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thic amphipod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8초

Biomass and secondary production of the three dominant amphipods (Crustacea) in a temperate sandy shore, southern Korea

  • Hwan, Yu-Ok;Rip, Seo-Hae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35-436
    • /
    • 2001
  • In sand beaches the benthic macrofauna feeding on primary food sources such as detritus and phytoplankton and being prey in turn for top predators such as fishes occupies a key position in the center of food chains. Amphipods are the most productive bentho-pelagic animals (Barnard, 1963) and are commonly consumed by fishes and larger crustaceans (Vetter, 1995). Consequently, amphipods play an important role in energy flow as a trophic link from primary producers to higher consumers(Chiaravalle et al., 1997).

  • PDF

The preying capacity of mud crab (Scylla tranquebarica Fabricius, 1798) on live amphipods (Grandidierella megnae Giles, 1888)

  • Sulaeman Sulaeman;Herlinah Herlinah;Gunarto Gunarto;Nurfadila Nurfadila;Rosmiati Rosmiati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7권3호
    • /
    • pp.195-205
    • /
    • 2024
  • Amphipoda is a benthic fauna occupying aquatic environments that can be used as a live feed for mud crabs. The abundance of amphipods in the water is thought to impact the preying capacity of crablets, which in turn will affect their growth performanc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preying capacity of the crablet stage of Scylla tranquebarica exposed at different densities (20, 30, and 40 amphipods / 0.5 L) of amphipod, Grandidierella megnae. The preying capacity was estimated by counting the number of amphipods ingested by an individual crablet during the 60-day rearing period. The main parameters measured were daily consumption rate (DCR), Cumulative molting (CM), Feed conversion ratio (FCR), and the specific growth rate of weight (SGR-W).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CR and FCR were not affected by amphipod densities but the higher the amphipod density the higher the SGR-W and CM. Based on this study, 30 amphipods / 0.5 L is recommended as the optimal density to optimize the DCR and improve the growth performance of crablets. It is also proposed that surplus live feed will potentially reduce the cannibalism rate of crablets during weaning. However, more research needs to be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benefits of crablet-feeding amphipods in communal systems.

Impact of Artificial Illumlination on Zooplankton Dynamics

  • Kim, Saywa;Park, Chul-Won
    • 환경생물
    • /
    • 제20권4호
    • /
    • pp.312-315
    • /
    • 2002
  • Impact of artificial illumination on zooplankton dynamics has been studied in Tongyong marine ranch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1998 to August 1999. Monthly sampling has been carried out to collect zooplankters from both natural waters and artificially illuminated waters at night. A total of 48 taxa of zooplankton occurred during the study. Copepods showed the prosperity in species number with 21 species. Every sample from illuminated waters consisted of move than 15 species except February while less than 15 species in samples from natural waters during the winter. Benthic amphipods occurred abundantly in illuminated waters. Zooplankton abundance was revealed to be increased in illuminated waters mainly due to the gathering of amphipods (4,500 indiv. $m^{-3})$ in September and October. Twenty times of zooplankton abundance was recorded in illuminated waters when compared with that in natural ones in September due to the gathering: of amphipods and ten times by the explosion of N. scintillans in August 1999. However, no distinct difference in the abundance was observed between two waters in the winter. Zooplankton gathering with artificial illumination seemed to be effective in amphipods, while copepods were hardly affected by the artificial illumination at night.

국내산저서단각류 Mandibulophoxus mai와 Monocorophium acherusicum의 생존, 성장 및 민감도에 대한 온도의 영향 (Influence of Temperature on the Survival, Growth and Sensitivity of Benthic Amphipods, Mandibulophoxus mai and Monocorophium acherusicum)

  • 이규태;이정석;김동훈;김찬국;박건호;강성길;박경수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16
    • /
    • 2005
  • 본 연구는 최근 한국에서 퇴적물 독성 실험생물로 개발되고 있는 저서 단각류 Mandibulophoxus mai와 Monocorophium acherusicum의 생존과 성장 및 민감도(sensitivity)에 대한 온도의 영향를 평가하기 위한 일련의 실험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각 실험 단각류의 생물학적 영향으로 각기 다른 수온 조건에서의 생존과 성장률을 통해 결정하였다. 표준 독성물질인 카트뮴(Cd)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독성 민감도에 대한 온도의 영향은 각기 다른 온도에서 카드뮴이 첨가되지 않은 해수와 카드뮴이 첨가된 해수에 노출된 단각류의 생존률을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연구결과, 온도는 두 실험 단각규 모두의 생존, 성장 및 카드뮴 민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p<0.05). 두 실험종 모두 80%이상의 생존율을 보인 온도범위는 13-22℃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실험종의 일일 성장률은 M. mai의 경우 20℃, M. acherusicum의 경우 25℃에서 다른 온도 조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Cd 민감노에 대한 영향은 M. mai는 20℃, M. acherusicum은 15℃가 다른 온도 조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근거할 때, 온도는 단각규를 이용한 치사 및 반치사 생물 검정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변수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독성평가에 활용되는 생물종에 대한 적절한 실험 온도 범위를 결정하는 것은 표준 독성시험법을 개발하는데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학 사항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영종도 조수웅덩이에 서식하는 미끈망둑, Luciogobius guttatus(Gobiidae)의 식성 (Feeding Ecology of Luciogobius guttatus (Pisces; Gobiidae) in the Youngjong Tide Pool, Incheon, Korea)

  • 김병기;김지혜;정수환;한경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2-211
    • /
    • 2014
  • 인천 영종도에서 미끈망둑의 섭식생태를 조사하였다. 총 257개체를 분석하였으며, 체장 (SL) 범위는 13.4~57.5 mm였다. 연구는 조수웅덩이에서 2010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달 실시되었다. 미끈망둑의 위 내용물에서 주로 발견된 먹이생물은 요각류(Copepods)와 게류(Brachyurans)였다. 단각류 (Amphipods), 집게류 (Anomurans), 쿠마류 (Cumaceans), 새우류(Macrurans), 곤충류(Insects), 작은 암석(small stones)이 추가로 관찰되었다. 저서성 갑각류(benthic crustaceans)가 중요한 먹이생물이었으며, Harpacticoid와 풀게속(Hemigrapsus spp.)은 모든 크기군과 계절에서 주요 먹이생물이었다.

다섯동갈망둑, Pterogobius zacalles의 채식행동: 채식방법과 먹이생물 크기의 관계에 관하여 (Foraging Behavior in Beauty Goby, Pterogobius zacalles: Relationship between Foraging Modes and Prey Size)

  • 최승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3-128
    • /
    • 2008
  • 2000년 10월부터 11월까지 일본 Aomori현 Mutu만에서 다섯동갈망둑, Pterogobius zacalles의 섭식행동에 관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다섯동갈망둑은 돌 틈에서 펄과 함께 먹이를 채식하는 쪼기와 돌 표면에서 먹이생물을 흡입하는 두 가지 유형의 채식방법이 있지만, 주로 돌 틈에서 먹이를 채식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다섯동갈망둑의 두 가지 채식방법 모두는 먹이를 찾아 유영하는 찾기, 섭식장소에서 먹이생물을 발견하고 먹는 섭식, 섭식한 후에 먹이를 씹고 이물질을 뱉어내는 씹기의 3단계로 구성된다. 다섯동갈망둑은 두 가지 채식방법 중에서 돌 틈에서 섭식하는 쪼기를 이용할 때 더 먼 거리를 유영하여 먹이를 찾으며, 긴 시간동안 먹이를 씹는다. 다섯동갈망둑은 채식방법에 상관없이 단각류가 주요 먹이생물이지만, 돌 표면에서 채식하였을 때보다 돌 틈에서 채식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단각류나 십각류를 섭식한다. 이들은 돌 틈에서 먹이를 섭식할 때 더 많은 에너지와 시간을 소비하지만, 높은 칼로리의 먹이를 섭식한다. 따라서 먹이생물의 크기는 이들의 섭식방법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사료된다.

돌산도 모래해안 쇄파대에 사는 저서성 단각류의 겨울철 대상분포 (Winter Zonation of the Benthic Amphipods in the Sandy Shore Surf Zone of Dolsando, Southern Korea)

  • 서해립;유옥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40-348
    • /
    • 1997
  • 1993년 1월 소조와 대조때 썰매네트로 돌산도 모래해안 쇄파대 1m 수심의 표층과 저층과 바닷가에서 옆새우 단각류를 채집해서 우점하는 세 종의 대상분포를 비교했다. 단각류는 표층보다는 저층과 바닷가에 많이 나타났다. Pontogenera rostrata와 Allorchestes anusta의 밀도는 저층과 바닷가에서 대조보다 소조때 높았으나, Synchelidium lenorostralum은 소조때 더 낮았다. P. rostrata는 밀물과 썰물에 따라 수평이동을 했으나, S. lenrostralum과 A. angusta는 수평이동을 하지 않았다. 다른 두 종과 달리 P. rostrata는 낮보다는 밤에 유의하게 많이 나타나, 밤에 활발히 이동하는 듯하다. P. rostrata는 밀물때 밤에는 평균해수면 (MSL) 위 100cm까지 나타나지만, 낮에는 MSL 위쪽에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썰물때는 낮과 밤 모두 MSL 부근부터 MSL 아래 150cm 사이에 분포했다. S. lenorostralum과 A. angusta는 썰물때만 나타났으며, 분포범위는 전자가 MSL 150cm보다 아래쪽, 후자가 MSL부근부터 MSL 아래 150 cm 사이였다. P. rostrata와 S. lenorostralum과 A. angusta의 최고 밀도는 각각 32, 26, 3마리/$m^2$였다. 그리고, 모래해안에 사는 단각류의 분포양상과 생활양식의 관계를 논의했다.

  • PDF

Application of Indigenous Benthic Amphipods as Sediment Toxicity Testing Organisms

  • Lee, Jung-Suk;Lee, Kyu-Tae;Kim, Dong-Hoon;Kim, Chao-Kook;Lee, Jong-Hyeon;Park, Kun-Ho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0권1호
    • /
    • pp.17-24
    • /
    • 2005
  •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velop standard test organisms and test protocols for measuring sediment toxicity using candidate amphipods such as Mandibulophoxus mai, Monocorophium acherusicum, Haustorioides indivisus, and Haustorioides koreanus, which are indigenous to Korea. The relevant association of test species with sediment substrates w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sediment bioassay. The indigenous amphipods M mai and M. acherusicum were well associated with test sediments when they were exposed to various sediment substrates from sand to mud. The tolerant limits to various physico-chemical factors affecting bioassay results such as temperature, salinity and ammonia, as well as sensitivities to reference toxicant and contaminated sediments, were investigated using M. mai and M. acherusicum in the present study. These amphipods were tolerant to relatively wide ranges of salinity $(10{\sim}30\;psu)$ and ammonia (<50 ppm), and displayed relevant sensitivity to temperature as well. They are more sensitive to Cd, the reference toxicant, when compared to the standard test species used in other countries. Field-sediment toxicity tests revealed that M. mai would be more sensitive to sediment-associated pollutants than M. acherusicum, while the sensitivity of M. acherusicum was comparable to that of Leptocheirus plumulosus, which has been used as a standard test specie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Overall results of this first attempt to develop an amphipod sediment toxicity test protocol in Korea indicated that M. mai and M. acherusicum would be applicable in the toxicity assessment of contaminated sediments, following the further evaluation encompassing various ecological and toxicological studies in addition to test method standardization.

슬래그 매립장 해역의 인공해조장에 서식하는 저서생물 군집의 천이 (Monitoring in Succession of Benthic Communities on Artificial Seaweed Beds in the Slag Dumping Area)

  • 김진만;곽석남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57-164
    • /
    • 2009
  • 슬래그 매립장 배출구 인근해역에 곰피(Ecklonia stolonifera)를 이식한 소규모 인공해조장을 건설하여 해조장에서 서식하는 저서생물 군집의 천이 양상을 2004년 4월부터 2005년 6월까지 모니터링 하였다. 첫 번째 이식 후 조사(2004년 4월부터 10주간 실험)에서는 솜말(Acinetospora critina)이 인공해조장에서 가장 우점하였다. 두 번째 조사(2004년 6월 이식 후 51주간 실험)에서는 총 15종의 해조류가 발견되었는데, 이 중 창자파래(Enteromorpha intestinalis)와 파래류(Enteromorpha sp.)가 가장 우점하였다. 그 외 초록털말(Urospora penicilliformi), 초록실(Ulothrix flacca), 대마디말류(Cladophora sp.), 그리고 구멍갈파래(Ulva pertusa)가 곰피의 잎에 나타났다. 동시에 곰피의 잎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저서동물, 연체동물 그리고 작은 크기의 어류 등도 출현하였다. 부착 저서동물은 주로 단각류(Amphipods)였으며, 연체동물은 진주담치(Mytilus edulis), 대수리(Thais clavigera), 그리고 어류는 숭어(Mugil cephalus), 베도라치(Pholis nebulosa) 등이 우점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곰피를 이용하여 조성된 인공해조장이 생물들이 성장할 수 있는 서식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스스로의 천이 과정을 통하여 저서생물 군집이 형성되는데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 PDF

The mechanisms leading to ontogenetic diet shift in a microcanivore, Pterogobius elapoides(Gobiidae)

  • Choi, Seung-Ho;Suk, Ho-You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6권4호
    • /
    • pp.343-349
    • /
    • 2012
  • A variety of fish species undergo an ontogenetic change in prey selectivity, and several potentially interacting factors, including nutrient requirement, microhabitat change, and foraging ability, may account for the occurrence of the shift. Here we examine the foraging ecology and ontogenetic diet shift of a micro-carnivorous goby, Pterogobius elapoides (serpentine goby), dominant component of fish assemblage in shallow rocky areas off the coast in Korea and Japan. Although most other gobies are primarily benthic carnivores, P. elapoides is a semipelagic fish;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how those species change their foraging tactics with growth. In our diet analyses, the most common diet was pelagic copepods and benthic amphipods, and diet shift was observed from pelagic to benthic with growth. The ontogenetic diet shift seems to be the result of the preference for energetically more profitable prey in larger-size classes as well as the results of different prey availability due to among-habitat variation in diet. However, differential food preference does not appear to affect individual scope for searching food. Several factors such as predation pressures and interspecific resource partitioning might contribute to the changes in diet observed among size classes, which were included in our ongoing t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