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 gas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34초

Development of a Welding Machine System Using Brown Gas by Improved Water Electrolyzation

  • Lee Yong-Kyun;Lee Sang-yong;Jeong Byung-Hwan;Mok Hyung-Soo;Choe Gyu-Ha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5권4호
    • /
    • pp.305-311
    • /
    • 2005
  • Throughout the world, studies on the water energization are currently under way. Of those, Brown gas, which is generated through the electrolyzation of water and is a mixed gas of the constant volume of 2 parts hydrogen to 1 part oxygen, has bette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economy, energy efficiency, and environmental affinity than those of acetylene gas and LPG (Liquefied Petroleum Gas) used for existing welding machines.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Brown gas and presents methods for increasing the generating efficiency of Brown gas by designing a power supply to deliver power to a water-electrolytic cell and designing a cylindrical electrod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electrolyzer needed for water electrolyzation. Based on the above the methods, a welding machine using Brown gas is developed. And the generation efficiency of Brown gas is measured tinder different conditions (duty ratio, frequency and amplitude) of supplied power.

브라운가스의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rown Gas)

  • 김창희;오규형;강경수;박주식;배기광;김종원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6년도 에너지.가스.기후변화학회 연합춘계학술대회 및 특별심포지움
    • /
    • pp.262-262
    • /
    • 2006
  • The characteristics of Brown gas was experimentally studied in view of efficiency and flame propagation. For this study, the Brown gas stack with 7 cells was manufactured following the Brown gas related patents and reports. All measuring equipments were re-tested and calibrated by Korea Laboratory Accreditation Scheme (KOLAS) certified laboratories. Since the amount of produced gas is most crucial in determining the efficiency, we adopted two gas collecting methods such as bottle trap method and wet gas meter method. The energy efficiency of our own fabricated stack was measured to be 75%, which is comparable to general alkaline water electrolysis efficiency. In order to analyze the flam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Brown gas, we measured the flame propagation pressure, velocity, and shape by using strain type pressure sensor, optical sensor, and high speed camera in conjunction with Schliren system, respectively.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flame propagation behavior of Brown gas was almost the same as that of hydrogen and oxygen mixture gas in 2:1 molar ratio. Moreover, from the high speed camera analysis, we concluded that Brown gas flame exhibits explosion behavior as does mixture gas ($H_{2}:O_{2}=2:1$).

  • PDF

디젤자동차 용 소형 브라운가스 발생장치의 개발을 위한 가스 생성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as Generative Properties for the Developments of Small Brown Gas Generation Equipments Usable in Diesel Cars)

  • 김주회;안형환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4-39
    • /
    • 2016
  • 디젤자동차용 소형브라운가스 생성 장치의 개발을 위하여 전극 셀의 재료로서 SuS와 Ni 및 Ag기반 셀을 제조하고 셀의 면적과 전해질의 농도 및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브라운가스 생성특성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전기분해 반응기는 셀의 표면적 및 전극 -극과 +극 배치를 다르게 하여 SMT30, SMT50, SMT50-1, SMT70, SMT90로 제조하였다. 이 때 각 반응기의 따른 브라운가스 생성특성은 셀의 접촉 면적이 클수록 생성특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전극배치의 경우는 같은 전극면적에서도 극의 배치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보였다. 또한 전해질의 농도에 대한 영향은 NaOH를 1~3‰로 변화시켰을 때 농도가 적을수록 생성특성이 증가하였고, 전류의 세기의 따른 생성특성은 SMT30, SMT50, SMT50-1, SMT70, SMT90에서 각각 $0.74{\ell}/10min$, $1.0{\ell}/10min$, $1.10{\ell}/10min$, $0.97{\ell}/10min$, $1.13{\ell}/10min$가 얻어졌다.

순시전원제어에 의한 수산화가스 발생장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rown Gas Generator with Instantaneous Source Power Control)

  • 전윤석;이상용;목형수;최규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093-1095
    • /
    • 2003
  • The mixed gas of Hydrogen and Oxygen has obtained from water electrolysis reaction. It has constant volume ratio 2 : 1 Hydrogen and Oxygen, and it is used as a source of thermal energy by combustion reaction. In this paper, Brown Gas Generator with Instantaneous source power control method is designed and relationship between brown gas quantities, efficiency and power condition is studied.

  • PDF

예비호화 현미분 함량과 CO2 가스 주입량에 따른 저온 현미-야채류 압출성형물의 물리적 특성 변화 (Change in Physical Properties of Cold-Extruded Brown Rice and Vegetable Mix at Various Pregelatinized Brown Rice Content and CO2 Gas Injection)

  • 길선국;최지혜;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716-1723
    • /
    • 2014
  • 예비호화 현미분 함량과 $CO_2$ 가스 주입량에 따른 현미-야채류 압출성형물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비기계적에너지, 팽화 특성, 기계적 특성, 수분용해지수와 수분흡착지수, 미세구조, 페이스트 점도, 호화도를 분석하였다. 수분 함량 30%, 사출구 온도 $60^{\circ}C$, 스크루 회전속도 100 rpm, 원료 사입량 100 g/min, 사출구 3 mm 원형으로 고정하였고, $CO_2$ 가스 주입량(0, 300, 600, 800 mL/min)으로 조절하였다. 원료는 예비호화 현미분/현미분/채소분을 0/95/5, 30/65/5, 50/45/5%로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비기계적에너지 투입량은 예비호화 현미분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예비호화 현미분 함량에 따른 압출성형물은 $CO_2$ 가스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직경팽화율이 증가하다가 내부 기공이 붕괴되면 직경팽화율은 감소하였다. $CO_2$ 가스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체적밀도는 감소하였다. 예비호화 현미분 함량이 감소할수록 $CO_2$ 가스 주입량에 따른 기공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페이스트 점도 측정 결과는 저온최고 점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원료와 유사한 peak time을 가지고 고온최고점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CO_2$ 가스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호화도도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CO_2$ 가스를 주입한 $60^{\circ}C$의 저온 압출성형공정은 재래식 압출성형공정과 동일한 팽화율과 낮은 밀도는 아니지만 생식팽화스낵 제조에 적용될 수 있는 공정으로 판단되었다.

수종(數種) 초본류(草本類)의 $SO_2$ 가스에 의한 가시피해특징(可視被害特徵)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Visible Injury of some Herbaceous Plants by $SO_2$ gas)

  • 김정규;임수길;김재봉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3-51
    • /
    • 1988
  • 10종(種) 19품종(品種)의 식물체(植物體)에 $SO_2$를 0, 0.2, 0.4, 0.7 및 1.5ppm으로 09 : 00∼17 : 00의 8시간(時間)씩식물환경조절실(植物環境調節室)에서 접촉(接觸)시키고 가시피해(可視被害)를 관찰(觀察)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배추(만춘, 조생미호, 서울, 전승), 무우(춘추알타리, 태백, 진주대평)와 고추(새로나, 홍산호, 홍일품)는 담갈색반점 ; 들깨, 금잔화, 국화와 사루비아는 흑갈색반점 ; 참깨(풍년, 광산)는 갈색반점(褐色斑點) ; 맨드라미는 적갈색(赤褐色), 변색(變色)으로 피해(被害)가 나타났다. 2) 무우, 배추, 고추, 들깨, 참깨, 금잔화, 사루비아는 엽맥간(葉脈間)에 반점(斑點)으로, 국화는 엽록(葉綠) 주위에 반점(斑點)으로, 맨드라미는 엽전면(葉全面)에 적갈변(赤褐變)으로 피해형태(被害形態)를 보였다. 3) 춘추알타리무우, 들깨, 참깨(풍년, 광산)와 사루비아는 0.4ppm에서도 피해(被害)를 보였고, 전승배추, 고추(홍일품, 새로나), 맨드라미는 1.5ppm에서만 피해(被害)를 나타냈다. 4) 감수성(感受性)이 높은 것은 들깨, 참깨, 사루비아, 춘추알타리무우였고, 내성종(은 국화, 배추, 맨드라미와 금잔화이었다.19품종(品種)의 식물체(植物體)에 $SO_2$를 0, 0.2, 0.4, 0.7 및 1.5ppm으로 $09\;:\;00{\sim}17\;:\;00$의 8시간(時間)씩 식물환경조절실(植物環境調節室)에서 접촉(接觸)시키고 가시피해(可視被害)를 관찰(觀察)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배추(만춘, 조생미호, 서울, 전승), 무우(춘추알타리, 태백, 진주대평)와 고추(새로나, 홍산호, 홍일품)는 담갈색반점 ; 들깨, 금잔화, 국화와 사루비아는 흑갈색반점 ; 참깨(풍년, 광산)는 갈색반점(褐色斑點) ; 맨드라미는 적갈색(赤褐色), 변색(變色)으로 피해(被害)가 나타났다. 2) 무우, 배추, 고추, 들깨, 참깨, 금잔화, 사루비아는 엽맥간(葉脈間)에 반점(斑點)으로, 국화는 엽록(葉綠) 주위에 반점(斑點)으로, 맨드라미는 엽전면(葉全面)에 적갈변(赤褐變)으로 피해형태(被害形態)를 보였다. 3) 춘추알타리무우, 들깨, 참깨(풍년, 광산)와 사루비아는 0.4ppm에서도 피해(被害)를 보였고, 전승배추, 고추(홍일품, 새로나), 맨드라미는 1.5ppm에서만 피해(被害)를 나타냈다. 4) 감수성(感受性)이 높은 것은 들깨, 참깨, 사루비아, 춘추알타리무우였고, 내성종(耐性種)은 국화, 배추, 맨드라미와 금잔화이었다.

  • PDF

현미가루를 첨가한 증편반죽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Jeung-pyun Dough Containing with Different Amounts of Brown Rice)

  • 정상열;박미정;이숙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17
    • /
    • 2011
  •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lished rice flour, brown rice flour, and Jeung-pyun dough were studied. The protein, lipid, dietary fiber, pH of brown rice flour were higher than those of polished rice flour.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of brown rice flour (83.60 mg%, 2.44%, respectively) were higher than those of polished rice flour (56.91 mg%, 1.43%, respectively). The temperature gelatinization of brown rice flour higher than that of polished rice flour. The counts in Jeung-pyun dough were not significantly decreased brown-rice flour. The addition of brown rice flour decreased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as evoluted from Jeung-pyun dough. The pH values of brown rice Jeung-pyun dough generally decreased fermentation time.

ELECTROMAGNETIC MEANING OF GIBB'S FREE ENERGY, ELECTOLYSIS, CELL REACTION AND BROWN GAS

  • Oh, Hung-Kuk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14
    • /
    • 2001
  • Physical chemistry states that electric potential is due to Gibb's free energy from chemical reaction of the electric cell. However we have not the electromagnetic meaning of Gibb's free energy. the free energy is discovered to be a kinetic energy part of the rotating electromagnetic wave ($\pi$-ray), which is different from conventional Coulomb attraction energy and can anticipate that there is a curre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lectric load. This paper manip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i$-rays (Gibb's free energy) and electrolysis, cell reaction and brown gas reaction.

  • PDF

Hoek-Brown 강도기준식 및 암질강도지수를 이용한 고압 유체 지하저장 공동의 융기에 대한 안정성 평가 (Stability Analysis for Ground Uplift in Underground Storage Caverns for High Pressurized Gas using Hoek-Brown Strength Criterion and Geological Strength Index (GSI))

  • 김형목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4권4호
    • /
    • pp.289-296
    • /
    • 2014
  • 압축공기에너지 및 고압 천연가스 등의 고압 유체의 지하저장을 위한 저장공동 상부 암반의 융기에 대한 안정성 검토를 위한 간이해석기법을 개발하고 그 적용사례를 소개하였다. 본 해석기법은 저장공동 상부에 원통형의 파괴모델을 가정하고 한계평형해석을 실시함으로써 융기에 대한 안전율을 계산한다. 원통형 파괴면에 작용하는 마찰저항력 계산에는 Mohr-Coulomb 강도기준식을 대신하여 Hoek-Brown 강도기준식을 적용함으로써 무결암의 강도특성 뿐만 아니라 암반 상태도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양한 암반 조건에서의 적용사례 및 암반 강도 정수의 민감도 분석 결과, 저장공동 상부 암반의 융기는 Mohr-Coulomb 강도기준식에 보다 민감함을 확인하였다.

브라운 가스 고온(高溫) 수증기(水蒸氣)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및 PE 가스화 (Biomass and PE Gasification with High Temperature Steam of Brown Gas)

  • 노선아;윤진한;김우현;길상인;민태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2호
    • /
    • pp.51-55
    • /
    • 2009
  • 초고온의 수증기를 발생하는 brown gas 화염을 이용하여 톱밥, 하수슬러지 및 PE의 가스화를 수행하였다. Steam/carbon ratio를 $1{\sim}5$로 변화시키면서 생성가스 농도, 가스화 속도, 타르 생성량 및 합성가스의 발열량에 대한 steam/carbon ratio의 영향을 고찰하였으며 반응기내 온도 분포를 살펴보았다. 생산된 합성 가스는 steam/carbon ratio의 변화에 따라 최고 70 vol%의 가연성 가스를 함유한 가스를 생산하였으며 가연성 가스 중 수소의 농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연성 가스의 발열량 및 타르의 생성량은 steam/carbon ratio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