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iness plan

검색결과 2,006건 처리시간 0.028초

스타트업의 완벽한 사업계획서는 성공을 보장하는가?: 사업계획서의 완성도와 경영성과를 중심으로 (Can a Perfect Business Plan For a Startup Guarantee Success?: Focusing on the Completeness of the Business Plan and Firm's Performance)

  • 박현영;이우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3호
    • /
    • pp.127-139
    • /
    • 2023
  • 창업을 준비하고 시작하는 과정에서 스타트업의 창업가는 사업계획(Business Plan)을 세우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문서로 정리된 사업계획서는 사업의 로드맵 역할 뿐 아니라, 자본조달과 창업 팀 내부의 커뮤니케이션 도구로도 활용된다. 그런데, 창업가들이 이렇게 공들여 완성시켜가는 사업계획서는 실제 스타트업의 성과창출에 효과가 있을까? 이러한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는 사업계획서가 스타트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창업가가 생각하는 사업계획서의 만족도에 따라 사업계획서와 성과와의 영향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사업계획의 완성도와 이에 대한 창업가의 만족이 스타트업의 성과와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 검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150명의 창업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사업계획서의 완성도와 성과사이의 회귀분석 후 대상을 창업 3년 미만과 3년 이상으로 분리하여 2차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스타트업의 사업계획서 완성도는 재무적 및 비재무적 경영성과와 모두 정(+)의 영향관계가 있으며, 이 관계에서 창업가의 사업계획에 대한 스스로의 만족도가 재무적 경영성과에는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창업한지 얼마 되지 않은 3년 미만의 스트타업의 경우에는 창업가의 사업계획에 대한 스스로의 만족도가 사업계획서의 완성도와 비재무적 성과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창업초기 스타트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방안으로 사업계획서 작성의 필요성을 재조명하고 그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스타트업 창업가들이 사업계획에 대한 중요성을 잘 이해하고 초기창업의 실패를 낮추는데 기여 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되길 기대한다.

  • PDF

국내 금융권 재해복구시스템의 문제점 분석 (Analysis of Disaster Recovery System in Bank Industry)

  • 김용수;백승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23-229
    • /
    • 2005
  • 대규모 투자를 통하여 구축된 재해복구시스템(DRS)도 체계적인 운영관리를 소흘히 하면 일정 기간 경과 후에는 최초의 구축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쓸모없는 시스템으로 전락할 소지가 있다. 또한 재해복구체계는 전산장비의 이중화에 의해서 완성되는 것은 아니다. 재해 시 재해복구시스템 유지를 위해서는 기존 전산센터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이 동일하게 이루어져야 정상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따라서 IT 측면에서의 프로젝트 추진이 아니고 전산센터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전체 프로세스 측면에서 분석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더 나아가 전사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 설계하는 사업연속성계획 수립이 절실하다. 따라서 국내 금응권 재해복구시스템의 현상 파악을 통하여 실효성을 분석해 봄으로써 문제의 원인과 보완책을 함께 찾아보고자 한다.

  • PDF

창업보육센터의 중장기 발전 전략: 창업기업 인터뷰와 선진국 창업보육센터 벤치마킹을 토대로 (Mid- to Long-term Development Strategies of Business Incubation Centers - Based on Interviews with Start-up Companies and Benchmarking of Business Incubation Centers in Developed Countries)

  • 김수경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30권4호
    • /
    • pp.1-9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mid-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 on the business incubator center after interviewing five startups that currently being occupied in or already left the center and reviewing benchmark on business incubator centers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A, Sweden, and Israel. For the interview, the three startups currently being occupied in the center and the two companies already left the center were participated. The main strengths of the center from all of these five companies were easy accessibility to the equipment and space and at the same time trustworthy from the outside vendors and/or government, etc. USA is a leading country who has long history for the startups but mostly the private companies/organizations/individuals have supported the startups in terms of funding or consulting. Also, there are countless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who provide funding, education, and/or space for the small businesses. Mainly based on the interview and the benchmarking, the mid-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the business incubator center was made. All six themes such as consortium for investment or a local network plan were derived for the development plan which was described in this study.

Application of visual decision making process in the development of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vision and implementation plan

  • Kim, Jae-Kyeong;Sung, Tae-Kyung
    • 경영과학
    • /
    • 제14권2호
    • /
    • pp.185-198
    • /
    • 1997
  •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BPR) aims at a radical redesign of our business processes in order to achieve dramatic improvements in their performance. However, the fact that many BPR projects have failed hesitates the companies who have started to use BPR or who are planning to do so. Implementing a radical plan from a cross-functional perspective needs a more careful consideration of process vision, preventive measures and contigency plan. Our research suggests to use a visual decision making process (VDMP) in the development of a process vision and implementation plan. A BPR project of Carlaon School of Mnagement (CSOM) at the University of Minnesota is illustrated to show our suggested methodology.

  • PDF

정보시스템 재해복구의 핵심성공요인(CSF)과 실천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Practical Method of Information System Disaster Recovery : Assuring Business Continuity of Information System Interface Specification Modeling)

  • 정영희;이정훈;김은영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83-101
    • /
    • 2011
  • Since most of companies these days are utilizing the Information system actively, Information System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ch should be recovered in terms of Business Continuity. However, a lot of enterprises have been outsourcing their Disaster Recovery Center. Therefore,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information system can not work well and result in the discontinuity of business when any trouble arises because of seperated plan of Business Continuity and Disaster Recovery. The study draws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successful disaster recovery through researches of 42 documents. Then, factors are reviewed through interviews with consultants, experts of Business Continuity Plan and the information system officers of domestic banks. Domestic companies can make use of the study when they develop or renew Disaster Recovery Plan or Information System in terms of Business continuity.

사업계획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구성요소 및 기업가유형, 발전단계 측면에서 (A Study on The Effects of Business Plan upon Firm Performance)

  • 고인곤
    • 벤처창업연구
    • /
    • 제6권4호
    • /
    • pp.111-135
    • /
    • 2011
  • 사업계획과 경영성과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주장이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설득력을 얻고 있지만, 이를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국내외의 연구들은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한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사업계획의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각 구성요소들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우량기업과 비우량기업 집단 간에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봄으로써 사업계획과 경영성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이들 영향력이 기업가유형과 기업의 발전단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도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유용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사업계획의 구성요소들은 재무 및 관련시스템 요인과 제품화 및 판매 요인, 수익 및 품질 요인, 광고 및 유통요인, 경영이념 요인으로, 경영성과는 ROS(return on sales), ROA (return on assets), 시장점유율, 종업원 수의 개선정도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사업계획서의 구성요소들은 종업원 수 항목에서 우량기업집단과 비우량기업집단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구분하고 있었으며, 특히 분류집단 예측력이 높은 요인은 재무 및 관련시스 템 요인과 광고 및 유통 요인이었다. 하지만 ROS, ROA 및 시장점유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 지 않았다.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 측면에서 기술/장인 기업가는 제품화 및 판매 요인, 수익 및 품질 요인을, 일반/기회 기업가는 재무 및 관련시스템 요인, 광고 및 유통요인, 경영이념 요인의 영향력을 높게 평가하였으며, 모든 발전단계에서 경영이념 요인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다. 여러 요인 가운데서도 특히 재무 및 관련시스템 요인과 광고 및 유통 요인은 기업가유형 간 및 발전단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사업계획 수립 시 중점을 두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 PDF

Social Business in An Emerging Economy: An Empirical Study in Bangladesh

  • CHOWDHURY, Fatema Nusrat;MUSTAFA, Jasia;ISLAM, K.M. Anwarul;HASAN, K.B.M. Rajibul;ZAYED, Nurul Mohammad;RAISA, Tahsin Sharmil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3호
    • /
    • pp.931-941
    • /
    • 2021
  • The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B,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nd the emerging economy. Thereafter it highlights the types, principles, and funding cycle of SB with the evidence from Grameen Bank, which is a globally well-recognized microfinance venture in Bangladesh established by the Nobel Laureate Dr. Muhammad Yunus. This study employs qualitative analysis to illustrate an architectural overview of the SB model by collecting secondary data from various publications related to the topic and published data of Grameen Bank. Finally, this paper illustrates the SB model along with specified characteristics, systematic framework, and main approaches for sustainable context, which could be applied as a conceptual framework for SB in any context of the emerging econom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B model is the workflow having a hierarchy of five phases namely need identification, goal setting, solution-based business plan, business plan assessment, and business plan execution. Analyzing a range of social business interventions in a developing country, Bangladesh, through the lens of five key aspects demonstrates that social business is the most efficient way to sustainably maximize the social benefits and minimize specific social issues poverty of the people affected.

통합 공급망계획을 위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패턴 연구 : 견적요청 유형 분석을 바탕으로 (A Study on Business Process Patterns for Integrated Supply Chain Planning : Based on Analysis of RFQ Types)

  • 정한일;장태우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5권1호
    • /
    • pp.83-97
    • /
    • 2008
  • Today's competitive global market makes most enterprise endeavor to specialize their business areas, and co-operate with trading partners in supply chain by the forms of collaboration, information and business process sharing. However, even the supply chain plan generated by co-operation often fails to be executed successfully, because it was generated without capacities of suppliers and more over nested suppliers.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e supply chain plan of an enterprise should be generated truly integrated way. In this paper, we classify business patterns based on scenarios about quotation processing and supply chain planning in self-integrated environment. And we present business process models about four business patterns and describe them, which are classified by whether request for quot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price, required time periods, and quantity for each required time period and whether it is received from customer or sent to supplier. In addition, we describe the types of supply chain planning problem.

  • PDF

지방행정업무지원시스템의 효율적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광주서구청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ffective Building Plan of Supporting Systems of Local Government Public Service Business - Centered on Case Study Seo Gu District Office in Gwang Ju City -)

  • 임기흥;최광돈;이수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6권1호
    • /
    • pp.43-52
    • /
    • 2008
  • Managing of local government public service business is innovation strategy of local government public service business using choice and competition principle. Managing strategy of local government public service business is new paradigm for innovating public service business and role structure of governmen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properly substance and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ment public service busines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find bottleneck of local government public service business and take out improvement plan and suggest policy plan of Seo Gu District Office in Gwang Ju City in the future.

  • PDF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창업 및 사업계획에 대한 연구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Business Planning and Starting up a Business in Korea)

  • 고인곤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2호
    • /
    • pp.1-8
    • /
    • 2012
  • 최근 청년층의 창업이 화두가 되고 있다. 창업에 있어서 사업계획 수립은 기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사업계획 수립행태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교내, 외에서 사업계획을 접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그들이 사업계획과 기업성과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는지, 관련이 있다면 얼마나 밀접하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한편, 기존 연구들과 관련 서적들은 사업계획과 기업성과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들은 국내외적으로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하여 실증적으로 접근하였다. 우선 사업계획의 구성요소들을 기존 연구들을 포함한 광범위한 문헌 연구를 통하여 선정하고 요인분석을 통하여 이들 구성요소들을 제품관리 요인, 제품개발 요인, 경영지원시스템 구축 요인, 조직관리 요인, 거시적(macro) 계획화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기업성과를 계량적 성과와 비계량적 성과로 구분하여 각각에 미치는 사업계획 구성요소들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사업계획서 구성요소들이 기업의 계량적 및 비계량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아울러 우리나라의 내국인 대학생들은 창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으며, 서비스업 창업을 희망하고 있으나 대부분 사업계획서를 작성해본 경험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외국인 학생은 상대적으로 높은 창업관심도와 사업계획서 작성경험을 가지고 있었으며, 창업희망 산업도 다양했다. 하지만 창업관심도나 창업희망 산업, 사업계획서 작성경험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업의 관점이 아닌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시각에서 사업계획서의 구성요소와 기업 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본 실증적 연구로서, 청년창업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효과적인 창업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