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cking set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33초

적응 양자화 제한 집합으로의 투영을 이용한 블록 현상 제거 (Blocking-Artifact Reduction using Projection onto Adaptive Quantization Constraint Set)

  • 정연식;김인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0권1호
    • /
    • pp.79-8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블록 변화된 영상의 블록 환상을 제거하기 위해 POCS(Projection Onto Convex Set)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적응 양자화 체한 집합을 제안한다. POCS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블록 현상 제기 기법은 크게 부드러움 제한 집합과 양자화 제한 집합으로의 반복적인 투영을 동해 이루어진다. 기존의 양자화 제한 집합은 원 영상의 데이터가 가질 수 있는 최대 구간을 지정해 주므로 반복이 계속될수록 over-blurring 현상이 심화된다. 제안한 양자화 제한 집합은 이산 여현 변환(DCT) 계수의 특성에 파라 적응적으로 제한 구간을 조절하므로 복호화된 영상의 선명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효과적으로 블록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기존의 후처리 알고리즘의 양자화 제한 집합을 제안한 적응적 양자화 제한 집합으로 대체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적은 반복 횟수로도 수령에 도달하였고 후처리 된 영상 역시 선명도를 유지하면서 블록 현상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디지털 홉필드 신경망 스케쥴러를 이용한 ATM 스위치 설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sign of a ATM Switch Using a Digital Hopfield Neural Network Scheduler)

  • 정석진;이영주변재영김영철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130-133
    • /
    • 1998
  • A imput buffer typed ATM switch and an appropriate cell-scheduling algorithm are necessary for avoiding output blocking and internal blocking respectively. The algorithm determining a set of non-blocking data cells from the queues can greatly affect on the switch's throughput as well as the behavior of the queues. In this paper bit pattern optimization combined with the Token method in presented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TM switch. The digital Hopfield neural cell scheduler is designed and used for the maximum numbers of cells in real-time

  • PDF

WDM-기반의 클러스터 구현을 위한 가상 토폴로지 재구성 알고리즘 (Virtual Topology Reconfiguration Algorithm for Implementing the WDM-based Cluster)

  • 박병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9호
    • /
    • pp.9-1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가상 토폴로지 재구성 기법을 제안하여 WDM 기반의 클러스터 시스템 구현을 위한 이론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안 기법의 핵심 아이디어는 파장 할당이 요구되는 연결 요청을 최대한 이어서 집합을 형성하는 것으로, 각 집합은 서로 소이며 집합 내의 연결 요청들 중에는 링크의 중복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집합을 형성한 후, 각 집합마다 파장을 하나씩 할당한다. 이는 일괄적으로 재구성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제안된 기법은 OWns 시뮬레이션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블로킹 확률 및 ADM 이용률 측면에서 First-fit 기법에 비해 10% 정도의 블로킹 감소율과 30% 정도의 ADM 이용률이 향상되었음을 보였다.

  • PDF

동적 WDM네트워크를 위한 MDP기반의 단계적 망 재구성 기법 (MDP-Based Stepwise Network Reconfiguration Scheme for Dynamic WDM Network)

  • 박병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60-16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가상 토폴로지 재구성 기법을 제안하여 WDM 기반의 클러스터 시스템 구현을 위한 이론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안 기법의 핵심 아이디어는 파장 할당이 요구되는 연결 요청을 최대한 이어서 집합을 형성하는 것으로, 각 집합은 서로 소이며 집합 내의 연결 요청들 중에는 링크의 중복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집합을 형성한 후, 각 집합마다 파장을 하나씩 할당한다. 이는 일괄적으로 재구성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제안된 기법은 OWns 시뮬레이션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블로킹 확률 및 ADM 이용율 측면에서 First-fit 기법에 비해 10% 정도의 블로킹 감소율과 30% 정도의 ADM 이용율이 향상되었음을 보였다.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한 블록기반 변환 부호화 영상에서의 반복적 블록화 현상 제거 (Iterative Reduction of Blocking Artifact in Block Transform-Coded Images Using Wavelet Transform)

  • 장익훈;김남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2B호
    • /
    • pp.2369-2381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하여 블록기반 변환 부호화 영상에서의 블록화 현상을 반복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블록화 현상이 수직, 수평 방향의 블록 경계를 따라 수직, 수평으로만 나타나는 점에 착안하여, 블록화 현상이 있는 영상 신호를 수직, 수평 방향의 분리적인 1차원 신호의 집합으로 간주하고 Gaussian 형태 함수의 1차 도함수를 모 웨이브렛으로 하는 1차원 웨이브렛 영역에서의 평균 자승 오차를 최소화시키는 필터로써 첫 번째 스케일 웨이브렛 영역의 블록 경계 위치에서의 분산이 다른 위치에 비하여 유달리 크게 나타나도록 하는 블록화 현상에 의한 신호 성분을 제거하는 과정과 양자화에 관한 블록 집합으로 투영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블록화 현상이 제거된 영상을 얻는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은 0.56 - 1.07dB의 PSNR 성능 향상뿐만 아니라 에지 몽롱화가 없이 블록화 현상이 거의 제거된 주관적 화질 개선을 보였다.

  • PDF

Application of Generalized Transmission Line Models to Mixed Ionic-Electronic Transport Phenomena

  • Ahn, Pyung-An;Shin, Eui-Chol;Kim, Gye-Rok;Lee, Jong-Sook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49-558
    • /
    • 2011
  • Application of a generalized equivalent circuit including the electrode condition for the Hebb-Wagner polarization in the frequency domain proposed by Jamnik and Maier can provide a consistent set of material parameters, such as the geometric capacitance, partial conductivities, chemical capacitance or diffusivity, as well as electrode characteristics. Generalization of the shunt capacitors for the chemical capacitance by the constant phase elements (CPEs) was applied to a model mixed conducting system, $Ag_2S$, with electron-blocking AgI electrodes and ion-blocking Pt electrodes. While little difference resulted for the electron-blocking cell with almost ideal Warburg behavior, severely non-ideal behavior in the case of Pt electrodes not only necessitates a generalized transmission line model with shunt CPEs but also requires modelling of the leakage in the cell approximately proportional to the cell conductance, which then leads to partial conductivity values consistent with the electron-blocking case. Chemical capacitance was found to be closer to the true material property in the electron-blocking cell while excessively high chemical capacitance without expected silver activity dependence resulted in the electron-blocking cell. A chemical storage effect at internal boundaries is suggested to explain the anomalies in the respective blocking configurations.

Topology-Aware Fanout Set Division Scheme for QoS-Guaranteed Multicast Transmission

  • Kim, Kyungmin;Lee, Jaiyong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5권6호
    • /
    • pp.614-634
    • /
    • 2013
  • The proliferation of real-time multimedia services requires huge amounts of data transactions demanding strict quality-of-service (QoS) guarantees. Multicast transmission is a promising technique because of its efficient network resource utilization. However, high head-of-line (HOL) blocking probability and lack of service-specific QoS control should be addressed for practical implementations of multicast networks. In this paper, a topology aware fanout set division (TAFD) scheme is proposed to resolve these problems. The proposed scheme is composed of two techniques that reduce HOL blocking probability and expedite packet delivery for large-delay branches regarding multicast tree topology. Since management of global topology information is not necessary, scalability of the proposed scheme is guaranteed. Mathematical analysis investigates effects of the proposed scheme and derives optimal operational parameters. The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the TAFD scheme achieves significant delay reduction and satisfies required delay bounds on various multicast networks.

대수수신계통의 탐색특성개선 (An Improvement in Detection Performance of Logarithmic Receiver)

  • 윤현보;장태무;조광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5-48
    • /
    • 1984
  • A serious degradation of blocking of the detection performance in a cell aeraging-logarithmic detector/constant false alarm rate(CA-LOG/CFAR) is known to be caused by the presence of a large interfering noise in the set of sample mean. A technique consisting of the logarithmic circuit and inverter has been proposed to alleviate this problem, by modifying the conventional CA-LOG/CFAR receiver. The detection performance of the proposed technique is linearly improbed over the normal output level and the blocking characteristics of the CA-LOG/CFAR can be changed to finite output level.

  • PDF

스플라인 곡선을 이용한 블록화 현상 감소 회로의 설계 (Circuit Design of a Blocking Effect Reduction Algorithm using B-Spline Curve)

  • 박성모;김희정;최진호;김지홍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6권7호
    • /
    • pp.1169-1177
    • /
    • 2003
  • 블록화 현상이란 입력 영상에 대해 매우 낮은 비트율로 블록 기반 부호화 방식을 수행할 때 복원 영상에서 나타나는 블록 형태의 왜곡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플라인 곡선 생성 방식을 적용한 블록화 현상 감소 알고리즘에 대해 회로를 설계하고 구현하여 동작을 확인한다. 설계된 회로는 영상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 알고리즘 실행을 위한 산술/논리 연산회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블록으로 구성된다. 산술/논리 연산회로는 처리될 화소와 블록 경계간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 계산 회로와 블록 경계에서 유리 B 스플라인을 적용한 화소값 계산 회로로 이루어진다. 모의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설계된 회로는 매우 우수한 블록화 현상 감소 기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Application of the H Infinity Control Principle to the Sodium Ion Selective Gating Channel on Biological Excitable Membranes

  • Hirayama, Hirohum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 /
    • 제2권1호
    • /
    • pp.23-38
    • /
    • 2004
  • We proposed the infinity control principle to evaluate the Biological function. The H infinity control was applied to the Sodium (Na) ion selective gating channel on the excitable cellular membrane of the neural system. The channel opening, closing and inactivation processes were expressed by movements of three gates and one inactivation blocking particle in the channel pore. The rate constants of the channel state transition were set to be voltage dependent. The temporal changes in amounts per unit membrane area of the channel states were expressed by means of eight differential equations. The biochemical mimetic used to complete the Na ion selective channel was regarded as noise. The control inputs for ejecting the blocking particle with plugging in the channel pore were set for the active transition from inactivated states to a closed or open state. By applying the H infinity control, we computed temporal changes in the channel states, observers, control inputs and the worst case noises. The present paper will be available for evaluating the noise filtering function of the biolog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