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bliographic author coupling analysi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3초

저자동시인용분석과 저자서지결합분석에 의한 지적 구조 분석: 사회복지학 분야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tellectual Structure Using Author Co-citation Analysis and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Science)

  • 김희전;조현양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83-306
    • /
    • 2010
  • 이 연구는 저자동시인용분석과 저자서지결합분석을 종합한 학문의 지적 구조 분석 방법론의 유용성을 밝혀 이를 새롭게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내 사회복지학 분야의 전통적인 지적 구조뿐만 아니라 최신의 연구동향 및 최근 활발한 연구 활동을 하는 핵심 연구자를 파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특정 학문 분야의 지적 구조를 파악하는데 있어 학문의 전통적 하위 주제 영역의 파악이나 실제 연구자들의 연구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저자동시인용분석뿐만 아니라 저자서지결합분석을 병행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지적 저자결합분석 - 연구동향 분석을 위한 새로운 접근 - (Bibliographic Author Coupling Analysis: A New Methodological Approach for Identifying Research Trends)

  • 이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73-190
    • /
    • 2008
  • 저자동시인용분석 기법은 특정 분야의 연구 주제와 동향을 파악하는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저자동시인용분석 기법은 인용 지체 현상 때문에 최근 동향을 나타내거나 활동적인 현역 연구자를 파악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최신 연구 동향을 분석함과 동시에 활동적인 연구자를 파악하기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서지적 저자결합분석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Kessler가 제안한 서지결합에 기반을 두되 분석 단위를 문헌이 아닌 저자로 삼고 있다. 즉 서지적 저자결합분석 기법은 같은 저자를 인용하는 저자끼리는 연구 주제가 유사할 것이라는 가정에 근거한 분석 기법이다. 저자동시인용분석 기법을 사용한 기존 연구의 분석 결과를 서지적 저자결합분석을 적용한 경우와 비교해 본 결과, 제안된 기법이 저자동시인용분석 기법에 비해서 최근 연구 동향을 더 잘 반영하며 활동적인 현역 연구자 위주의 해석을 가능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n Identification of the Image Retrieval Domain from the Perspectiv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ith Author Co-citation and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es

  • 윤정원;정은경;변지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99-124
    • /
    • 2015
  • As the improvement of digital technologies increases the use of images from various fields, the domain of image retrieval has evolved and become a growing topic of research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nowledge structure of the image retrieval domain by using the author co-citation analysis and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as analytical tools in order to understand the domain's past and present. The data set for this study is 245 articles with 8,031 cited articles in the field of image retrieval from 1998 to 2013, from the Web of Science citation databas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uthor co-citation analysis for the past of the image retrieval domain, 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image retrieval in the LIS field consists of predominantly user-oriented approaches, but also includes some areas influenced by the CBIR area. More specifically, the user-oriented approach contains six specific areas which include image needs, information seeking, image needs and search behavior, image indexing and access, indexing of image collection, and web image search. On the other hand, for CBIR approaches, it contains feature-based image indexing, shape-based indexing, and IR & CBIR. The recent trends of image retrieval based on the results from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show that the domain is expanding to emerging areas of medical images, multimedia, ontology- and tag-based indexing which thus reflects a new paradigm of information environment.

지적구조 규명을 위한 키워드서지결합분석 기법에 관한 연구 (Introducing Keyword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KBCA) for Identify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 이재윤;정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09-330
    • /
    • 2022
  • 학문의 구조, 특성, 하위 분야 등을 계량적으로 규명하는 지적구조 분석 연구가 최근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지적구조 분석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분석기법은 서지결합분석, 동시인용분석, 단어동시출현분석, 저자서지결합분석 등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서지결합분석(KBCA, Keyword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을 새로운 지적구조 분석 방식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키워드서지결합분석 기법은 저자서지결합분석의 변형으로 저자 대신에 키워드를 표지로 하여 키워드가 공유한 참고문헌의 수를 두 키워드의 주제적 결합 정도로 산정한다. 제안된 키워드서지결합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Web of Science에서 검색된 'Open Data' 분야의 1,366건의 논문집합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1,366건의 논문집합에서 추출된 7회 이상 출현한 63종의 키워드를 오픈데이터 분야의 핵심 키워드로 선정하였다. 63종의 핵심 키워드를 대상으로 키워드서지결합분석 기법으로 제시된 지적구조는 열린정부와 오픈사이언스라는 주된 영역과 10개의 소주제로 규명되었다. 이에 반해 단어동시출현분석의 지적구조 네트워크는 전체 구성과 세부 영역 구조 규명에 있어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키워드서지결합분석이 키워드 간의 서지결합도를 사용하여 키워드 간의 관계를 풍부하게 측정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저자서지결합분석에 의한 문헌정보학의 지적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by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 박지연;정동열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1-59
    • /
    • 2013
  • 본 연구는 저자서지결합분석을 사용하여 한국 문헌정보학의 1990년대와 2000년대 지적구조와 그 변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군집분석, 다차원척도법을 통하여 시기별 세부 주제 영역을 밝혔다. 둘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세부 주제 영역 간 관계를 시각화하고 전역 중심성이 높은 주제 영역을 확인하였다. 셋째, 1990년대와 2000년대 지적구조 비교를 통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주제 영역의 흐름을 규명하였다.

저자서지결합분석에 의한 국내 전기공학 분야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Domain Analysis on Electrical Engineering in Korea by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 변지혜;정은경
    • 정보관리연구
    • /
    • 제42권4호
    • /
    • pp.75-94
    • /
    • 2011
  • 본 연구는 저자서지결합분석을 사용하여 국내 전기공학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을 반영하는 지적 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국내 전기공학 분야의 저널을 대상으로 2005년부터 2009년까지 5년간의 총 2,157건의 논문과 이에 수록된 23,411건의 참고문헌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국내 전기공학 분야의 지적구조 규명을 위해 첫째, 다차원척도법, 군집분석,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10여 개의 하위 주제 분야를 밝혔다. 둘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전기공학 저자들의 지적 관계를 시각화하여, 저자관계, 중심성 분석으로 전역 중심 저자와 지역 중심 저자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국내 전기공학 분야의 최신 연구 영역과 동향 파악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도서관 및 주제전문 정보센터의 전기공학 분야 장서 개발 및 서비스 제공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자 네트워크의 중심성과 연구성과의 연관성 분석 -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Analyt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ities of Research Networks and Research Performances)

  • 이수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05-428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의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3가지 연구자 네트워크(공저 네트워크, 저자동시인용 네트워크, 저자서지결합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각 네트워크에 나타난 중심성과 연구성과의 연관성뿐만 아니라 중심성들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저 네트워크에서 3가지 중심성이 높은 연구자들은 연구성과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저자동시인용 네트워크와 저자서지결합 네트워크에서 매개 중심성은 연구성과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3가지 연구자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중심성들 간에는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3가지 연구자 네트워크의 모든 중심성들 간에는 높은 연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데이터사이언스 연구의 지적 구조 분석 및 시각화 (Analyzing and Visualiz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Data Science)

  • 박형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18-29
    • /
    • 2022
  • 본 탐색적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Clarivate Analytics사의 Web of Science(WoS)에 색인된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논문을 분석의 대상으로 했다. 2012년부터 2021년까지 WoS에 색인된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논문 총 17,997편을 분석했다. 데이터사이언스 연구의 지적 구조를 집중 분석하기 위해 기술 분석, 인용 분석, 공동 저자 네트워크 분석, 동시 출현 네트워크 분석, 서지 결합 분석, 동시 인용 분석을 수행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연구의 방향성 모색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저자서지결합분석을 통한 한중 IT 아웃소싱 연구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IT Outsourcing Research in Korea and China on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 민형진;박성식;김우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2권4호
    • /
    • pp.1-20
    • /
    • 2020
  • 본 연구는 계량서지학적 분석기법인 저자서지결합분석을 활용하여 2017년까지의 한국과 중국의 IT 아웃소싱 연구들을 분석하여 주요 연구자와 주제 분야를 파악하고 IT 아웃소싱 분야의 지적구조를 확인하여 후속연구자들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자학술데이터베이스인 한국의 NDSL(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과 중국의 CAJD(China Academic Journal network publishing Database)를 통해 IT 아웃소싱 관련 문헌들을 수집하였으며, 문헌게재빈도 2회 이상인 저자들을 파악하고 저자서지결합분석을 통해 연구자와 주제 분야를 파악할 수 있는 저자지도를 시각화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의 IT 아웃소싱에 관한 연구는 중국보다 일찍 출현하고 발전하였으며, 한국의 연구는 이미 성숙기에 진입하였고 문헌 분포는 중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중국은 아직 발전기와 정체기 사이의 과도기에 있으며 문헌 분포는 한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분산되어 있었다. 저자 군집과 저자 지도에 나타난 주제 분야를 분석한 결과, 한국은 IT 아웃소싱 전략이, 중국은 IT 아웃소싱 관리에 대한 연구가 상위저자들에 의해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Web of Science 데이터학술지 게재 데이터논문의 지적구조 규명 (An Investigation of Intellectual Structure on Data Papers Published in Data Journals in Web of Science)

  • 정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53-177
    • /
    • 2020
  • 오픈과학의 흐름에서 데이터 공유와 재이용은 중요한 연구자의 활동이 되어가고 있다. 데이터 공유와 재이용에 관한 여러 논의 중에서 데이터학술지와 데이터논문의 발간이 가시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데이터학술지는 여러 학문 분야에서 발간되고 있으며, 논문의 수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데이터논문은 데이터 자체와는 다르게 인용을 주고 받는 활동이 포함되어, 따라서 이들이 형성하는 고유한 지적구조가 생겨나게 된다. 본 연구는 데이터학술지와 데이터논문이 학술커뮤니티에서 구성하는 지적구조를 규명하고자 Web of Science에 색인된 14종의 데이터학술지와 6,086건의 데이터논문과 인용된 참고문헌 84,908건을 분석하였다. 저자사항과 함께 동시인용분석과 서지결합분석을 네트워크로 시각화하여 데이터논문이 형성한 세부 주제 분야를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저자, 저자소속기관, 국가를 추출하여 출현빈도를 살펴보면, 전통적인 학술지 논문과 다른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데이터의 생산이 용이한 기관과 국가에 주로 데이터논문을 출간하기 때문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동시인용분석와 서지결합분석 모두 분석도구, 데이터베이스, 게놈구성 등이 주된 세부 주제 영역으로 나타났다. 동시인용분석결과는 9개의 군집으로 형성되었는데, 특정 주제 분야로 나타난 영역은 수질과 기후 등의 분야이다. 서지결합분석은 총 27개의 컴포넌트로 구성되었는데, 수질, 기후 이 외에도 해양, 대기 등의 세부 주제 영역이 파악되었다. 특기할만한 사항으로는 사회과학 분야의 주제 영역도 나타났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