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type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3초

육계 및 도계장에서의 Campyobacter jejuni의 오염에 관한 연구 (Prevalence of Campylobacter jujuni in Broilers and Chicken Processing Plants)

  • 오정선;신광순;윤용덕;박정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7-36
    • /
    • 1988
  • 사람과 동물에 장염을 일으키는 원인균으로서 식품위생학적으로 새로이 문제시 되고 있는 Campylobacter jujuni의 독장에서의 오염원과 오염경로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닭의 분변, 냉각전·후의 계육, 냉각수 , 내장적출용칼을 실험대상으로 하여, 본 균을 분리 동정하고 , 분리균의 생물형, 혈청형등을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도계공정별로 분리한 82주의 Campylobacter jujuni 는 닭의 분변으로부터 34.4%, 냉각후 계육 55.0% 냉각수 60.0%, 내장적출용칼로부터 45.0%의 불리율을 나타내었다. 2. 분리한 Campylobacter jujuni 균주의 생물형은 biotype I이 78.1%, biotype II가 21.9%이었으며, biotype III와 IV에 속하는 균주는 없었다. 3. 분리균 82주의 Campylobacter jujuni에 대한 혈청형 검사에서 biotype I에속하는 것은 모두 혈청형이 KIO 37 이었으며, biotype II에 속하는 균주의 혈청형은 동정할 수 없었다.

  • PDF

경기지역에서 담배가루이의 발생 및 약제반응 (Occurrence of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and Its Response to Insecticide in Gyeonggi Area)

  • 이영수;김진영;홍순성;박정안;박홍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77-382
    • /
    • 2012
  • 경기지역에서 담배가루이의 발생 및 약제반응을 조사하였다. 담배가루이는 13개 시군에서 발생되었으며, 유전자(16S rRNA, MtCOI) 분석결과, 고양시 일부지역은 biotype B와 Q가 혼재되었으나, 그 밖의 지역에서 2005부터 국내 발생이 보고되었던 biotype Q로 나타났다. 채집곤충 및 기주식물의 total DNA에 대해 PCR을 통한 염기서열 분석과 southern hybridization 분석 결과 모든 지역에서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TYLCV)는 검출되지 않았다. 5개 지역에서 채집한 6 개체군의 담배가루이를 실내사육하면서 유묘검정법으로 성충에 대한 살충제 감수성을 검정한 결과, 지역별로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약제의 경우 biotype B에게 높은 살충활성을 나타낸 반면 biotype Q에게는 상대적으로 낮은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한국산 벼멸구 생태형의 염색체 변이 (Chromosomal Variation among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l), Biotypes in Korea)

  • 고현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66-370
    • /
    • 1992
  • 벼멸구 수컷 정소에서 염색체의 변이정도를 생태형 별로 관찰하였다. 세포 분열 지수는 생태형 3에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생태형 1, 생태형 2이었다. Agmatoploidy, aneuploidy, 성염색체의 loose pairings과 같은 염색체의 구조적 변화는 생태형 1, 생태형 2, 생태형 3순으로 높았다. 감수분열 제1분열기 중기는 성염색체가 상염색체로부터 현격하게 분리되어 있는 세포의 수는 생태형 2에서 가장 높았다.

  • PDF

Soft tissue volume changes following gingival grafting for labial gingival recession in the mandibular anterior area: a case report

  • Song, Young Woo;Jung, Ui-Won;Cha, Jae-Kook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8권1호
    • /
    • pp.8-18
    • /
    • 2019
  • This case report presents results for gingival recession coverage following gingival grafting and for gingival biotype enhancements by visualizing soft tissue volume changes using intraoral three-dimensional scanning. A 28 year old female patient with multiple gingival recessions and a 19 year old female patient with a single gingival recession on mandibular anterior area were treated. Root coverage was performed in both cases using autogenous subepithelial connective tissue harvested from palate. Intraoral 3D scan data were obatained presurgery and at 3 months, 1 year, and 2 years postsurgery. The recession areas were recovered successfully by subepithelial connective tissue graft combined with pedicle flap repositioning, and the patients showed neither further recurrence nor post-operative complication. Soft tissue biotype changes were identified by superimposing and analyzing scan data, revealing that gingival biotype was enhanced in both cases. These cases suggest that SCTG could be advantageous in terms of the gingival biotype enhancement, as well as gingival recession coverage, and intraoral 3D scanning might be suitable for assessing post-surgical gingival biotype change.

  • PDF

Association of gingival biotype with the results of scaling and root planing

  • Sin, Yeon-Woo;Chang, Hee-Yung;Yun, Woo-Hyuk;Jeong, Seong-Nyum;Pi, Sung-Hee;You, Hyung-Keu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3권6호
    • /
    • pp.283-290
    • /
    • 2013
  • Purpose: The concept of gingival biotype has been used as a predictor of periodontal therapy outcomes since the 1980s. In the present study, prospective and controlled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compare periodontal pocket depth (PPD) reduction and gingival shrinkage (GSH) after scaling and root planing (SRP) according to gingival biotype. Methods: Twenty-five patients diagnosed with chronic periodontiti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PPD and GSH of the labial side of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from the right canine to the left canine) were evaluated at baseline and 3 months after SRP. Changes in the PPD following SRP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gingival thickness and initial PPD. Two more groups representing normal gingival crevices were added in evaluation of the GSH.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t-test. Results: In the end, 16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With regard to PPD reduc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ingival biotype (P>0.05). Likewise, sites with a PPD of over 3 mm failed to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SH (P>0.05). However, among the sites with a PPD of under 3 mm, those with the thin gingival biotype showed more GSH (P<0.05). Conclusions: PPD changes after SRP were not affected by gingival biotype with either shallow or deep periodontal pockets. GSH also showed equal outcomes in all the groups without normal gingival crevices. The results of SRP seem not to differ according to gingival biotype.

Paraquat 저항성 망초의 protective 효소 (Protective Enzymes of Paraquat-Resistant Conyza bonariensis)

  • 김희주;황을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1호
    • /
    • pp.46-51
    • /
    • 2000
  • 망초(Conyza bonariensis)에서 제초제 paraquat 저항성을 구명하기 위해 paraquat가 생성하는 superoxide 라디칼과 과산화수소 등의 유해 산소 물질을 제거하는 데에 관련된 효소의 활성을 저항성 종과 감수성 종의 망초에서 측정하였다. 경작지 부근에 자라는 망초는 비경작지에 자라는 망초에 비해 paraquat 저항성이 강하였다. 국내에서 paraquat를 자주 살포하는 지역에서 저항성 종의 망초가 출현하고 있음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저항성 종의 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 ascorbate peroxidase의 활성, 그리고 glutathione reductase의 활성은 감수성의 그것에 비해 각각 약 20%, 44%, 그리고 64%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paraquat에 대한 망초의 저항성은 superoxide dismutase, ascorbate peroxidase, 그리고 glutathione reductase 등으로 구성된 효소의 유해 산소 물질을 제거하는 효율성에 부분적으로 달려 있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담배가루이 Bemisia tabaci(Gennadius)(Homoptera: Aleyrodidae)의 형태적 특징과 DNA 표식자에 의한 biotype 판별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emisia tabaci(Gennadius) (Homoptera: Aleyrodidae) and Discrimination of Their Biotypes in Korea by DNA Makers)

  • 이명렬;안성복;조왕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12
    • /
    • 2000
  • 임의증폭 다형 DNA(RAPD)와 미토콘드리아 12S, 16S rRNA 유전자의 제한단편 DNA 표식자에 의해 한국에서 발생하는 담배가루이 개체군들의 biotype을 판별하였다. 진천의 장미 온실과 서울 내곡동의 포인세티아 온실에서 발생한 담배가루이는 일본, 이스라엘, 호주의 B biotype 과 동일한 DNA 단편들을 보유하였다. 여러 지역의 노지 콩 (Glycine max), 고구마 (Ipomea batatas), 들깨 (Perilla frutescens)에서 채집된 담배가루이 개체군들은 일본 시코쿠의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에서 채집된 담배가루이와 같은 DNA로 표식되었다. 이들 non-B biotype은 한국, 일본 등 극동아시아 지역에 고유한 계통으로 보인다. 최근 한국에서 발견된 담배가루이 Bemisia tabaci(Gennadius)의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한 형태적 특정을 온실 원예작물의 주요해충인 온실가루이 Trialeurodes vaporariorum (Westwood)와 비교하여 기재하였다.

  • PDF

경남, 전남 남부지방에 비래된 벼멸구 생태형 분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the Brown Planthopper(Nilaparvata lugens St${\aa}$l)Biotypes Migrated in the Southern Regions of Korea)

  • 박영도;송유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63-67
    • /
    • 1988
  • 우려나라로 비래해 오는 벼멸구 생태형을 한기에 판별할 수 있는 검정방법과 벼멸구 발생상습지역인 경남, 전남 지역에 비래하고 있는 벼멸구의 생태형 분포비율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밀양 23호는 생태형-1,2,3에서, 청청벼는 생태형-2에서, 생태형-3에서 감로비설면적과 무게가 모두 높게 나타난 반연, 가야벼는 생태형 1, 2, 3 모두 낮았다. 벼멸구 비래시에는 생태형-3의 비율이 다소 높았으나 장에서 2세대 경과된 후에는 생태형-3이 감소하고 생태형-1과 2의 비율이 다소 증가하였는데 , 전체적으로 생태형 분포비률을 보면 1985년에 는 생태형 1,2,3이 각각 64.7%, 22.0%, 13.3%, 1986년에 는 61.2%, 21.9%, 17.0% 1987년에는 57.9%, 29.7%, 12.6%였다.

  • PDF

Paraquat 저항성 생태형 망초의 선발과 저항성 기작 (Determination of paraquat-resistant biotype on Conyza canadensis and the resistant mechanism)

  • 김성은;김승룡;안설화;전재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8-96
    • /
    • 2005
  • 생물검정과 RAPD 분석을 통해서 paraquat 저항성 생태형 망초를 선발하고, 저항성 발현 기구에 있어 Paraquat의 흡수와 이행, 그리고 결합친화력 차이가 관여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생물검정에 의하여 선발한 paraquat 저항성 생태형 망초는 RAPD 분석 결과 감수성 생태형 망초와의 유전적 관계에 있어서는 서로 먼 유연관계에 있음이 확인되었다. 엽록소 함량을 50% 감소시키는 paraquat의 농도로 나타낸 저항성지수는 저항성 생태형이 감수성 생태형에 비하여 약 7.8배 높았다. 저항성 및 감수성 생태형 간 epicuticular wax의 함량은 비슷한 수준이었고, cuticle의 함량은 저항성 생태형이 감수성 생태형에 비하여 약 1.5배 정도 높게 나타났지만, 이러한 차이는 cuticle을 통한 paraquat의 흡수량과 이행에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다. 세포벽에 대한 결합친화력은 저항성 생태형이 감수성 생태형에 비하여 7.4배 높게 나타났으며, 엽록체포막에 대해서는 감수성 생태형이 저항성 생태형에 비하여 약 1.5배 높은 결합친화력을 보였다. paraquat의 주요 작용점인 thylakoid 막에 대한 결합친화력에서는 저항성 생태형이 감수성 생태형에 비하여 약 16.9배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어 그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araquat에 대한 망초의 저항성 기작은 paraquat의 세포막 및 thylakoid 막 결합에 의한 작용점으로부터 격리가 어느 정도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for Japnaes Eel Anguilla japonica of Vibrio vulnificus Isolated from Oyster, Sediment and Seawater in the Korea Coast

  • Kim, Myoung Sug;Jung, Sung Hee;Hong, Suhee;Jeong, Hyun D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8권4호
    • /
    • pp.387-393
    • /
    • 2015
  • Biotyping of Vibrio vulnificus strains isolated from marine environments along the south coast of Korea showed that the majority of the isolates (94.7%) belonged to biotype 1 and the remaining isolates (5.3%) belonged to biotype 2. Analysis of 16S rRNA V. vulnificus strains isolated from marine environments using a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revealed that 78.7% were type A and 21.3% were type B.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was used to analyze the genomic differences in V. vulnificus among the biotype 2 strains isolated from marine environments (newly isolated strains group) and reference strains obtained from infected eels (reference strains group). The two groups had distinctly different profiles of the amplicons produced from RAPD. Additionally, biochemical comparison of these strains revealed that all four strains isolated from marine environments differed from the strains isolated from eels in their ability to promote D-mannitol fermentation. Two (NH 1 and NH 2) out of four isolates of biotype 2 from marine environments showed pathogenicity in eels Anguilla japonica in a challenge test. These isolates did not agglutinate with antisera against V. vulnificus NCIMB 2137 (serovar E), ATCC 27562 (non-serovar E), and ATCC 33816 (atypical serovar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