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 care institution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31초

아동보육 및 교육 관련 기관 원장의 운영에 관한 인식 -아동보육 및 교육 관련 시설의 공간이용행태(VII)- (Chief's Perception of Institution Management Related to Types of the Institution for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 Space Usage Behavior of the Institutions Related to Child Care and Education(VII) -)

  • 박인전;안옥희;안지연;석주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
    • /
    • 1998
  •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ief's perception of institutio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institution for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subjects for the analysis were 220 chiefs who actually run the institutions for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including kindergarten, private nursery, group day care home, an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five different methods, which were frequency, percentage, chi-square 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using the 7.5 version of SPSSWIN program. The major research results were that (1) the chiefs of the institutions for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have suffered many difficulties in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respects ; (2) the main area in need of the government's assistance is either that of personnel expenses for teachers or that of expenditures necessary for improving their status ; and (3) on the whole chief's perception of institution management differed by the types of the institution for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 PDF

취업모의 자녀양육지원제도에 대한 인식 및 요구 (Working Mothers' Perception and Demand on Child Care Policy and Institution Supporting the Working Mothers)

  • 이영미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6호
    • /
    • pp.95-104
    • /
    • 2005
  • This study surveyed the perception and demand for the child care policy and child care service of working mothers with children under age 6. The subjects were 266 working mothers in Seoul and Kyou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with the questionnaire method and analyzed by spss-win program, including median, mod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working mothers considered both parents have the responsibility on child care and strongly demanded the national support on child care. (2) The working mothers prefered own mother and relatives to child care center as a carer of infants and toddlers, but prefered child care center for children age 3-5. (3) The working mothers demanded the increase of finantial support for family and child care center. (4) The working mothers focused on 'the security and care Program' and focused next on 'diet and health care program' in child care service. (5) The working mothers did not nearly know about the accreditation system of child care centers.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national and social support for child care service is an essential part in promoting children's and the working mothers' welfare.

퇴소를 앞 둔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재분리 준비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Re-Separation Readiness Experiences of Adolescent who are Scheduled to Discharge from Child Care Institution)

  • 윤명숙;박신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4호
    • /
    • pp.133-155
    • /
    • 2014
  • 본 연구는 퇴소를 앞둔 아동양육시설 청소년들이 시설입소로 인해 경험한 부모 분리와 시설입소 생활이후 다시 시설 퇴소를 앞둔 상황에서 재분리 준비 경험은 어떠한지 깊이 있게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퇴소를 1-2년 정도 앞두고 있는 아동양육시설의 청소년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인터뷰 하였고,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양육시설 청소년들은 자신의 의지와는 아무런 상관없이 부모들에 의해 부모 분리를 경험하며 시설에 입소하게 된다. 이후 부모와 헤어져 시설에서 길고 긴 사춘기를 겪고 성장하면서, 시설 퇴소를 앞두게 되었다. 이러한 시설로부터의 재분리 준비는 부모 분리와는 전혀 다른 두근거리는 걱정과 설렘을 주었고, 미래에 대한 바람과 희망을 품게 하는 소중한 경험임을 드러내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퇴소를 앞 둔 아동양육시설 청소년들을 지원하기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

아동양육시설에서 성장한 부부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Child-rearing Experiences of a Couple who was Raised in a Child Care Institution)

  • 박신애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519-527
    • /
    • 2017
  • 본 연구는 어린 시절 부모와 헤어져 시설에 맡겨진 채 시설보호 양육을 받으며 성장한 부부가 자녀를 낳고 부모가 되어 자녀를 양육하는 경험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같은 시설에서 성장한 후 결혼한 부부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남편과 아내를 각각 심층 인터뷰하였다. 연구 방법은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지독한 외로움의 보상으로 꾸린 가족', '준비 없이 시작된 출산 그리고 자녀 양육의 늪', '마주한 실체 그리고 후회와 반성', '그래도 부모라는 책임감으로 다시 얻은 용기'와 같이 도출하였다. 어린 시절 아동양육시설에서 자란 부부는 혼자라는 지독한 외로움을 벗어나기 위해 아무런 준비 없이 막연한 환상을 갖고 결혼을 하였다. 결혼이 그랬듯 자녀 출산 또한 계획 없이 생기는 대로 낳았다. 그러나 막상 어떠한 정보나 교육 없이 부딪히게 되는 자녀 양육은 어렵고 점점 지쳐만 갔다. 그러다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면서 자신의 부정적인 모습을 똑 닮은 자녀의 실체를 마주하고 뒤늦은 후회와 반성을 하게 된다. 부부는 비록 자신들은 부모의 양육을 받고 자라지 못했지만, 부모로서의 책임감을 깊게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시설에서 성장한 부부의 자녀양육을 돕기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제언하였다.

유아교육기관, 교사 및 유아집단 특성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Level based on Factors of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 Teacher, and Child Group)

  • 박창현;나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99-125
    • /
    • 2012
  • 교사-유아 간의 상호작용은 유치원 평가와 어린이집 평가인증에 포함되고 새로 고시된 누리과정에서도 중요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 교사들의 전반적인 상호작용 수준을 알아보고, 이 상호작용 수준이 기관, 교사 및 유아집단의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 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유아 상호 작용을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으로 구분하고, 기관 유형, 교사 특성 및 유아집단의 특성에 따른 직접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유아교사 1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선택적 면담조사를 병행한 결과는, 전체 교사의 상호작용 평균이 5점 척도에서 3.96으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기관 유형이나 유아집단의 특성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40대 이상 연령 교사들의 정서적 상호작용 수준이 의미있게 더 높고, 대졸이상 교사들의 행동적 상호작용 수준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또 교육경력이 6년 이상인 교사의 세 가지 상호작용 수준이 모두 의미 있게 더 높았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유아교사의 상호작용은 교사의 개인특성변인이 기관 유형이나 유아집단특성보다 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양육시설 아동을 위한 보편적 긍정적 행동지원 모형개발 (Development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Model for Children in Child Care Institution)

  • 장은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457-46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양육시설 아동을 위한 보편적 긍정적 행동지원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55명의 양육시설 종사자 직원을 대상으로 PBS에 관한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6%가 문제행동 예방에 PBS가 필요하며, 인성교육의 대안이라고 응답하였고, 70% 정도가 시설에서 PBS를 운영해 볼 생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구체적인 모형을 구성해보면, 준비단계에서는 PBS 팀 구성 및 직원교육, 기대행동선정, 현재 행동의 기초선 측정, 보편적 PBS환경을 구축하기를 제안한다. 실행단계에서는 사회적 기술교수, 강화실시하기, 자기행동 목표정하기와 행동점검, 문제행동학생지도, 모니터링 방안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중재/전-후-유지기 간의 목표행동 변화측정, 사회기술 및 학업성취도 변화, 사회적 타당도 등을 측정하는 효과평가단계를 제안한다. 이 모형을 양육시설 아동들을 대상으로 적용함으로써 문제행동의 감소, 바람직한 행동의 증진과 동시에 아동들을 지도하는 종사자들의 효능감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예비보육교사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보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General Self-Efficacy and the Efficacy of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 이세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1-190
    • /
    • 2008
  • The study aims to find out and examine the variables that make a difference between pre-service teachers' child care efficacy (CCE) and general self-efficacy (GSE). The subjects were 232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going to an educational institution and a colle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of "age", "teacher training facilities", "field experience in child care centers", and "experience of child care" and "paraprofessional teachers" are important variables in pre-service teachers' CCE. Second, the variables of "age", "level of education", "teacher training facilities", "field experience in child care center", and "experience of child care or paraprofessional teachers" significantly affect the pre-service teachers' GSE. Third, the "age" variable is essential in explaining pre-service teachers' GSE. The Pre-service teachers' GSE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e-service teachers' CCE.

대전지역 유아교육기관의 인접환경에 관한 실태 조사 연구 (A Study on Near Environment of Child Care and Education Institution for Young Children in Taejon)

  • 최목화;이정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11-12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of child care and education institutions in Taejon area. Institutions for research were 44 kindergartens and 36 child care centers. Data were collected by the field study and were analized by SPSS package program. The major findings were: (1)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of institutions were divided into 13 large classfications and 45 small classifctions and the vacant lots and the construction places, the nature places. (2)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of institutions were classified as the positive, neutral, negative environment. (3) There was not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of institutions in the institution type, area.

  • PDF

보육교사의 실습지도 경험에 관한 반성적 평가 (Child Care Teachers' Reflective Assessment on Practical Training Experiences)

  • 유병예;양성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5호
    • /
    • pp.143-157
    • /
    • 2013
  •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comprehensively deal with child care training in depth with the following content: the goals of child care teachers preparing for practical training; how they perform and feel about their roles throughout the training period as child care teachers; and their evaluation after the training period. A total of 10 people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nd the training activities of child care teachers were qualitatively explored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teachers have expectations for prospective teachers and take time for self-evaluation while preparing for teaching. Also, child care teachers set a goal of helping prospective teachers develop into outstanding teachers and have expectations for it. Second, child care teachers evaluate prospective teachers by treating them as colleagues while teaching them. Furthermore, child care teachers consider themselves as educators who train and produce child care professionals. Prospective teachers define their roles as assistants and learners in the actual educational scene. In addition, child care teachers feel a sense of pride by performing as hands-on training teachers. At the same time, they reflect on themselves by evaluating their duties as educator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prospective teachers. Third, child care teachers suggested the need for changing the training system for themselves and prospective teachers after training. In addition, they argued that the gaps between school education and the actual educational scene should be reduced through solid training for acquiring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both places in accordance with the rapidly-changing child care environment. Finally, the suggest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tandard training curriculum and educational programs within their instit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