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et armyworm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3초

시설재배지에서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tid와 Heterorhabditid를 이용한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Lepidoptera: Noctuidae) with Entomopathogenic Nematodes(Steinernematid and Heterorhabditid) in Greenhouse)

  • 김형환;조성래;이동운;이상명;추호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35-343
    • /
    • 2006
  • 엽채류 재배지에 많은 피해를 주고 있는 파밤나방을 환경친화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토양에서 분리한 steinemematid 선충과 heterorhabditid 선충 5계통(Steinernama carpocapsae GSN1, Steinernema sp. GSNUS-10, Steinernema sp. GSNUS-14,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Hamyang, Heterorhabditis sp. GSNUH-1)을 이용하여 petri dish와 pot 및 엽채류 재배 온실에서 병원성과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곤충병원성 선충 5계통의 파밤나방에 대한 반수치사농도($LC_{50}$)를 조사한 결과, 선충의 계통과 파밤나방의 령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LC_{50}$은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GSN1) 계통이 파밤나방 $2{\sim}4$령충에서 $3.8{\sim}5.1$마리로 가장 낮았다. 파밤나방에 대한 pot와 시설재배지에서의 병원성 실험결과도 선충 계통, 처리농도, 처리횟수 및 엽채류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Steinernema 계통 선충들이 Heterorhabditis 계통 선충들보다 병원성이 높았다. 선충의 처리회수에 따른 파밤나방 유충 치사율은 선충의 계통과 처리농도에 관계없이 1회 처리보다 2회와 3회 처리에서 방제효과가 높았다. 파밤나방에 대한 곤충병원성 선충의 방제효과는 양배추나 케일보다 배추에서 높았다. 시설 재배지에서 GSN1이 파밤나방에 대한 방제효과가 가장 높았고, 처리농도에서는 $m^2$당 100,000마리(720,000마리 $7.2m^{-2}=1{\times}10^9$마리 $ha^{-1}$)가 다른 두 농도처리보다 높았다.

곤충병원성 곰팡이 Metarhizium anisopliae FT83의 파밤나방 생육단계별 살충활성 (Insecticidal Activity of Metarhizium anisopliae FT83 against the Different Stages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 한지희;김정준;이상엽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17-421
    • /
    • 2014
  • 난방제 해충인 파밤나방의 친환경적 방제를 위하여 토양에서 곤충병원성 곰팡이를 수집한 다음, 파밤나방 유충에 대해 우수한 방제효과가 있는 곰팡이 Metarhizium anisopliae FT83을 분리하여 파밤나방의 생육단계별 살충율을 검정하였다. M. anisopliae FT83의 파밤나방 1령~3령 유충에 대한 살충율은 $1{\times}10^8conidia/ml$ 수준에서 100%이었고 반수치사시간은 0.5일, 2.6일, 2.5일이었으며 4령과 5령에 대한 살충율은 각각 $83.3{\pm}6.2%$, $86.0{\pm}5.7%$였으며 반수치사시간은 4.2일, 3.6일이었다. 번데기와 알에 대한 살충율도 100%로 파밤나방의 전 생육단계에 대해 높은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Virulence of Entomopathogenic Fungi Metarhizium anisopliae and Paecilomyces fumosoroseus for the Microbial Control of Spodoptera exigua

  • Han, Ji Hee;Jin, Byung Rae;Kim, Jeong Jun;Lee, Sang Yeob
    • Mycobiology
    • /
    • 제42권4호
    • /
    • pp.385-390
    • /
    • 2014
  •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Lepidoptera: Noctuidae) is difficult to control using chemical insecticides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insecticide resistance. Several pest control agents are used to control the beet armyworm. Entomopathogenic fungi are one of the candidates for eco-friendly pest control instead of chemical control agents. In this study, among various entomopathogenic fungal strains isolated from soil two isolates were selected as high virulence pathogens against larva of beet armyworm. Control efficacy of fungal conidia was influenced by conidia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RH). The isolates Metarhizium anisopliae FT83 showed 100% cumulative mortality against second instar larvae of S. exigua 3 days after treatment at $1{\times}10^7$ conidia/mL and Paecilomyces fumosoroseus FG340 caused 100% mortality 6 days after treatment at $1{\times}10^4$ conidia/mL. Both M. anisopliae FT83 and P. fumosoroseus FG340 effectively controlled the moth at $20{\sim}30^{\circ}C$. M. anisopliae FT83 was significantly affected mortality by RH: mortality was 86.7% at 85% RH and 13.4% at 45% RH. P. fumosoroseus FG340 showed high mortality as 90% at 45% RH and 100% at 75% RH 6 days after conidia treatm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 fumosoroseus FG340 and M. anisopliae FT83 have high potential to develop as a biocontrol agent against the beet armyworm.

파밤나방 성충 및 유충의 발생 (Seasonal Fluctuation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ubner), Adult and Larva)

  • 고현관;최재승;엄기백;최기문;김정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89-394
    • /
    • 1993
  • 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파밤나방 성충의 발생 소장을 조사한 결과 1990년 충남 예산에서의 발생 최성기는 7월 중하순, 8월 중순, 9월 하순, 11월 중순이었다. 1991년 충남 아산에서 발생 최성기는 7월 하순, 8월 하순~9월 중순, 11월 중순이었다. 1990년 3년 동안 수원에서 조산한 결과 해가 경과함에 따라 발생량이 증가하였다. 1991년 충남 아산의 파 포장에서 유충의 경시적 밀도를 조사한 결과 4회의 발생 피크가 있었고 최고 밀도에 도달한 9월 중순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고 그 후 급격히 감소 하였다. 수원 지역에서 산란 최초일이 5월18일이 될 경우 년 4세대 발생이 가능하며 제 1세대는 48일, 제 2세대는 25일, 제3세대는 23일, 제4세대는 58일이 소요되었다.

  • PDF

곤충병원선충을 이용한 채소해충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Vegetable Insect Pests with Entomopathogenic Nematodes)

  • 한상찬;김용균;이분조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81-88
    • /
    • 1996
  • Entomopathogenic nematodes, Steinernema carpocapsae, was able to invade and kill the several lepidopteran pests including the beet armyworm, Spodeptera exigua Hubner, which was the most effective target host. The beet armyworms treated with the effective nematode concentrations were died within 48 hrs. The lethal effect of the nematode was varied among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he host. The fifth instar larvae of the beet armyworm was more vulnerable to the nematode than the third instar larvae. Pupae was, however, refractory to the nematode. All three bioessays (topical application, filter paper test, and soil treatment)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the treated nematodes and the mortality of the host. Topical application was the most effective and fast-acting method so that it gave the lethal effect 2 days earlier than did filter paper test at the same number of the treated nematodes. Soil treatment required higher number of the nematodes to get the effective lethality than did filter paper test. The fifth instar larvae of the beet armyworm expressed the specific hemolymph proteins of 5 to 10 kDa in response to nematode infection.

  • PDF

Metaflumizone을 포함한 몇 가지 약제의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에 대한 독성검정 (Toxicological Effects of Some Insecticides against Welsh Onion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 강은진;강명기;서미자;박선남;김철웅;유용만;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55-162
    • /
    • 2008
  • 파를 가해하는 대표적인 해충인 파밤나방은 남부지방에서 피해가 심하며, 파 이외에도 많은 과채류 및 채소류를 가해함으로서 매년 많은 경제적인 손실을 유발하고 있다. 파밤나방은 세계적으로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해충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에서도 방제가 어려운 해충으로 인식되고 있고, 이를 방제하기 위하여 많은 살충제들이 등록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곤충에 서로 다른 작용기작을 가지고 있는 약제인 metaflumizone과 chlorfenapyr, indoxacarb, flufenoxuron, emamectin benzoate 등 4종의 살충제들을 선별하여 실내와 야외 포장에서 파밤나방에 대한 살충력을 살펴보고 이를 평가하였다. 약제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된 파밤나방은 알과 1령에서 6령까지의 유충, 그리고 번데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파밤나방 알에 대한 시험에서 알에는 직접적인 독성작용을 하지 못하지만, 알에서 깨어난 유충이 알껍데기를 먹음으로 해서 결과적으로는 파밤나방의 개체수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알에서 부화한 24시간 후의 1, 2령 유충들은 약제에 대한 감수성이 매우 높았으며, 유충의 영기가 높아질수록 치사율이 감소하였다. 한편, chlorfenapyr와 emamectin benzoate의 경우에는 어린 유충에서 노령의 유충에 이르기까지 고른 사망률을 나타내고 있었고, fluffnoxuron의 경우에는 어린 유충에는 치사율이 낮았으나, 노령 유충으로 성장하면서 치사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한편 포장에서 살충제를 살포한 포장에서 약제 처리 10일 후 방제가를 조사한 결과 처리한 약제 모두 87.2에서 90.5%로 비교적 높을 방제가를 보이고 있었다.

파밤나방의 기주 및 피해조사 (The Host Plants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Hubner), (Lepidoptera: Noctuidae) and Its Occurrence)

  • 고현관;박종대;최용문;최귀문;박인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1-116
    • /
    • 1991
  • 파밤나방의 기주로 채소 13종, 전작물 12종, 화훼 6종, 기타 11종 등 총 42종이 확인되었고 그중 25종이 새로운 기주로 조사되었다. 파밤나방에 의한 파의 지역별 피해주율은 완도 85%, 진도 86%, 해남 78%였고 서산 1.9%, 아산 1.5%, 청양 1.4%였다. 전남지역에서 파를 제외한 기타 작물에서 파밤나방에 의한 피해주율은 감자 95%, 옥수수 94%, 양배추 82%, 녹두 83%, 콩 56%, 배추 43%, 고구마 43%였다. 충남지역에서 파밤나방의 천적으로 녹강균과 핵다각체바이러스가 동정되었고 기생율은 9.2~3.7%였다. 전남 광주의 들깨 포장에서의 녹강균에 의한 기생율은 7월 5일 13.4%, 8월 7일 28.9%, 9월 10일 18.5%였다.

  • PDF

파밤나방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곤충병원성 곰팡이 Metarhizium anisopliae의 특성 및 병원성 검정 (Characteristics and Virulence Assay of Entomopathogenic Fungus Metarhizium anisopliae for the Microbial Control of Spodoptera exigua)

  • 한지희;김형경;임훈태;김정준;이상엽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54-459
    • /
    • 2013
  • 난방제 해충의 하나인 파밤나방의 생물적 방제를 위하여 곤충병원성 곰팡이를 수집, 분리하여 파밤나방에 고병원성인 곰팡이를 선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곤충병원성 곰팡이의 수집은 친환경 농업지역인 경기도 양평 지역의 수집된 토양 샘플에 갈색거저리를 넣어 감염된 곤충에서 곰팡이를 분리, 수집하는 insect-bait법을 활용하였다. 분리한 곤충병원성 곰팡이를 파밤나방 3령 유충에 처리한 결과, FT83균주가 파밤나방에 병원성이 높았으며, 현미경을 이용한 형태학적 분석과 18srRNA의 ITS sequencing을 통한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Metarhizium anisopliae로 동정되었다. 선발한 M. anisopliae FT83의 온도별 균사생장속도는 $15^{\circ}C$에서 $30^{\circ}C$까지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균사의 생장이 촉진되었으나 35에서는 균사가 생장하지 않았다. 선발 균주의 농도별 살충율은 $1{\times}10^6$ conidia/ml에서 $81.6{\pm}9.3%$, $1{\times}10^7$ conidia/ml에서 100%, $1{\times}10^8$conidia/ml에서 100%로 $1{\times}10^7$ conidia/ml 농도가 경제적인 처리농도였다.

농약 사용 저감화를 위한 환경 친화적인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방제 (Environment-Friendly Control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Noctuidae: Lepidoptera) to Reduce Insecticide Use)

  • 김대용;백승경;김진수;최수연;박찬;김태환;진나영;정선영;윤영남;유용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53-261
    • /
    • 2009
  • 파밭에서 발생하는 파밤나방을 친환경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농약저감화 방법중의 하나인 교호방제법을 검토하였다. 파밤나방에 등록되어 있는 살충제 가운데서 시판중인 25개 품목을 구입하여 실내실험에서 약효가 우수한 9종을 선발하여 비닐하우스내의 소포장 시험을 통해 화학 살충제 4종을 선발하였으며, 본 실험실에서 선발한 3종의 BT제의 교호처리를 포장시험에 적용하였다. 처리방법은 같은 약제를 1주일 간격으로 3회 처리한 단일처리와 BT제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약제를 1회씩 3종류를 1주일 간격으로 교호처리 하였다. 그 결과 화학농약과 미생물 농약을 처리한 Indoxacarb WP - Chlorfluazuron EC - B.t. var. kurstaki CAB141과 Indoxacarb WP - Methoxyfenozide + spinosad SC - Chlorfluazuron EC - B.t. var. aizawai CAB109, B.t. var. kurstaki CAB141의 3합이 평균 살충율 78%이상을 나타냈다. 따라서 단일처리의 방제가보다 10% 이상 높았으며 평균피해감소율 43% 이상에 달하여 단일처리한 조합보다 10% 높은 효과를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동일한 약제 살포에 의한 저항성발달을 최소화하고, 천연물이나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농약을 교호처리함으로서 화학농약의 살포 횟수를 감소시켜 친환경적으로 파밤나방을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 bner))의 동위효소 유전좌위 분석 (Analysis of the Isozyme Loci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H bner))

  • 김용균;김경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9-22
    • /
    • 1998
  •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 bner))의 유전지표를 결정하기 위해 17종 동위효소의 좌위수, 대립유전자빈도 및 각 효소의 4차구조가 분석되었다. 총 분석된 좌우수는 30개였으며, 이중 70.0%가 다형유전좌위를 보였다. 좌위당 유효대립유전자수는 1.72개였고 평균이형접합율(${H}_{e}$)은 32.8%로 추정되었다. 조사된 집단의 동계교배효과는 (F)는 21.0%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