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ibliographic data

Search Result 241, Processing Time 0.125 seconds

링크드 데이터 방식을 통한 서지 정보의 확장에 관한 연구 (Extending Bibliographic Information Using Linked Data)

  • 박지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31-25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서지 정보를 확장하기 위한 방안으로 링크드 데이터를 선정하였다. 링크드 데이터는 웹 공간을 통해 공유 가능한 식별기호와 데이터 구조 및 링크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특히 링크드 데이터는 서지 온톨로지와 결합하여 서지데이터를 확장시키는데 유용하다. 이에 링크드 데이터와 서지 온톨로지를 분석하고, 연계 가능한 링크드 데이터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링크드 데이터로 구축된 기존의 전거 데이터 및 서지 데이터를 연계하였다. 이러한 실험적 연계를 통해 향후 링크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즉, 1) 다양한 링크드 데이터 중에서 각 기관에서 적합한 데이터를 선정할 수 있어야 하며, 2) 선정된 링크드 데이터를 연계하기 위한 기준을 정립해야 하고, 마지막으로 3) 자관의 고유한 데이터를 개발하여 이를 다시 공유해 나가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서지프레임워크를 활용한 공공도서관 서지데이터와 서비스 데이터의 연계 (Linking Bibliographic Data and Public Library Service Data Using Bibliographic Framework)

  • 박지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93-31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프로그램 운영과정에서 생산된 '서비스 데이터'를 서지데이터와 연계하여 도서관 목록을 개선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에 우수 도서관으로 선정된 공공도서관 7곳을 대상으로 서비스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서지데이터와 서비스 데이터를 서지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시범적으로 연계하고, 활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1) 선별적이고 가치 평가가 포함된 서지데이터를 확보하고, 2) 장서의 생애주기 동안 서지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되며, 3) 체계적으로 관리되기 어려웠던 서지데이터의 보존성과 공유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4) 시맨틱웹 환경에서 외부 링크드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서지데이터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공공도서관 서지데이터의 품질 제고 방안 (Improving the Quality of Bibliographic Data in Public Libraries: Focusing on Public Librari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 노지현;이은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05-128
    • /
    • 2023
  • 부산지역에서는 2020년 대표도서관을 중심으로 모든 도서관이 공동으로 사용할 통합도서관시스템(ILS)을 구축하고, 지역 내 49개 공공도서관과 103개 공립작은도서관의 서지데이터를 통합하였다. 그러나 각 도서관은 여전히 개별적으로 서지데이터를 구축하고 있고, 각 도서관에서 구축한 서지데이터는 물리적으로만 통합되어 있을 뿐 통합환경을 활용한 업무효율이나 데이터의 고품질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서지데이터 구축체계와 품질을 분석하고 통합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실행전략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1)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에서 서지데이터를 구축하는 방식을 조사하고, (2) 구축된 서지데이터의 품질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였으며, (3) 발견된 주요 문제점을 토대로 4가지 실행전략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실행전략은 서지데이터의 품질 제고 뿐만 아니라 업무효율과 데이터 공유를 위한 기반 구축을 동시에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A Faceted Data Model for Bibliographic Integration Between MARC and FRBR

  • Lee, Seungmin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권1호
    • /
    • pp.69-82
    • /
    • 2013
  • Although MAchine Readable Cataloging (MARC) and 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FRBR) are currently the most broadly used bibliographic structures for generating bibliographic data in the library community, each has its own weaknesses in describing information resources in diverse media. If the MARC format could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that reflects the multi-layered characteristics of FRBR, its use could address current problems and limitations in resource descrip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n alternative approach that can integrate the heterogeneous bibliographic structures of MARC and FRBR through the applications of facet and facet analysis. The proposed faceted data model is expected to function as a conceptual structure that can mediate between MARC data elements and FRBR attributes in order to utilize these structures in a more reliable and comprehensive way.

국립중앙도서관의 서지통정 기능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Bibliographic Control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 정연경;최윤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9-43
    • /
    • 2010
  • 본 연구는 선진국의 국가대표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서지통정 조직 및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이 국가서지정보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서지통정을 강화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에서 국립도서관의 정의와 역할, 서지통정의 개념과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고 사례조사에서는 미의회도서관, 영국 국립도서관,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덴마크 왕립도서관, 한국의 국립중앙도서관에서 현재 운영 중인 서지 통정 관련 부서의 운영 방안과 주요 업무를 분석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의 서지통정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첫째, 독립적인 서지통정 전담 부서의 설치, 둘째 서지데이터의 고품질화 및 유관 기관과의 협력 체제 강화, 셋째, 서지통정의 제반 연구 기능의 강화를 제시하였다.

무전거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n-Authority Control System)

  • 최석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5권
    • /
    • pp.233-264
    • /
    • 1993
  • The authorized form is called the heading must be unique and consistent. Without both uniqueness and cosistency, retrieval from the bibliographic database will not be optimal and in some cases may even be impossible. But the authority control is extremely expensive, because it is labour-intensive and dependent on professional investigation and judgement. In fact, it is by far the most expensive function in all of bibliographic control. The processes used to determine the form of access points. maintain. use. and evaluate very accurate authority records reduce the efficiency to generate or merge bibliographic items without modification from any national level bibliographic utilities as well as individual library. In this paper non-authority control system was suggested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authority work. The apparent advantages of the non-authority control system are it is easy to determine the heading, input the bibliographic data. integrate the access points into an existing file, and generate and merge bibliographic data without modification. In addition, non-authority control system can be transmitted into online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conducted with a mixture of controlled vocabularies and natural language.

  • PDF

링크드 데이터 환경에서의 서지기술형식 BIBFRAME과 그 활용에 대한 고찰 (Deployment of BIBFRAME as a New Bibliographic Framework in Linked Data)

  • 박옥남;오정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35-263
    • /
    • 2014
  • 미국국회도서관에서 서지레코드의 웹 접근성을 확보하고 웹 환경으로의 통합을 목적으로 새로운 서지기술형식인 BIBFRAME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BIBFRAME 모델 및 경과를 소개하고, BIBFRAME 클래스와 속성어휘를 살펴보고, MARC21과 BIBFRAME 어휘간 매핑, MARC 목록레코드의 BIBFRAME 전환사례를 제시함으로써 BIBFRAME 활용방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BIBFRAME은 서지개체를 저작-인스턴스 관계로 구분하고 데이터의 시맨틱을 이해할 수 있는 RDF/XML과 식별자를 사용하며, 주석 개체를 제시하여 이용자 및 외부 기관에서 생산한 정보를 서지데이터상에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서지데이터의 링크드 데이터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 이용자의 정보탐색가능성을 향상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콘텐트 모델에 상관없는 적용 및 다양한 자료유형의 수용을 보완하기 위한 계속적인 테스트가 요구되며 복잡한 구조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BIBFRAME 모델 및 어휘 수정 그리고 가이드라인 구축이 요구된다.

서지 유틸리티와 CIP 데이터 활용에 관한 연구 - OCLC와 미국국회도서관 CIP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ibliographic Utility and Its Use of CIP Data : With a Focus on the LC CIP Program and OCLC)

  • 윤정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49-367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미국국회도서관의 CIP (Cataloging in Publication)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지 유틸리티를 통한 CIP 데이터 접근, 배포, 개선 및 활용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LC CIP 프로그램은 많은 출판사의 참여와 지속적 성장, CIP 서지정보의 품질에 대한 신뢰와 즉각적 접근을 위한 서지 유틸리티 종합목록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출판 후 서지정보의 완전성과 정확성 개선을 위한 품질제어 노력 등의 특성을 갖는다. LC와 OCLC와 같은 서지 유틸리티 사이의 협력은 국립중앙도서관의 '출판시 도서목록' 프로그램의 제한점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국립중앙도서관이 국가의 대표 서지기관으로서 출판예정 단행본에 제한된 CIP 데이터 뿐 아니라 모든 유형의 국내간행 신구간 자료에 대한 정확하고 완전한 서지 및 전거 레코드에 대한 국내 도서관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할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 PDF

지적구조 규명을 위한 키워드서지결합분석 기법에 관한 연구 (Introducing Keyword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KBCA) for Identify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 이재윤;정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09-330
    • /
    • 2022
  • 학문의 구조, 특성, 하위 분야 등을 계량적으로 규명하는 지적구조 분석 연구가 최근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지적구조 분석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분석기법은 서지결합분석, 동시인용분석, 단어동시출현분석, 저자서지결합분석 등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서지결합분석(KBCA, Keyword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을 새로운 지적구조 분석 방식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키워드서지결합분석 기법은 저자서지결합분석의 변형으로 저자 대신에 키워드를 표지로 하여 키워드가 공유한 참고문헌의 수를 두 키워드의 주제적 결합 정도로 산정한다. 제안된 키워드서지결합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Web of Science에서 검색된 'Open Data' 분야의 1,366건의 논문집합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1,366건의 논문집합에서 추출된 7회 이상 출현한 63종의 키워드를 오픈데이터 분야의 핵심 키워드로 선정하였다. 63종의 핵심 키워드를 대상으로 키워드서지결합분석 기법으로 제시된 지적구조는 열린정부와 오픈사이언스라는 주된 영역과 10개의 소주제로 규명되었다. 이에 반해 단어동시출현분석의 지적구조 네트워크는 전체 구성과 세부 영역 구조 규명에 있어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키워드서지결합분석이 키워드 간의 서지결합도를 사용하여 키워드 간의 관계를 풍부하게 측정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OWL을 이용한 온톨로지 기반의 목록시스템 설계 연구 (A Study of Ontology-based Cataloguing System Using OWL)

  • 이현실;한성국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49-267
    • /
    • 2004
  • MARC는 목록 데이터를 상세하게 정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개념요소가 구조화 되어 있지 않고 표현체계가 복잡하기 때문에 단순 계층구조의 의미 어휘 체계를 지원하는 XML DTD나 RDF/S로는 그 구조를 모델화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MARC의 데이터 요소를 추상화하여 목록 데이터의 개념 구조를 표현하는 서지 온톨로지를 구축하였으며, 개념간의 논리 관계와 프로퍼터의 카디널리티 및 프로퍼티 값에 대한 논리적 제한을 부가할 수 있는 OWL을 이용하여 MRAC 필드의 복합 구조를 모델링하여 구축한 목록 온톨로지를 구현하였다. 온톨로지 언어를 이용한 MARC 데이터를 기술 방법은 목록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 구성과 목록의 호환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초적 방안이 되며, 시맨틱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문헌 정보서비스 시스템 구현의 토대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