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oyant flap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5초

부유 플랩형 고조방파제의 파랑응답 - 수치모의 (Wave Responses of Buoyant Flap-typed Storm Surge Barriers - Numerical Simulation)

  • 정신택;고동휘;박우선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96-20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부유 플랩형 고조방파제의 응답특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효율적인 연구를 위하여 파동장은 선형 포텐셜 이론을 적용하여 모형화하였으며, 구조물의 운동은 Newton의 운동 제2법칙을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유체 영역은 통상의 2차 보간함수를 갖는 등매개변수요소로 모형화하였으며, 방사경계조건에 접하는 외부 영역은 무한요소로 처리하였다. 수리실험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수립된 수치모델의 타당성을 입증하였으며, 개발된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마산만에 부유 플랩형 고조방파제 적용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부유 플랩형 고조방파제의 파랑 반사 및 전달 - 수리실험 (Wave Reflection and Transmission from Buoyant Flap Typed Storm Surge Barriers - Hydraulic Experiments)

  • 정신택;김정대;고동휘;김동현;박우선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38-245
    • /
    • 2008
  • 부유 플랩형 고조방파제의 파랑 반사 및 전달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리실험을 실시하였다. 수리실험에 사용된 부유 플랩형 고조방파제는 해저 지중에 설치된 기초구조와 이에 힌지로 연결된 부유 구조체로 구성된다. 36종의 규칙파와 4종의 불규칙파 조건에 대하여 파랑의 반사, 전달, 회전각 등을 분석하였다. 파랑 반사 및 전달 성능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일정 크기의 판을 부유 구조체에 부착하는 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수리실험 결과, 항내측에 판을 부착하는 경우는 효과가 미미하고, 외해측에 판을 부착하면 반사파와 전달파를 동시에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플랩형 부유 방파제의 파랑 반사 및 전달 특성 (Wave Reflection and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Flap-type Floating Breakwaters)

  • 정신택;박우선;김정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41-2145
    • /
    • 2008
  • 저면에 힌지로 연결된 3종류의 부유 플랩 시스템을 대상으로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시스템은 입사파를 반사시키고, 구조적 감쇄 및 점성 감쇄를 이용하여 파랑에너지를 감소시켜 차폐 해역을 제공한다. 다양한 파랑조건에 대하여 파랑의 반사, 전달, 플랩의 회전각 등을 분석하였다. 외해 날개벽을 부착한 형태가 파랑의 전달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 PDF

FLOW-3D 모형을 이용한 부유 플랩형 고조방파제의 수리학적 특성 분석 (Hydraulic Characteristic Analysis of Buoyant Flap Typed Storm Surge Barrier using FLOW-3D model)

  • 고동휘;정신택;김정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140-148
    • /
    • 2014
  • 고조방파제는 폭풍해일이나, 대조시 창조류로부터 내부 해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계된 특수한 형태의 수문 구조물로, 홍수 방지 벽, 방조제 및 다른 구조물로 구성된다. 평상시 고조방파제는 해수 소통을 허용하지만, 폭풍해일이 예상되면 폐쇄된다. 폐쇄시키는 다양한 방법 중 본 연구에서는 이태리 모세프로젝트에 적용한 것과 같은 부유 플랩형 고조방파제를 마산만에 적용할 경우, 폭풍해일 및 파랑이 작용할 때의 고조방파제 거동특성을 3차원 유동해석프로그램인 FLOW-3D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수치해석결과, 고조차 2 m인 상태에서 파고 3 m 조건에서도 고조방파제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