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ttle gourd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7초

Absence of AVP1 transcripts in wild type watermelon scions grafted onto transgenic bottle gourd rootstocks

  • Kim, Byung Oh;Han, Jeung-Sul;Park, Kyung Il;Jeon, Su Min;Kim, Chang Kil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1호
    • /
    • pp.13-18
    • /
    • 2015
  •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stable integration of Arabidopsis AVP1 in the genomes of bottle gourd $T_3$ homozygous lines and its transcription, and additionally evaluated possibility of translocation of the AVP1 mRNA from transgenic bottle gourd rootstocks to wild type watermelon scions. Each AVP1 gene in two bottle gourd T3 lines is abundantly expressed under a field condition. Given the grafting between wild type watermelon scions and AVP1-expressing bottle gourd rootstocks, no translocation of the AVP1 mRNA was detected in leaves, both sexual flowers, and fruits of the scions.

Diversity and origin of bottle gourd, Lagenaria

  • Yuasa, Hiroshi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2년도 심포지엄
    • /
    • pp.96-97
    • /
    • 2002
  • Bottle gourd, Lagenaria siceraria, is one of the oldest cultivated plants. To bigin with, its fruit was used as a complete liquid bottle or container. It was a very widespread cultivated plant in prehistoric times, for example (there) is a report from Peru as early as between 13,000 B.C and 11,000 B.C. The dug-out finds in Japan proved to be about 95,000 years old according to the /sup 14/C analysis. The bottle grourd was the most important plant before the invention of pottery in many areas of Asia, New Guinea, Polynesia, America, and Africa.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The Bottle Gourd Age" prior to the Pottery Age. Bottle gourds are also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food, masks, pipes, musical instruments, medicine, symbols, artistic products and also as penis-sheaths of men's attire. Their purposes number more than 220 including 70 varienties of containers or bottles. I consider that its utilization should be called a culture, as it were, "The gourd culture."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fruit of bottle gourd have a larger variety than those of any other plant. As for the size, it is reported that they range from those that are shorter than 3cm to those that are ovoid and longer than 60cm in diameter. With regard to the shape of its fruit, the bottle gourd can be classified into 7 groups and even more than 30 races, considering the difference of the size. The seeds are so variable without two horn-like projections, with smooth surface or longitudinalines, white or brown, with smooth corky margin. Generally, it seems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seem shape and fruit shape. My study shows that the seeds of gourd. My study shows that the seeds of gourd in Asia are so simple in shape and in color except for the size. But the seeds of those in Africa are various and seem to be beyond the confines. Explaining the great diversity of the seeds of those in Africa therefore, they appear to have no correlation among the types of fruit of the bottle gourd with African origin. It might be supposed that another 4 wild Lagenaria spp. distribute only in Africa. The intraspecies hybrid is confirmed between the bottle gourd, Lagenaria siceraria, and wild L. spehaerica. And Fl hybrid is sterile: it has no fertility. However, even though the shapes of the fruit and the seeds are different, they can cross with each other. Moreover, their hybrids grow up to be extremely vigorous and have normal fertility. Fruit shapes of Fl plants are similar to those of their parents, if they have the same character. Whereas, the fruit shape often becam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the cross occurs between those with different fruit shapes. It is shown that dumbbell shapes, HYOTAN in Japanese, is recessive while its bitterness is dominant. Thus the character of F2 hybrids Is segregative. I'll give further particulars of the heredity of the groud in my lecture.

  • PDF

한반도 선·역사시대 박의 재배와 이용 (Cultivation and use of bottle gourd (Lagenaria siceraria) in ancient Korea)

  • 김세빈;김민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7권1호
    • /
    • pp.38-51
    • /
    • 2024
  • 박(Lagenaria siceraria)은 구·신대륙에 걸쳐 재배 역사가 약 만년에 이를 정도로 오래된 작물이다. 하지만 한반도로 유입된 시기나 이용 방법에 관한 고고학적 고찰은 극히 드물다. 이에 한반도 소재 유적에서 출토된 박의 식물유체(종자와 열매껍질)를 검토하여 유입 시기, 경로, 형태적 특징에 관한 시론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검토 결과, 다음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박 재배는 청동기시대에 이른바 남방계통 작물의 유입과 함께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박 식물유체가 발견된 유적은 삼국시대에 증가하며 이는 역사시대에 이르러 박이 중요한 작물로 자리 잡았음을 나타낸다. 둘째, 삼국시대에 출토된 박 종자는 장폭비와 형태로 보아 아프리카·아메리카 아종과 아시아 아종이 혼재한다. 삼국시대 종자의 형태적 다양성은 높으며, 역사시대에는 다양한 변종의 박이 재배되었을 것이다. 셋째, 박의 재배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근거는 열매껍질의 두께인데, 서천 봉선리 백제 목곽고 출토품으로 볼 때 삼국시대에 이르면 박열매가 대형화하였다. 이를 종합하면 박은 청동기시대에 한반도로 유입된 후 역사시대에 이르러 재배가 활성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아시아 재배종 박의 아메리카 전파설을 뒷받침할만한 고고학적 증거는 한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찾기 힘들다.

Diversity and origin of bottle gourd, Lagenaria

  • Yuasa, Hiroshi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2년도 제9차 국제심포지움 및 추계정기학술발표회
    • /
    • pp.13-14
    • /
    • 2002
  • Bottle gourd, Lagenaria siceraria, is one of the oldest cultivated plants. To bigin with, its fruit was used as a complete liquid bottle or container. It was a very widespread cultivated plant in prehistoric times, for example (there) is a report from Peru as early as between 13,000 B.C and 11,000 B.C. The dug-out finds in Japan proved to be about 95,000 years old according to the $^{14}$ C analysis. The bottle grourd was the most important plant before the invention of pottery in many areas of Asia, New Guinea, Polynesia, America, and Africa.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The Bottle Gourd Age” prior to the Pottery Age.(중략)

  • PDF

수박 대목용 참박에 발생한 Monosporascus cannonballus에 의한 검은점뿌리썩음병(黑点根腐病) (Root Rot of Bottle Gourd Stock of Watermelon Caused by Monosporascus cannonballus in Korea)

  • 박경석;남상현;김충회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75-180
    • /
    • 1994
  • The fungal pathogen Monosporascus annonballus was first isolated in Korea from the rotted roots of bottle gourd stocks of collapsed watermelon plants in fields near Chochiwon, Choongnam province in July, 1993. Perithecia of M. cannonballus were dark brown to black, globose, 220~570 ${\mu}{\textrm}{m}$ in diam. and had many asci. Asci are hyaline, clavate to pyriform, and 50~120$\times$35~570 ${\mu}{\textrm}{m}$ in size. Ascospores were aseptate, dark brown to black, globose, 25~45$\times$30~50 ${\mu}{\textrm}{m}$ in diam, and borne singly in each ascus. The fungus grew in the temperature range of 4 to 34$^{\circ}C$, best at 3$0^{\circ}C$. The optimum pH for growth was 6.8. Mycelial growth rate of M. cannonballus was 25.5mm/day on PDA at 26$^{\circ}C$. Perithecia began to form after 20-day-growth on PDA and produced mature asci after 30 days or later. In the greenhouse inoculation tests, the fungus developed water-soaked lesions on roots of bottle gourd seedlings and was then reisolated from the lesions. Severed damages on watermelon plants by M. cannonballus are greatly concerned in Korea, since no stocks used for watermelon cultivation have reported to be resistant to the fungus.

  • PDF

참박과 호박 종자의 발아촉진을 위한 저선량 감마선의 효과 (Effect of Low-Dose Gamma Radiation to Enhance Germination Rate in Bottle Gourd and Pumpkin Seeds)

  • 김재성;백명화;이영근;이혜연;유준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02-207
    • /
    • 2002
  • 참박과 호박 채종종자의 발아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종자처리 방법을 확립하고자 저선량 감마선을 1$\sim$20 Gy 까지 조사하여 발아와 초기생육 및 생리활성을 관찰하였다. 저선량 조사한 참박과 호박종자의 발아율은 대조구보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그 효과는 종자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참박 70$\sim$80% 발아율종자의 발아는 4$\sim$20 Gy에서 증가하였는데 특히 4 Gy조사에서 가장 높았고, 80$\sim$90% 발아율종자도 4 Gy 조사에서 효과를 보였다. 파종 4일 후의 발아율은 참박 70$\sim$80%와 80$\sim$90% 발아율 종자의 경우는 4 Gy조사에서 대조구보다 각각 66%와 26% 증가하였고, 호박의 70$\sim$80% 발아율종자는 2 Gy 조사에서, 80$\sim$90% 발아율종자는 8 Gy 조사에서 향상되었다. 저선량 조사한 유묘생육은 발아율이 증가한 선량에서 증가하였는데 특히 호박 70$\sim$80% 종자의 2 Gy 조사에서 가장 높았다. 파종 6일 후에 조사한 참박의 효소활성은 4 Gy 조사시에 단백질과 catalase 활성이, 호박의 경우는 catalase와 peroxidase 활성이 2 Gy와 8 Gy 조사에서 증가하였다. 참박과 호박종자의 발아와 유묘생육 및 생리활성은 저선량 감마선 조사에 의해 촉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RT-PCR에 의한 박 종자의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검정 (Detection of Cucumber green mottle mosaic virus in Bottle Gourd Seeds by RT-PCR)

  • 이숙경;송완엽;김형무
    • 식물병연구
    • /
    • 제10권1호
    • /
    • pp.53-57
    • /
    • 2004
  • CGMMV는 한국에서 수박의 주요 병원균이고, 수박 생산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에서는 박 종자의 CGMMV를 RT-PCR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민감하게 검정하는 진단방법을 개발하였다. CGMMV-W의 외피 단백질 유전자 sequence에서 제작된 CGMMV에 특이적인 primer인 Wmfl과 Wmrl은 RT-PCR에 의해 420 bp의 증폭산물을 증폭하였다. RT-PCR에 의한 진단을 위하여 바이러스 추출과정을 간소화하고 종자 추출물의 반응 억제물질을 감소시키기 위해 ethanol 침전, double filtration, PEG 침전, phenol/chloroform/isoamyl alcohol에 의한 추출법을 비교하였으며 phenol/chloroform/isoamyl alcohol에 의 한 추출법이 민감성이 강한 방법으로 선발되었다. RT-PCR을 위해 선발된 primer들과 추출법은 1,000립의 건전 종자에 1립의 이병 종자를 혼합한 수준까지 판별이 가능하였다. 신속하고 민감한 RT-PCR에 의한 본 검정방법은 높은 반응 억제물질을 함유하는 박 종자에서 CGMMV의 특이적인 진단을 위해 유용한 방법이다.

First Report of Macrophomina phaseolina Causing Charcoal Rot in Bottle Gourd in Korea

  • Kim, Sang Gyu;Kim, Tae Bok;Lee, Oak Jin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99-403
    • /
    • 2021
  • Stem blight symptoms were observed in greenhouse-grown bottle gourds (Lagenaria siceraria) in Wanju, Korea. Infected plants showed leaf chlorosis and wilting; the plants eventually died with the infected leaves remaining attached, and black sclerotia formed on the diseased stem.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results and sequence analys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α, β-tubulin, and calmodulin regions, the isolated fungus was Macrophomina phaseolina. This is the first report of charcoal rot in Lagenaria siceraria caused by Macrophomina phaseolina in Korea.

저선량 방사선 조사 시 종자수분함량이 채소류의 발아와 초기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 Dose Gamma Radiation and Seed Moisture Content on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of Vegetable Crops)

  • 백명화;이영근;이영복;양승균;김재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5-219
    • /
    • 2003
  • 채소종자의 발아와 초기생장에 대한 저선량 방사선과 종자수분 함량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배추, 무, 고추, 호박 참박 각각의 건조종자와 습윤종자에 저선량 감마선을 $0{\sim}20\;Gy$ 수준으로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을 상이하게 하여 관찰한 발아와 초기생장에 미치는 저선량 방사선 효과는 작물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발아율의 경우는 건조종자보다 습윤종자에서 대체로 높았으며 저선량 효과는 배추와 호박의 습윤종자4 Gy와 2 Gy에서 각각 33%와 13% 증가하여 뚜렷한 효과를 보였고, 참박은 건조종자 $4{\sim}8\;Gy$에서 높았다. 초기생장은 습윤종자에서 뚜렷한 효과를 보여 배추와 무는 10 Gy, 호박은 2 Gy, 참박은 8 Gy에서 $6{\sim}26%$ 정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초기생장 촉진효과는 저선량 방사선과 수분함량 상호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배추와 참박에서 가장 높았다. 즉, 채소 종자의 수분함량을 상이하게 하여 저선량 방사선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적정 수분함량에서 발아와 유묘생장이 촉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월 하송리 출토 금속유물 보존처리 및 제작기법 연구 (Production Techniques for the Metal Artifacts Excavated in Hasong-ri, Yeongwol and Their Conservation Treatment)

  • 이병훈;고형순;김수기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1권
    • /
    • pp.53-66
    • /
    • 2019
  • 본 연구는 강원도 영월 하송리 유적에서 출토된 금속유물의 보존처리 과정과 표면성분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금동소형풍탁 1점, 풍설 2점, 호리병 형태 소형 청동병 1점을 대상으로 XRF를 이용한 표면 성분분석을 진행하였고, 호리병 형태 소형청동병은 X-ray를 통한 내부구조관찰을 실시하였다. 금동소형풍탁과 풍설은 같은 위치에서 출토되었으나, 금동소형풍탁은 도금층이 확인되는데 반해, 풍설은 부식층이 표면에 고착되어 가시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분석결과 금동소형풍탁은 Cu-Sn-Pb 3원계 합금 청동소지에 Au를 수은 아말감으로 도금하여 제작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풍설은 소지가 구리이며, 소량의 금성분이 검출되었다, 호리병 형태 소형 청동병은 형태적으로 비슷한 고려시대 화폐인 은병(銀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표면 성분분석과 함께 X-ray 촬영을 실시하였다. X-ray 촬영 결과 저부의 가운데 부분에 작은 구멍을 막았던 것으로 보이는 흔적이 확인되었으며, 전체적인 표면분석 결과에서는 은이 검출되지 않아 은병이 아닌 청동유물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