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desulfurizatio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Biodesulfurization of Dibenzothiophene and Its Derivatives Using Resting and Immobilized Cells of Sphingomonas subarctica T7b

  • Gunam, Ida Bagus Wayan;Yamamura, Kenta;Sujaya, I. Nengah;Antara, Nyoman Semadi;Aryanta, Wayan Redi;Tanaka, Michiko;Tomita, Fusao;Sone, Teruo;Asano, Koz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4호
    • /
    • pp.473-482
    • /
    • 2013
  • The desulfurization ability of Sphingomonas subarctica T7b was evaluated using resting and immobilized cells with dibenzothiophene (DBT), alkyl DBTs, and commercial light gas oil (LGO) as the substrates. The resting cells of S. subarctica T7b degraded 239.2 mg of the initial 250 mg of DBT/l (1.36 mM) within 24 h at $27^{\circ}C$, while 127.5 mg of 2-hydroxybiphenyl (2-HBP)/l (0.75 mM) was formed, representing a 55% conversion of the DBT. The DBT desulfurization activity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aqueous-to-oil phase ratio. In addition, the resting cells of S. subarctica T7b were able to desulfurize alkyl DBTs with long alkyl chains, although the desulfurization rate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total carbon number of the alkylated DBTs. LGO with a total sulfur content of 280 mg/l was desulfurized to 152 mg/l after 24 h of reaction. Cells immobilized by entrapment with polyvinyl alcohol (PVA) exhibited a high DBT desulfurization activity, including repeated use for more than 8 batch cycles without loss of biodesulfurization activity. The stability of the immobilized cells was better than that of the resting cells at different initial pHs, higher temperatures, and for DBT biodesulfurization in successive degradation cycles. The immobilized cells were also easily separated from the oil and water phases, giving this method great potential for oil biodesulfurization.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SPAN 20 이 Rhodococcus sp. Strain IGTS8을 이용한 미생물 탈황공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onionic Surfactant SPAN 20 on the Biodesulfurization Process by Rhodococcus sp. strain IGTS8)

  • 박홍우;박기돈;오성근
    • KSBB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295-301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Rhodococcus sp. strain IGTS8을 이용한 미생물 탈황공정에 있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SPAN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탈황 효율 연구에 있어서 모델 오일로는 DBT가 함유된 hexadecane, 수상으로는 배지 용액을 이용하였다. 연구에 있어서 실험 변수로는 오일/물 혼합물에 있어서 오일의 부피 %, SPAN 20의 농도, 용액의 pH로 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오일의 부피 비율,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증가할 수록 탈황 효율이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오일의 부피비가 증가할수록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오일상의 OBT와 균주의 효율적인 접촉이 저해되기 때문으로 고려된다.

계면활성제가 Rhodococcus erythropolis IGTS8에 의한 dibenzothiophene의 탈황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urfactant on Biodesulfurization of Dibenzothiophene by Rhodococcus erythropolis IGTS8)

  • 김충식;백기태;신현재;이현호;양지원
    • KSBB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380-383
    • /
    • 1999
  • 본 연구를 통하여 Rhodococcus erythropolis IGTS8은 배양증애 유기 황화합물인 dibenzothiophene을 2-hydroxybiphenyl로 탈황하며 이 과정에서 계면활성 물질을 분비함을 확인하였다. 생산된 계면활성제로 인하여 배지내의 탁도와 균체의 건조증량 사이에는 비례관계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인위적으로 Tween 80을 넣어준 결과 균체성장 속도, 즉 DBT 분해율은 증가되었으며 2%(v/v)이상의 Tween 80 농도에서는 오히려 저해 효과를 보았다.

  • PDF

미생물 탈황 공정 중 Rhodococcus sp. strain IGTS8에 의하여 생성되는 Biosurfactants의 성분 분석 및 계면특성 (Cosmical Analysis and Interfacial Characterization of Biosurfactants formed by Rhodococcus. Sp. strain IGTS8 during the Biodesulfurization Process)

  • 박홍우;박기돈;오성근
    • KSBB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302-306
    • /
    • 2002
  • 탈황공정에 많이 이용되는 미생물인 Rhodococcus sp. Strain IGTS8이 hexadecane과 배지 수용액 혼합물에서 생성하는 biosurfactant의 성분분석과 계면물성을 연구하였다. TLC를 이용한 정성적 성분분석 결과 생성되는 biosurfactant는 glucose mycolate와 trehalose monomycolate임을 확인하였고 임계 미셀농도는 pH 6∼6.5와 pH 10∼10.5에서 100 mL의 수용액에 biosurfactant가 0.1∼0.15 g 첨가될 때였으며 유화파괴 속도는 pH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높은 유상비에서 Rhodococcus rhodochrous IGTS8를 이용한 탈황효율의 분석과 5-L 배양기에의 적용

  • 김진홍;박홍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121-125
    • /
    • 2002
  • Rhodococcus rhodochrous IGTSS (ATCC 5396S) can break organo sulfur compounds such as dibenzothiophene. Since the environment for biodesulfurization process is invariably hydrophobic, parameters in hydrophobic systems should be examined. For the model oil, hexadecane-containing 5.43mM dibenzothiophene, the volumetric desulfurization rate was decreased with the oil-to-aqueous phase ratio up to 50%. The rate declined sharply after 48h because the cell activity, which is refreshed by medium exchange, was lost. To supply the exhausted nutrients, medium exchange was performed. At 30% oil phase, most of DBT was removed by medium exchange on 48h, and the rate was 2.03mg $DBT_{removed}/L_{dispersion}-hr.$ At 50% oil phase, medium exchange on 60h was performed and the rate was 1.79mg $DBT_{removed}/L_{dispersion}-hr.$ The 300mL flask system was scaled up to a 5-L bioreactor system. On 60 h, a medium exchange was performed and the rate was 5.28mg $DBT_{removed}/L_{dispersion}-hr.$ and all of DBT was removed. It means that we can use the biodesulfurization process even 10 the high oil-to-water phase by some appropriate methods such as controlled feeding of key nutrients and the dilution or removal of some toxic metabolites by continuous reactor.

  • PDF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디이젤유의 황화합물 가용화에 관한 연구 (Solubilization of Sulfur Compounds in the Diesel Oil by Nonionic Surfactants)

  • 이석규;한지원;김병홍;신평균;박상권;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10권4호
    • /
    • pp.537-542
    • /
    • 1999
  • 석유제품 중의 황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미생물에 의한 탈황법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황화합물의 수용액 상에 대한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용화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polyoxyethylene, POE)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디이젤유 중에 포함되어 있는 황화합물의 가용화도를 X-ray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온도 증가에 따라 황화합물의 가용화도가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계면활성제 농도에 따른 가용화도 변화에서는 임계마이셀농도(critical micellar concentration, CMC)보다 높은 1 wt % 이상의 농도 조건에서 가용화도가 급격히 증가 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들 중에서는 가장 소수성을 갖는 계면활성제의 가용화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특히 동일한 조건에서 소수성기에 branched chain을 가진 Tergitol series 계면활성제가 linear chain을 가진 Neodol series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우수한 가용화력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