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ulase%2C

검색결과 327건 처리시간 0.023초

Chaetomium globosum 이 생성하는 Cellulose 분해 효소에 관한 연구 -(제2보) Cellulase의 정제- (Studies on Cellulolytic Enzyme Producing by Ckaetomium globosum -Part 2. Purification of Cellulase-)

  • 정동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2권
    • /
    • pp.33-41
    • /
    • 1969
  • 1. Cheatomium globosum의 밀기울 배양기에서 조효소를 추출하고 황산암모니움 염석 부분을 cellulose 분말 column으로 2개의 cellulase활성 부분(C-1, C-2)을 분리 하였다. 그 하나는 환원당 증가 활성이 강하며 (C-1) 다른 하나는 곁도 감소 활성이 강하였다. (C-2) 그러나 단백질 량은 C-1부분이 많았고 C-2 부분은 적었다. 2. 환원당 증가 활성이 강한부분 (C-1)을 DEAE-Sephadex A-25 column에서 분리할 결과 다시 2개의 성분 (C-1-1 및 C-1-2)으로 나누어 졌다. 그리고 C-1-2는 column에 강하게 흡착되었고 2M-NaCl의 용액으로 용출되었다. 이는 착색 된 것으로 봐서 C-1-1과는 아주 다른 단백질로 생각이 된다. 3. Cellulase C-1-1을 다시 Amberlite XE-64 column으로 분별하여 단일의 peak를 얻었다. 4. Cellulase C-1-1 부분의 초원심 침강계 면은 단일의 peak로 나타나고 또 자외선 홍수 spectrum도 전형적인 단백질의 흡수 spectrum을 나타 내었다. 5. Cellulase C-1-1의 최적 pH는 환원당 증가활성법으로나 점도 감소 활성법으로 다 같이 pH 4.0이였다. 6. 그리고 그의 최적 온도는 $40^{\circ}C$였다. 7. Cellulase C-1-1의 pH 안정성은 $40^{\circ}C$에서 pH 5.0 내지 pH 8.0의 범위 내였다. 8. 그리고 열안정성은 pH 4.0에서 $50^{\circ}C$ 이하였다

  • PDF

Pleurotus sajo-caju가 생산(生産)하는 효소(酵素)에 관한 연구(硏究)(I) -섬유소(纖維素) 분해(分解) 효소(酵素)의 생산(生産)에 관하여- (Studies on the Enzymes Produced by Pleurotus sajor-caju(I) -The Production of Cellulolytic Enzymes-)

  • 홍재식;엄태붕;정기태;이강배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59-64
    • /
    • 1984
  • 볏짚배지(培地)에서 Pleurotus sajor-caju의 배양조건(培養條件)을 달리하여 섬유소분해효소(纖維素分解酵素) 생산(生産)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효소생산(酵素生産)의 최적(最適) 수분함양(水分含量), pH 및 온도(溫度)는 $C_1-cellulase$가 60%, 7.0, $35^{\circ}C$ 이었고 $C_x-cellulase$는 60%, 5.0, $25^{\circ}C$이었으며 ${\beta}-glucosidase$는 60%, 7.0, $20^{\circ}C$이었다. 2) 균사배양기간(菌絲培養期間) 중에 광(光)을 조사(照射)하므로서 $C_1-cellulase$${\beta}-glucosidase$생산(生産)은 감소(減少)하였으나 $C_x-cellulase$$500{\sim}1,000\;lux$에서 오히려 증가(增加)되었다. 3) 배양기간(培養期間) 중에 $C_1-cellulase$가 감소(減少)하면 $C_x-cellulase$${\beta}-glucosidase$가 증가(增加)하는 상반관계(相反關係)를 나타내었다. 4) 부원료(副原料) 중에서 $C_1-cellulase$는 미강(米糠), $C_x-cellulase$는 면실박(綿實粕)과 미강(米糠), ${\beta}-glucosidase$는 대두박(大豆粕)과 어분(魚粉)을 첨가(添加)했을 때 가장 양호(良好)했으며 $C_1-cellulase$${\beta}-glucosidase$는 미강(米糠) 20%, $C_x-cellulase$ 10%는 첨가(添加)했을 때 양호(良好)하였다.

  • PDF

Cellulase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 Cellulase 생성균(生成菌)의 분리(分離)와 조효소(粗酵素)의 제성질(諸性質)- (Studies on Cellulase -Part 1. Isolation of Cellulase Forming Microorganisms and the Properties of Crude Enzymes-)

  • 정동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1권
    • /
    • pp.109-117
    • /
    • 1969
  • 분뇨처리장(糞尿處理場)에서 400여(餘) 균주(菌株)를 분리(分離)한 결과(結果) 그중(中) 두 균주(菌株)가 cellulase생성(生成)이 강(强)하였다. 이 균주(菌株)는 진탕배양(振湯培養)으로 cellulase를 많이 생성(生成)하였으며 이들 효소(酵素)의 성질(性質)은 다음과 같다. 1. 최적(最適) pH는 4.0에서 5.5 범위이다. 2. 안전(安全) pH는 3.5에서 6.5 범위이다. 3. 최적온도(最適溫度)는 $40^{\circ}C$에서 $45^{\circ}C$ 이다. 4. 열안전성(熱安全性)은 $50^{\circ}C$ 이하이며 $70^{\circ}C$에서 거의 불활성화(不活性化) 된다. 5. 투석효소(透析酵素)는 $Mn^{2+}\;Co^{2+}$로 활성화되며 $Hg^{2+}$는 강한 조해제(阻害劑)이다.

  • PDF

알칼리성 Cellulase를 생산하는 호알칼리성 Bacillus sp. HSH-810의 분리 및 효소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lkaline Cellulase Produced by Alkalophilic Bacillus sp. HSH-810)

  • 김지연;허성호;홍정화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39-146
    • /
    • 2004
  • 일반 토양과 부엽토, 퇴비로부터 alkaline cellulase 생성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한 후 형태적, 배양학적 및 생화학적 동정을 실시한 결과 호알칼리성 Bacillus sp. HSH-810 균주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분리균 Bacillus sp. HSH-810의 생육과 효소 활성은 $30^{\circ}C$와 pH 10.0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균주는 배지 중에 탄소원과 질소원, 무기염으로 1.0%의 CMC와 0.5%의 peptone, 0.02%의 $CaC1_2$, $CoC1_2$를 사용하였을 경우 최대의 alkaline cellulase생산성을 나타내었다. 효소의 최적 활성 pH와 온도는 각각 10.5와 $50^{\circ}C$였다. 이 효소는 pH 6.0-13.0과 $50^{\circ}C$의 온도에서 매우 안정하였다. 효소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 효소액은 sodium-$\alpha$-olefin sulfonate (AOS)와 sodium dodecyl sulfonate (SDS), Tween 20, Tween 80에 대하여 안정성 이 높은 특징을 보였으나 0.1%의 linear alkyl-benzene sulfonate (LAS)를 첨가한 경우에는 효소 활성이 심하게 저해되었다.

섬유소(纖維素) 분해효소(分解酵素)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5보(第5報)) -Trichoderma $(O_2-1)$가 생성(生成)하는 Cellulolytic Complex의 분별(分別)에 대(對)하여- (Studies on the Cellulase. (V) -Fractionation of Cellulolytic Complex produced by Trichoderma $viride(O_2-1)$)

  • 성낙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2권
    • /
    • pp.99-105
    • /
    • 1969
  • Trichoderma $(O_2-1)$의 조효소(粗酵素)를 Ethanol 및 Acetone 농도별(濃度別)에 따른 회수율(回收率)을 실험(實驗)한 결과(結果) 각(各) cellulase는 현저(顯著)한 차이(差異)가 나타났다. 즉(卽) Ethanol을 사용(使用)하였을 경우 ${\beta}-glucosidase$는 60% C.M.C분해효소(分解酵素), 여지붕괴(濾紙崩壞濾) 효소(酵素)는 80% 일때가 좋았고 Acetone을 사용(使用)하였을 경우 ${\beta}-glucosidase$는 60% 여지붕괴(濾紙崩壞濾) 효소(酵素)는 80%, C.M.C분해효소(分解酵索)는 90% 농도(濃度)일때가 좋은 결과(結果)를 나타내었다. 조정제(粗精製)한 Cellulase를 Silicagel, cellulose powder, Gauze를 사용(使用)한 column chromatography에 의(依)하여 분별(分別)란 결과(結果) 수치(數個)의 구분(區分)으로 분별(分別) 할 수 있었다. C.M.C 분해효소(分解酵索)와 Avicel 분해효소(分解酵索), ${\beta}-glucosidase$의 대부분(大部分)은 흡착(吸着)이 되지않고 유출(流出)되었으며, 대부분(大部分)의 여지붕괴효소(濾紙崩壞濾酵素)와 일부분(一部分)의 Avicel분해효소(分解酵索)는 흡착(吸着)되었다가 증류수(蒸溜水)로서 유출(流出)함으로씨 용출(溶出)되었다. 따라서 C.M.C 분해효소(分解酵索)와 여지붕괴효소(濾紙崩壞濾酵素)는 상이(相異)한 Cellulase 성분(咸分)임을 알았다. 또 C.M.C 분해효소(分解酵索)와 Avicel 분해효소(分解酵索)는 용출구분(溶出區分)에 있어 peak가 상이(相異)한 다른 구분(區分)에서 상대활성(相對活性)이 다르므로 역시 별개(別個)의 종류(種類)로 구분(區分)되었다. 또 여지붕괴효소(濾紙崩壞濾酵素)와 Cellulose powder (여지분말(濾紙粉沫)) 당화효소(糖化酵素)는 흡착구분(吸着區分)과 비흡착(非吸着) 구분(區分)으로 분별(分別)되니 사이(相異)한 Cellulase 성분(成分)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Trichoderma viride $(O_2-1)$의 Cellulase는 적어도 3종이상(種以上)의 Cellulase 성분(成分)으로 되어 있다고 추찰(推察)된다.

  • PDF

섬유소(纖維素)의 당화(糖化) (Enzymatic Hydrolysis of Cellulose)

  • 이계준
    • 생약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5-93
    • /
    • 1976
  • Since cellulose is the only organic material that is annually replenishable in very large quantities, we must explore ways to utilize it as a source of energy, food and chemicals. For the utilization of this resource, it is first enzymatic hydrolyzed to glucose, then the glucose can be used as a food, converted single cell protein by microorganism, fermented to clean burning fuel and other chemicals. Cellulolytic enzyme, cellulase, consists of two or three major components, $C_1-cellulase$, $C_x-cellulase$ and ${\beta}-glucosidase$. $C_x-cellulase$ are fairly common but $C_1-cellulase$ are quite rare. Trichoderma viride is the best source of active cellulose, especially $C_1-enzyme$. Saccharification rate of cellulose in greatly influenced by the degree of crystallinity and extent of lignification. But by the pretreatment the substrate with cellulose swelling agent, delignifying reagent and physical treatment, the degree of saccharification is enhanced. Thus, glucose syrups of 2 to 10% concentration are realized from milled newspaper. The enzymatic hydrolysis of such energy rich material, such as cellulose, to glucose is technically feasible and practically achievable on a very large scale.

  • PDF

고추역병을 방제하는 PGPR균주 Bacillus subtilis AH18의 항진균성 Cellulase 유전자의 Cloning 및 효소 특성 조사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Cellulase Gene from a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um, Bacillus subtilis AH18 against Phytophthora Blight Disease in Red-Pepper)

  • 우상민;정희경;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11-317
    • /
    • 2006
  • 식물생육을 촉진하고 고추역병균을 방제하는 다기능 PGPR 균주 Bacillus subtilis AH18 항진균성 cellulase 유전자를 PCR을 이용해 pUC18과 재조합 후 E. coli DH5$\alpha$에 cloning하여 E. coli내에 발현시켰으며, 그 형질전환 균주를 E. coli DH5$\alpha$(pCM 41)이라 명명하였고, 발현된 cellulase를 ce/H라 하였다. E. coli DH5$\alpha$(pCM 41)의 inset 부위는 B. subtilis AH18의 1,582 bp 유전자를 포함하며 cellulase의 유전자는 1,524 bp로 508개의 amino acid가 암호화된 것으로 추정되었고, CMC를 함유한 SDS-PAGE의 방법으로 약 55 kDa의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B. subtilis AH18이 가지는 ce/H는 3종의 대표적인 Bacillus spp.들의 cellulase 유전자의 DNA와 아미노산 배열이 98% 이상 유사하였으며, CMC(carboxymethyl-cellulose) 뿐만 아니라, 불용성 섬유소인 Avicel, filter paper(Whatman No. 1) 특히 고추역병균인 Phytophthora capsici의 건조 cell wall도 분해하였다. 또한 colH의 cellulase는 $50^{\circ}C$에서 효소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최적 pH는 pH 6.0이었다. 그리고 $AgNO_3$ 또는 $CoCl_2$ 첨가시 활성이 1.7배, 2배 정도 증가하였고 $HgC1_2$ 첨가시는 활성이 20%까지 떨어졌다. 또한 여러 화학 저해제들 중 Sodium azide 또는 Hydroxy urea는 효소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CDTA 또는 EDIA는 섬유소분해능을 감소시켰다. 이들의 결과는 고추역병균 P. capsici의 생육을 억제하는 B. subtilis AM18의 진균세포벽 용해성 cellula의 효소학적 특성을 구명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효소처리에 의한 은행잎 중 활성성분 추출에 관한 연구( I ) (Studies on the Extraction of Active Components in Ginkgo biloba Leaves by Enzyme Treatments (I))

  • 김보영;이창걸;황완균;허재두
    • 생약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3-47
    • /
    • 1989
  • An attempt was made to increase the yield of extraction of ginkgoflavonglycosides from leaves of Ginkgo biloba by treatments of with Cellulase C and macerating enzymes. The yield of dried extract and its contents of ginkgoflavonols, when treated only with cellulase C, were analyzed to be 1. 99% and 0. 38%,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ginkgoflavonglycosides in the dried extracts were calculated to be 25. 28%. By the treatment with a mixture of three enzymes, cellulase C: cellulase NC and macerosin (1 : 1 : 2), the yield of the dried extract, ginkgoflavonols as well as their glycosides were determined to be 2. 48%, 0. 48% and 24. 16%, respectively.

  • PDF

Production of Cellulase by Trichoderma reesei Rut C30 in Wheat Bran-containing Media

  • Yu, Xiao-Bin;Yun, Hyun-Shik;Koo, Yoon-M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8권3호
    • /
    • pp.208-213
    • /
    • 1998
  •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wheat bran to the growth medium on the production of cellulolytic enzymes of Trichoderma reesei Rut C30 was studied in batch culture using shake flasks. The activity of cellulase was enhanced by the addition of wheat bran to the cellulase production medium. $KH_2PO_4$-$K_2HPO_4$ buffer was used for pH control during cellulase production. As a result, high cellulase activities were obtained in shake flask culture; a CMC (carboxymethyl cellulose) activity of 125.78 U/ml was obtained from 2% Avicel- and 3% wheat bran-containing medium and an FP (filter paper) activity of 12.85U/ml was obtained from 1% Avicel- and 5% wheat bran-containing medium after 6 days of cultivation.

  • PDF

Trichoderma sp. SO-571에 의한 Cellulase 생산 및 섬유가공 처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Cellulase by Trichoderma sp. SO-571 and the Enzyme Treatment for Cellulosic Fabrics.)

  • 오성훈;김무성;소성;서형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2-45
    • /
    • 2003
  • 토양에서 분리한 균주 Trichoderma sp. SO-571의 cellulase를 생산하기 위해 3.0% cellulose, 4.0% 탈지대두, 3.0% 밀기울, 0.5% ($NH_4$)$_2$$SO_4$, 0.2% urea, 1.0% CSL, 0.5%$ KH_2$$PO_4$, 0.2% Tween 80을 사용하여 생산한 결과, 균체량은 배양 62 시간에 가장 높은 양을 보였으며, cellulase 활성은 배양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Ultrafiltration을 이용하여 cellulase를 정제한 결과, 47.8%의 수율과 4.6배의 정제도를 보였다. Cellulase를 섬유가공 처리에 사용하기 위한 최적 반응 pH및 온도는 pH 5, $60^{\circ}C$에서 최대의 활성을 보였다 섬유가공 처리에 대한 cellulase효과를 측정하고자 청천과 텐셀을 대상으로 감량율을 측정한 결과, 청천에 대한 감량율은 분리균주가 생산한 cellulase는 2.9%, Celluclast 1.5 L은 2.2%의 감량율을 보였다. 텐셀 처리시 분리균주의 cellulase는 0.62%, Celluclast 1.5 L은 0.45% 감량율을 보였다. 또한 반응시간에 따른 천청에 탈색정도를 측정하고자 세탁 가공처리한 물의 청색정도를 660nm에서 측정한 결과, 세탁시간이 증가할수록 흡광도가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