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onic glomerulonephropathy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어린 cocker spaniel 종에서 발생한 신부전증 (A Case of Juvenile Glomerulonephropathy in a Cocker Spaniel Dog)

  • 권오성;이정연;곽호현;우흥명;한정희;윤병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47-652
    • /
    • 2007
  • In the present study, we address systemically a case of renal disease developed in a 1 year-old male cocker spaniel dog in terms of clinical signs, clinical pathology and pathological examinations. The animal has been suffered from renal dysfunction signs such as polyuria, anorexia, vomiting, diarrhea and weight loss. The dog was very weak and emaciated and had foamy contents with foul-smell in oral cavity. The animals showed notable decrease in the number of red blood cells and severe decreases of hemoglobin and hematocrit with or without changes of mean corpuscular volume and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values, indicating microcytic or normocytic hypochromatic anemia. In serum chemistry, blood urea nitrogen, creatinine, phosphorous, Na and Cl, which are associated with renal function, were dramatically increased. In addition, alanine aminotransferase, aspartate transferase, alkaline phosphatase, cholesterol, lipase and amylase were also significantly elevated, while K concentration was notably decreased. Urinalysis indicated prominent proteinuria with increase of bilirubin. Despite of symptomatic treatments, the dog was getting worse in healthy condition and dead in the end. At necropsy, both kidneys were brownish, pale, slightly small, and have diffuse, firm and subcapsular pits. Histologically, the kidneys indicated prominent segmental or diffuse interstitial fibrosis in cortex and medulla as well as glomerulonephritis. The clinical signs, clinical pathology and histopathological abnormalities of the young dog presented were consistent with chronic glomerulonephropathy, which was suspected to be a case of familial renal disease in the juvenile cocker spaniel dog.

Adriamycin 유발 신병증에서 중간엽 줄기세포의 완화 효과 (Mesenchymal Stem Cells Ameliorate Adriamycin Induced Proteinuric Nephropathy)

  • 강희경;박소연;하일수;정해일;최용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4권1호
    • /
    • pp.32-41
    • /
    • 2010
  • 목 적 : 사구체신염은 흔히 단백뇨를 보이며 특이 치료법이 없고, 만성 신부전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다. 몇몇 연구에서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를 실험적 사구체신염에 투여하여 단백뇨가 호전된 것을 보고한 바 있으나, 이는 신염을 일으키는 약제와 중간엽 줄기세포를 함께 투여하거나 신장에 직접 투여한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적 신병증에서 단백뇨가 발현된 시점에서 정주 요법으로 MSC를 투여함으로써 MSC의 임상적인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방 법 : 실험용 생쥐에 Adriamycin을 투여하여 신병증(ADR-GN)을 유발한 후, 2주 후에 대량의 단백뇨를 확인하고 MSC를 생쥐 꼬리의 정맥에 주사하였다. MSC에 의한 질병 완화의 기전을 확인하기 위한 in vitro 실험으로 mixed lymphocyte culture(MLC)에 MSC를 투여하였을 때의 염증 관련 cytokine인 IFN-$\gamma$ and IL-10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 과 : 실험용 생쥐에 ADR-GN를 유발하고 단백뇨가 보일 때 MSC를 정주한 군에서는 단백뇨의 소실이 더 먼저 관찰되었다. 또한 MSC를 투여받은 군에서의 생존률이 더 나은 경향이 관찰되었다. MLC 에 MSC를 투여하였을 때, 염증을 유발하는 cytokine인 IFN-$\gamma$ 는 감소하고 염증을 억제하는 cytokine인 IL-10는 증가하였다. 결 론 : 이 연구는 이전의 보고들에서 관찰되었던 사구체신염에서의 MSC의 질병완화 효과가 좀더 임상적으로 적용 가능한 방법으로 투여된 경우, 즉 단백뇨가 있을 때 정주 요법으로 투여한 경우에도 관찰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의 기전과 임상적용에 요구되는 안전성 등에 대한 확인을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