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tonite slurry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3초

벤토나이트 슬러리의 전기적 특성에 대한 영향인자 분석 (Factors Affecting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Bentonite Slurry)

  • 유동주;오명학;김용성;박준범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10호
    • /
    • pp.21-3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벤토나이트 슬러리의 전기적 특성에 대한 영향인자와 전기전도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벤토나이트 및 흙-벤토나이트 슬러리의 전기전도도는 벤토나이트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뚜렷한 선형적 증가 경향을 나타내어 전기전도도 측정기법이 슬러리에서의 벤토나이트 함량 평가에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때 슬러리의 전기전도도 변화는 주로 벤토나이트에 존재하는 양이온이 용해되어 용액의 전기전도도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로 확인되었다. 슬러리에서 벤토나이트 함량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선형적 관계는 용액의 초기 전기전도도와 세립토 함량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영향을 고려하여 슬러리에서 벤토나이트 함량과 전기전도도와의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관계식을 토대로 다양한 조건의 벤토나이트 및 흙-벤토나이트 슬러리에서 전기전도도 측정을 통하여 벤토나이트 함량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소성조건에 따른 폐 벤토나이트의 포졸란 반응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주수냉각을 중심으로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ozzolan Reaction of discarded Bentonite by Heat Treatment Condition - Focused on discarded Bentonite by cooling using of Water -)

  • 장진봉;정민수;김효열;강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2년도 학술논문발표회
    • /
    • pp.85-90
    • /
    • 2002
  •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fundamental report for pozzolan reaction of discarded Bentonite by heat-treatment as concrete mineral admixture. As discarded bentonite is clay mineral to contain a great quantity a lot of $SiO_2$ and $Al_{2}O_{3}$, it is anticipated to reveal pozzolan reaction ability by heat-treatment. To find out pozzolan reaction ability of discarded Bentonite slurry by heat-treatment, the experiment is excuted Phenolphtalein test, setting test, pH test and the analysis by X-ray diffractor. As a result of this study, discarded Bentonite slurry can be utilized as concrete mineral admixture by heat-treatment and especially, pozzolan reaction ability of discarded Bentonite slurry is superior to the situation of 50$0^{\circ}C$~$700^{\circ}C$, 60min.

  • PDF

오염지역 차폐용 슬러리월 재료와 침출수의 반응 특성 (The Compatibility of Slurry Wall Materials with Leachate for Cut -off of Contaminated Sites)

  • 이용수;정하익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3권2호
    • /
    • pp.9-16
    • /
    • 1997
  • 본 논문은 오염지역 또는 폐기물 매립지의 오염 차단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연직차폐기술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슬러리월 재료에 대한 투수 및 화학반응실험을 통하여 적절한 배합비를 갖은 흙-벤토나이트, 시멘트-벤토나이트, 시멘트l플라이애쉬-벤토나이트, 플라스틱 콘크리트 혼합재료를 제시하였다. 벤토나이트 슬러리의 침출수 반응성 실험결과, 화학물질의 영향에 의하여 벤토나이트 슬러리가 국부적으로 응집이 이루어지고, 슬러리 현탁액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뒤채움재의 투수시험 결과, 시멘트-벤토나이트. 플라스틱 콘크리트, 흙-벤토나이트 순으로 투수 계수가 작게 나타났으며, 침출수와의 반응실험결과, 투수성은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큰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 of curing temperature on the properties of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cement bentonite slurry

  • Kim, Taeyeon;Lee, Bongjik;Hong, Seongwon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9권3호
    • /
    • pp.237-247
    • /
    • 2022
  • To investigate the curing temperature effect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cement bentonite (GGBS-CB) slurry for cutoff walls, the laboratory experiments including the setting tim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and permeability tests were carried out. The mixing procedure for GGBS-CB slurry was as follows: (1) montmorillonite-based bentonite slurry was first fabricated and hydrated for four hours, and (2) cement or GGBS with cement was added to the bentonite slurry. The dosage range of GGBS was from 0 to 90 % of cement by mass fraction. The GGBS-CB slurry specimens were cured and stored in environmental chamber at temperature of 14±1, 21±1, 28±1℃ and humidity of 95±2% until target days. The highest average temperature of three seasons in South Korea was selected and used for the tests.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in early age (less than 28 days) of curing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GGBS-CB slurry were primarily affected by the curing temperature, whereas the replacement ratio of GGBS became a main factor to determine the properties of the slurry as the curing time increased.

Polymer Base Bored Pile in Bangkok Subsoils

  • Teparaksa, Wanchai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407-426
    • /
    • 2008
  • The bentonite slurry has been used as the stabilize suspension for wet process bored pile construction in Thailand. The bentonite suspension has benefit on filtration in the sand layer, but it creates thick cake film along pile shaft and loose sedimentation at pile toe. The base grouting technique was widely used to rectify the soft base or loose sedimentation problem of bored pile. The base grouting technique was not increased only end bearing capacity, but was also more increase in skin friction capacity of the bored piles. The comprehensive researches on base grouting was carried out by installing PVC casing inside the shaft to allow the drilling through the pile base in order to collect the soil sample below the pile tip. The polymer based slurry recently was used to replace the bentonite slurry to overcome the thick cake film along pile shaft as well as loose sedimentation at pile toe. The extent research on polymer slurry by physical model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al behavior of polymer. The appropriate mixing ratio of polymer was proposed. The design skin friction coefficient, $\beta$ and end bearing coefficient, Nq, for sand layer base on fully instrumented tested pile were proposed. The application on remedial of the lose capacity bored pile with large displacement in Bangladesh was proposed and discussed.

  • PDF

해수의 영향에 따른 이수식 TBM의 슬러리 관리를 위한 기초적 연구 (A fundamental study of slurry management for slurry shield TBM by sea water influence)

  • 김대영;이재원;정재훈;강한별;지성현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463-473
    • /
    • 2017
  • 벤토나이트는 물과 접촉하면 팽창하고 점성을 발휘하는 성질이 있어 일반적으로 차수가 필요한 토목공사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수식 TBM에서는 이와 같은 성질을 활용하여 가압된 슬러리로 불투수성 막을 형성하고 굴착벽면의 붕괴를 방지하는 동시에 굴착된 버력을 운송하며 굴착을 수행한다. 하지만 벤토나이트는 해수와 접촉할 경우 팽창성이 저하되어 그 성질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해수 조건에서 이수식 TBM으로 터널을 굴착할 시 지하수 유입 증가로 인한 굴착 안정성 및 버력 배출에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수식 TBM으로 터널을 굴착 시 해수의 유입으로 인한 슬러리의 상태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슬러리 관리방안을 제시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에서 적용된 슬러리 품질관리 기준을 바탕으로 실내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해수의 영향이 있는 현장에 적용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 Study on the Optimum Mix Proportion of the Stabilizing Liquid Used for Excavation of the Deep and Massive Slurry Wall

  • Kwon Yeong-Ho
    • KCI Concrete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151-159
    • /
    • 2002
  • This study investigates experimentally the optimum mix proportion and design factors of the stabilizing liquid used for excavation of the massive and deep slurry wall in LNG in-ground tank before pouring concrete. Considering those site conditions, the stabilizing liquid used for excavation of slurry wall has to be satisfied with some requirements including specific gravity, fluid loss, cake thickness, funnel viscosity and sand content in order to construct the safe and qualified slurry wall. For this purpose, we select materials including bentonite, polymer and dispersion agent. After performing many tests for materials and mix design process, we propose the optimum mix proportion that the upper limit ratio of bentonite is $2.0\%$, polymer is $0.1\%$ considering the funnel viscosity and dispersion agent is $0.05\%$considering the fluid loss of the stabilizing liquid. Also, we select all materials which are consisted of GTC4 as bentonite, KSTP as polymer and Bentocryl 86 as dispersion ag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optimum mix proportion of the stabilizing liquid is applicable to excavate the deep and massive slurry wall in LNG in-ground tank successfully.

  • PDF

벤토나이트 케익을 고려한 연직차수벽의 순간변위시험(slug test) 해석 (Consideration of Bentonite Cake Existing on Vertical Cutoff Wall in Slug Test Analysis)

  • 임지희;웽 테 바오;이동섭;안재윤;최항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6호
    • /
    • pp.5-17
    • /
    • 2013
  • 순간변위시험(slug test)은 현장의 지반 상태를 반영할 수 있어 연직차수벽 뒷채움재의 투수계수를 결정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직차수벽과 주변 지반 사이에 형성되는 벤토나이트 케익을 고려하여 순간변위시험을 모사할 수 있는 3차원 모델이 개발되었다. 연직차수벽의 폭(즉, 경계 조건과의 근접 정도), 우물의 편심, 우물에 지하수가 유입되는 수직 위치, 뒷채움재의 압축성 등의 영향변수들이 모델에 고려되었다. 수치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연직차수벽 시공 중에 존재할 수 있는 벤토나이트 케익이 순간변위시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수정 Line-fitting법은 벤토나이트 케익을 고려한 연직차수벽의 순간변위시험 해석에서 다른 경계조건에 대해 제시된 보정계수 없이 직접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혔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현장 사례를 벤토나이트 케익을 고려하여 재분석하여 벤토나이트 케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일정 수두 경계 조건)와 보수적인 경계조건(불투수 경계 조건)으로 가정했던 기존의 사례분석 결과들과 비교하였다. 결론적으로 연직차수벽 뒷채움재의 투수계수 평가시 벤토나이트 케익의 영향 및 수정 Line-fitting법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Slurry wall 공법에서 안정액의 역할 (I) : 대형모형실험과 설계절차 (The Fluid Loss and Sealing Mechanisms in Slurry Trench Condition (I) : A Large Scale Test and Design Procedure)

  • Kim, Hak-Moon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239-248
    • /
    • 2002
  • 안정액(bentonite slurry)을 이용한 지하연속벽의 건설은 굴착된 trench 내에서 안정액이 침투케익과 표면케익을 포함한 불투수막을 형성함으로서 trench 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구조용 지하연속벽 건설이나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용 연속벽 건설시 지반조건 및 주변여건의 변화에 의하여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안정액 유출과 불투수케익 형성과정을 대형실험으로 모델링하여 그 결과가 slurry trench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현장조건에 적합한 설계절차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