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ley bran sauc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4초

Characterization of Aroma Components in Barley Bran Sauce Using Statistical Analysis

  • Choi, Ung-Kyu;Kim, Mi-Hyang;Kwon, O-Jun;Lee, Tae-Jong;Lee, Nan-He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23-28
    • /
    • 2007
  • A linear correlation was foun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sensory score of barley bran sauce aroma and the absolute gas chromatogram (GC) data transformed with square root. In spite of high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quantity of the peak and the sensory score,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aroma quality of barley bran sauce samples on the basis of only one peak. Peak 29 (methyl 9,12,15-octadecatrienoate) contributed most to the aroma of barley bran sauce. This was followed by 27 (methyl 9,12-octadecadienoate), 28 (ethyl 9,12-octadecadienoate), 12 (phenyl acetaldehyde), and 9 (methyl furfural) in terms of absolute value. When it was calculated using absolute value transformed by square root, peak 28 (ethyl 9,12-octadecadienoate) made the highest contribution to the aroma of barley bran sauce of among the peaks. It was followed by 31 (9,12-octadecadienoic acid), 27 (methyl 9,12-octadecadienoate), 12 (phenyl acetaldehyde), and 29 (methyl 9,12,15-octadecatrienoate).

Evaluation of Barley Bran Sauce Aroma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Choi, Ung-Kyu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5호
    • /
    • pp.656-660
    • /
    • 2005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s chromatographic (GC) patterns of sauce made of barley bran and ranked order in sensory analysis was investiga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RA). Most of the 42 barley bran sauce samples comprised about 34 peaks, in which the content of 9, 12-octadecanoic acid methyl ester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ose of 2-furanmethanol and 2-furancarboxaldehyde.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aroma quality of barley bran sauce samples on the basis of only one peak. The 34 aroma compounds of the 42 samples were analyzed by an MRA model featuring six transformations. The most precise fit was calculated from the absolute value transformed with the root square of each peak, and the multiple determination coefficient showed that 91.6% of the variation in the sensory score could be explained on the basis of GC data.

전통즙장 - 전통 즙장에 대한 연구 - (Traditional Jeupjang - A Study on Traditional Jeupjang (Succulent Jang) -)

  • 안용근;문영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35-848
    • /
    • 2015
  • 즙장은 중국의 조리서에 수록되지 않은 순수 우리나라 속성장으로 많은 종류가 있었으나, 보존성 문제로 대부분 맥이 끊겨서 전해지지 않기 때문에 조선시대 및 1950년 이전 조리서의 즙장을 조사하여 밝혔다. 그 중 가지와 오이 등의 채소를 넣는 즙장은 34 가지, 넣지 않는 즙장은 9가지였다. 즙장의 주재료는 콩과 밀기울이며, 보리, 메밀도 쓰였다. 즙장메주는 빨리 뜨게 하기 위하여 일반메주보다 작게 만들었는데, 작은 알 형태가 가장 많고, 납작하거나 둥근 칼자루 형태도 있다. 즙장은 메주가루를 소금과 물로 이겨서 담그는 것이 가장 많다. 함께 쓰는 것으로는 누룩가루, 밀기울, 밀가루, 술, 말장, 간장, 엿기름, 탁주 등이 있다. 즙장메주는 용기에 넣어서 띄우는 것도 있고, 넣지 않고 띄우는 것도 있는데, 용기는 섬과 둥구미가 가장 많고, 버드나무그릇, 치룽, 독도 사용하며, 즙장메주의 깔개 및 덮개는 닥나무 잎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그 외에 짚, 북나무잎, 뽕잎, 가랑잎, 솔잎, 콩잎도 사용한다. 즙장은 다른 장과 달리 말똥, 두엄, 풀더미에 묻혀서 이들이 썩으면서 내는 $60{\sim}65^{\circ}C$의 열로 가열하여 숙성시킨다. 즙장은 맥이 끊기거나 쩜장, 지례장, 무장, 빠금장, 막장, 집장, 토장 등의 형태로도 변하였다. 이들 장은 즙장에서 사용하지 않는 쌀, 엿기름, 고춧가루 등을 사용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TMR 원료로 이용하는 농식품 부산물 사료 이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Utilization of Agri-food by-products as Raw Materials for TMR)

  • 정승헌;박현우;권병연;구교영;방서연;박경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96-306
    • /
    • 2014
  • 본 연구는 농식품 부산물을 TMR 원료로 이용하여 사료비 절감 효과와 축산물 품질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그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농식품 부산물 발생현황조사 및 분석, TMR 이용 현황 및 문제점 조사, 사료이용 시 문제점 및 법률과 제도적 대안을 제시코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폐기물관리법에서 관리되고 있는 유기성폐기물은 폐식용유 10,488톤, 동식물성잔재물 832,493톤, 동물사체 5,740톤, 동물성잔재물 1,171,892톤, 식물성잔재물 2,172,415톤, 왕겨와 미강 12,905톤 등 총 4,205,931톤이었으며 TMR 원료로 이용할 수 있는 식물성 잔재물과 왕겨 그리고 미강이 전체의 51.7%를 차지하였으며 발생지 별로는 전국 상위 10개 지자체에서 76~100% 발생되고 있어 이의 체계적 수급관리시스템이 필요하였다. 둘째, TMR 원료로 사용되는 10대 주요 농식품 부산물은 콩비지, 미강, 깻묵, 맥주박, 주정박, 맥강, 장유박, 감귤박, 버섯부산물 및 기타 식품부산물(빵, 국수, 과자 등)이었다. 셋째, 농가가 농식품 부산물을 이용하는데 가장 큰 애로사항은 농식품 부산물이 폐기물관리법에 의해 폐기물로 관리되고 있어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재활용신고나 재활용시설설치 등 법률적 의무가 있어 사료이용 활성화를 위해 폐기물 지위 종료제와 같은 제도 개선과 전국적으로 10여 개의 공적 유통센터 설립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