축재료로 고려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수종 한국산 나자식물 수피의 형태학적 연구 (Bark Morphology of Some Korean Gymnosperms)

  • 김경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4호
    • /
    • pp.339-358
    • /
    • 1992
  • 한국산 나자식물 6개과에서 대표적인 1종씩을 선정하여 수피의 특징을 형태 및 해부학적으로 조사하고 기재하였다. 수피를 인위적으로 조직단위로 간주할 경우 수피의 색, 두께, 내수피와 외수피의 두께, 확장조직의 유무 및 발달정도, 조피내 주피의 층우와 주피의 층수와 주피의 구성요소들의 두께, 2기 사부지역 각 구성요소들의 배열양상과 점유면적 비율 등은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또한 보강세포의 형태와 사세포의 사역 등도 앞으로 상세한 조사가 수행될 경우 비교형태학적 연구에 매우 가치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Growth Analysis of Red Pine (Pinus densiflora) by Stem Analysis in the Eastern Region of Korea

  • Seo, Yeongwan;Lee, Daesung;Choi, Jungke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1권1호
    • /
    • pp.47-54
    • /
    • 2015
  • The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growth of the red pine (Pinus densiflora) in the Eastern Region of Korea. Stem profile data from a total of 8 dominant trees of which each tree represents its site were collected and used for the analysis. The stem volumes were calculated using Smalian's formula and much higher than the ones b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in larger than dbh 40 cm. The total bark volumes were more proportionally related to dbh and stem volume than to height and age. The bark thickness and volume decreased as relative height increases but increased as relative dbh increased. The average PAI of dbh and height reached the highest at 0.8 cm/yr (age 15) and at 0.45 m/yr (age 30) respectively, while the average PAI of volume steadily tended to increase up to age 80. The growth percentages of dbh, height and volume tended to decrease with age and volume growth percentage was higher than dbh and height.

Analysis on Wood Quality, Geometry Factor, and Their Effects on Lathe Check of Samama (Anthocephalus macrophyllus) Veneer

  • Cahyono, Tekat Dwi;Wahyudi, Imam;Priadi, Trisna;Febrianto, Fauzi;Bahtiar, Effendi Tri;Novriyanti, Eka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6호
    • /
    • pp.828-841
    • /
    • 2016
  • Relatively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wood and veneer quality, especially for Samama wood, an endemic wood species in eastern Indonesia. This study addresses the quality of 8 years old Samama wood and its effect on the veneer quality. Samama wood quality was determined by evaluating its specific gravity, moisture content, fiber dimensions, and microfibril angle from pith toward bark. Meanwhile, veneer quality was assessed by examining veneer thickness and lathe check characteristics. Geometry factor model was constructed to elaborate the quantities of lathe check from pith toward bark. Results show that fair variations of veneer thickness, ranging from 1.5 mm to 3.0 mm, could be obtained from Samama wood. The quantity, depth, and length of lathe check were noticeably decreasing toward bark. Further, in the same manufacturing process, geometry factor was determined as the dominant factor over other wood properties in affecting the frequency of lathe checks from pith towards bark. These facts should be put into consideration in producing veneer from Samama wood. Moreover, these results enlighten the potential of Samama wood as plywood and other excellent veneer-based products.

Structure of Longitudinal Tracheids in Different Tree Heights for Pinus koraiensis

  • Ahmed, Sheikh Ali;Chong, Song-Ho;Park, Byung-Su;Kim, Kyeong-Soo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09-114
    • /
    • 2006
  •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for the annual ring width, longitudinal tracheid diameter and wall thickness in different tree heights for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The annual ring width increased along with the tree height, however the tracheid diameter and wall thickness decreased with the tree height. Tracheid wall thickness was found the thickest at 2.0m from the above ground samples and it increased gradually from pith to bark. Radial tracheid diameter was found to be larger than that of tangential tracheid diameter in earlywood. But, it was found to be the opposite in latewood. In earlywood, the average values of tracheid wall thickness was found the range of $2.1-3.0{\mu}m$, whereas, in latewood, it was $2.4-4.2{\mu}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