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stnut inner shell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55초

율피추출물의 사람 비만세포주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Chestnut Inner Shell Cytokine Production from Human Mast Cell Line)

  • 전동하;장영아;김희영;김수진;김진철;김세현;권대준;한상익;이진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55-60
    • /
    • 2013
  • Objectives : Atopic dermatitis (AD) is a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 characterized by eczematous inflammtion of the skin. The chestnut inner shell extracts (CI) has been used as a cosmetic material for a long time in Korea. However, the precise anti-allergy effects of CI have yet to be clearly elucidated.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I on mast cell-mediated allergy inflammation. Methods : To find the anti-allergy and inflammatory effect of CI,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CI on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using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in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plus calcium ionophore (A23187) stimulated-human mast cell (HMC-1). Results : In this study, we found that CI did not show cytotoxic effect at up to 10 ug/ml on HMC-1. CI inhibited the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6 and IL-8 in stimulated HMC-1. Maximal rate of TNF-${\alpha}$, IL-6 and IL-8 inhibition by CI (10 ug/ml) were about 47.6%, 44.1% and 22.5% respectively. In addition, we showed that Fr.3 isolated from n-Butyl alcohol layer of CI attenuated the production of TNF-${\alpha}$, IL-6 and IL-8 in HMC-1. Conclusion : Taken toget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us with a novel insight action of CI as a potential molecule for use in the treatment of allergic inflammation diseases.

밤의 화염박피 시스템 최적화에 관한 연구(I) - 국내산 밤의 화염박피 특성 예측모델 개발 - (Study on Optimization of Flame Peeling System for Chestnut(I) - Development of Simulation Model for Flame Peeling Characteristics -)

  • 김종훈;박재복;최창현;권기현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9권1호
    • /
    • pp.45-52
    • /
    • 2004
  • The chestnut is a well-blown and important forest product in Korea. The annual production of chestnut is about 95,000 tons and its cultivating area is 80,000 ha. However, the peeling process of outer and inner skins of chestnut is very difficult due to hardness and adhesiveness of chestnut sk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ediction model for flame peeling characteristics of domestic chestnuts, and to evaluate an optimization model to determine the operation conditions of the chestnut flame peeling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flame peeling characteristics of domestic chestnuts were by the flame temperature, and the flame time. The peeling ratio and the heating depth were increased as the flame temperature and the flame time were increased. The peeling ratio and the heating depth were increased linearly when those were less than 85 % and 2 mm respectively. As the hardness of chestnut shell was decreased, the peeling ratio was increased. A simulation model was developed to predict the peeling ratio and the heating depth based on the hardness of the chestnut shell, the flame temperature, and the flame time of the peeling system. The model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measurement and the prediction of the peeling ratios and heating depths, and showed the good relationship.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 from the Inner Shell of Chestnut

  • SON Kyung Hun;YANG He Eun;LEE Seung Chul;CHUNG Ji Hun;JO Byoung Kee;KIM Hyun Pyo;HEO Moon Yo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3권3호
    • /
    • pp.150-155
    • /
    • 2005
  • The ethanolic extract of chestnut (Castanea crenata S. et Z., Fagaceae) inner shell (CISE) and one of its components, ellagic acid (EA), were evaluated for their protective effects against 1, 1-diphenyl-2-picryl hydrazine (DPPH) free radical generation and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DNA damage in a mammalian cell line. CISE and EA were shown to possess the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against DPPH radical generation, significantly. They were also found to strongly inhibit hydrogen peroxide-induced DNA damage from Chinese hamster lung (CHL) cell, assessed by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assay and 8-hydroxy -2'-deoxy guanosine (8-OH-2'dG) assay. Furthermore, topical application of CISE [$12.5\%$(w/w) cream] and ellagic acid [$1.0\%$(w/w) cream] for 14 days potently inhibited malondialdehyde (MDA) formation of mouse dorsal skin (a marker of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ultraviolet B exposure. Therefore, CISE and its component, ellagic acid, may be the useful natural antioxidants by scavenging free radicals,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protecting oxidative DNA damage when topically applied.

대두유에 대한 율피의 용매분획별(Ether, Butanol, Water) 항산화효과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ree Solvent(Ether, Butanol, Water) Extrats from Chestnut Inner Shell in Soybean Oil)

  • 오승희;김용욱;김명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03-708
    • /
    • 2005
  • 대두유에 율피의 용매분획별(에테르, 부탄올, 물) 추출물과 tocopherol, BHA를 각각 0.02% 첨가한 후 자동산화 및 가열 산화시 항산화효과를 비교하였다. 1. 자동산화시 과산화물가를 통한 항산화력 비교에서 $45^{\circ}C$에서 42일간 저장한 경우 부탄올추출물 > 에테르추출물 > 무첨가구 > BHA > 토코페롤 순으로 항산화력이 있었고, $60^{\circ}C$에서 32일간 저장한 경우에도 부탄올 추출물이 강한 항산화력을 보였으며, 에테르추출물은 무첨가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2. 가열산화의 경우 에테르추출물이 우수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3. 추출물의 용매별 항산화성분의 분석결과 에테르추출물에는 ellagic acid, quercetin, morin, naringenin, flavanol로서 주요성분은 ellagic acid이었다. 이들 성분의 총량은 에테르추출물 49.09%(w/w), 부탄올추출물 76.26%(w/w)로서 부탄올 추출물에 폴리페놀성분이 다량 함유되어있어 우수한 항산화효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부탄올추출물에는 ellagic acid, naringenin, gallic acid, flavanol이 있었으며, 주요성분은 naringenin, gallic acid로서 이들 성분들이 항산화 효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숙성 흑율피를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Aged Black Chestnut Inner Shell)

  • 손은정;박소영;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02-209
    • /
    • 2017
  • 본 연구는 항산화성이 우수하나 버려지는 율피의 이용 증대를 위해 숙성시켜 파우더로 만든 후 쿠키에 첨가(0.25%, 0.5%, 1%)하여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을 분석하였다. 숙성 흑율피 첨가 쿠키의 수분 함량은 숙성 흑율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 함량도 같이 증가하였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환원당 함량은 숙성 흑율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명도는 숙성 흑율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색도는 숙성 흑율피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황색도는 숙성 흑율피 첨가량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pH는 숙성 흑율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산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숙성 흑율피 쿠키의 조직감은 강도에서만 각각에 유의적이 차이를 보였으며 씹힘성에서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페놀의 함량은 숙성 흑율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DPPH 라디칼 및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은 숙성 흑율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IC_{50}$ 값이 낮게 나타나 항산화능이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색상, 거침성, 숙성 흑율피의 이질성, 숙성 흑율피의 향, 숙성 흑율피의 맛은 숙성 흑율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버터향과 단맛은 숙성 흑율피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기호도 특성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와 구매의향은 0.5%의 숙성 흑율피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게 나왔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숙성 흑율피를 쿠키에 첨가 시 0.5% 수준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되며, 폐기하던 율피의 이용도를 증대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방법이라 생각한다.

숙성 흑율피 첨가 양갱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eng added with aged black chestnut inner shell)

  • 이석룡;임준영;김미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03-31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숙성 흑율피 가루를 1, 3 또는 5% 첨가한 숙성 흑율피 양갱을 제조하여 품질 특성, 관능적 특성 및 항산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숙성 흑율피 양갱의 수분함량은 1% 첨가군은 대조군과 유사하였으나 숙성 흑율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분 함량은 증가하였다. 당도와 환원당은 숙성 흑율피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낮아졌다. pH는 숙성 흑율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산도는 높아졌다. 명도(lightness)와 황색도(yellowness)는 숙성 흑율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적색도(redness)는 높아졌다. 기계적 조직감 측정결과, 경도(hardness)는 대조군이 높았고, 숙성 흑율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는 증가하였다, 응집성(cohesiveness)은 숙성 흑율피 1% 첨가 양갱과 3% 첨가 양갱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응집성은 감소하였다. 탄력성(springness)은 숙성 흑율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총 페놀 함량은 숙성 흑율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은 양갱에 숙성 흑율피 첨가량이 많을수록 $IC_{50}$ 값이 낮아져 항산화능이 높아졌다. 기호도 검사 결과, 숙성 흑율피 3% 첨가군의 전체적인 기호도 점수가 5.2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숙성 흑율피를 3% 첨가하여 양갱을 제조할 때 품질 특성, 항산화성 및 관능적 특성이 우수하였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기능성 식품으로서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밤 저장(貯藏)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Storage of Chestnut)

  • 최종욱;이주백;손태화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권
    • /
    • pp.99-104
    • /
    • 1985
  • 저장 중인 밤의 과육의 분할성에 대한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상대습도(54%, 76%, 88%, 97%, R.H.) 조건에서 저장하면서 저장중 밤의 부위별(외층, 내층) 수분, 전분, 유리당 및 Tannin이 과육의 분할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저장중 밤과육의 수분은 상대습도가 88% 이상에서는 모두 증가하였으나 상대습도 76% 이하에서는 내층의 수분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밤의 전분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유리당은 증가하였다. Tannin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삽피의 tannin이 이동하므로 내층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밤의 최적 저장상대습도는 발아율, 부패율, 분할율을 고려해 볼때 상대습도 88%가 가장 양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