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de efficiency

검색결과 1,201건 처리시간 0.022초

Symmetric Balance Incomplete Block Design Code의 Spectral Efficiency (Spectral Efficiency 0f Symmetric Balance Incomplete Block Design Codes)

  • 지윤규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호
    • /
    • pp.117-123
    • /
    • 2013
  • 본 논문은 symmetric balance incomplete block design(BIBD) code의 BER=$10^{-9}$을 만족하는 spectral efficiency를 구하였다. 이 계산 결과 effective power가 큰 경우 ($P_{sr}=-10$ dBm)는 m=2로 고정시키고 q값을 변화시키는 ideal BIBD code구성이 효율적이었다. 이와 반대로 effective power가 작은 경우 ($P_{sr}=-25$ dBm)는 ideal BIBD code 구성 보다는 q > 2인 값을 취하고 m값을 변화시키는 설계가 더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전 영역 그레이코드 유전자 알고리듬의 효율성 증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utational Efficiency Enhancement by Using Full Gray Code Genetic Algorithm)

  • 이원창;성활경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0권10호
    • /
    • pp.169-176
    • /
    • 2003
  • Genetic algorithm (GA), which has a powerful searching ability and is comparatively easy to use and also to apply, is in the spotlight in the field of the optimization for mechanical systems these days. However, it also contains some problems of slow convergence and low efficiency caused by a huge amount of repetitive computation. To improve the processing efficiency of repetitive computation, some papers have proposed paralleled GA these days. There are some cases that mention the use of gray code or suggest using gray code partially in GA to raise its slow convergence. Gray code is an encoding of numbers so that adjacent numbers have a single digit differing by 1. A binary gray code with n digits corresponds to a hamiltonian path on an n-dimensional hypercube (including direction reversals). The term gray code is open used to refer to a reflected code, or more specifically still, the binary reflected gray code. However, according to proposed reports, gray code GA has lower convergence about 10-20% comparing with binary code GA without presenting any results. This study proposes new Full gray code GA (FGGA) applying a gray code throughout all basic operation fields of GA, which has a good data processing ability to improve the slow convergence of binary code GA.

Shannon Capacity에 근접하는 고효율의 6-ary Runlength-Limited Code (Very Efficient 6-ary Runlength-Limited Code Approaching Shannon Capacity for Optical Storage Channels)

  • 지윤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3호
    • /
    • pp.29-35
    • /
    • 2008
  • 고효율의 d = 3인 6-ary runlength-limited code를 연구하였다. Rate가 6/7일 경우 98.87%의 효율을 얻을 수 있었고 rate가 13/15일 경우 Shannon capacity에 근접하는 무려 99.95%의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6-ary RLL code를 효과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partial response mode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고층의 주상복합건축물 계단폭과 수용인원 산정기준에 따른 피난효율의 비교 (Comparison of Evacuation Efficiency for Stair Width and Code for Occupant Load Calculation in High-rise Buildings)

  • 이양주;고경찬;박외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6
    • /
    • 2011
  • 고층건축물에서의 피난효율과 수용인원 산정기준의 문제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피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지상 39층 주상복합 건축물의 계단폭이 각각 1.2m, 1.5m, 1.8m일 때, 피난시간과 피난자수를 Simulex로 계산하였다. 소방법 기준으로 산정한 총수용인원은 실거주자의 2.3배, NFPA 101 인명구조코드 기준의 2.6배였다. 소방법 기준의 경우, 계단폭이 작을수록 증간층에서의 병목현상으로 인해 피난효율이 낮았지만, 실거주나 NFPA 기준에서는 피난효율이 높고 계단폭이 피난효율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함을 확인하였다. 소방법 기준을 적용할 때 계단폭이 1.8m에서도 병목현상이 일어나지만, 실거주 또는 NFPA 기준을 적용할 때는 계단폭 1.2m에서도 안전한 것으로 나타 남에 따라 수용인원 산정관련 소방법 기준의 완화가능성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CODE-V와 이론식 결과를 이용한 싱글 모드 광섬유 커플링 효율에 관한 고찰 (Sing1e-Mode Fiber to Fiber Coupling efficiency compare CODE-V result with theory result)

  • 김아론;김호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964-1965
    • /
    • 2002
  • This paper reports on the single mode fiber coupling efficiency. There is difference between simulation by CODE-V and theoretical result, we observed CEO which is taken by experiment in lab and found out that CEO taken by CODE-V was closer to real experiment result then theoretical result.

  • PDF

정진폭 다중부호 트랜스직교변조 (Constant-Amplitude Multi-Code Trans-Orthogonal Modulation)

  • 홍대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493-499
    • /
    • 2011
  • 기존의 직교변조 (Orthogonal Modulation)는 그 효용성에 비해 대역폭 효율이 지나치게 떨어져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중부호 트랜스직교변조 (MCTO: Multi-Code Trans-Orthogonal Modulation)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MCTO 변조는 송신신호의 진폭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 RF (Radio Frequency) 단에 포함되어 있는 전력 증폭기 (Power Amplifier)의 부담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중부호 신호를 정진폭으로 부호화하는 방식을 이용한 정진폭 다중부호 트랜스직교변조 (CAMCTO: Constant-Amplitude Multi-Code Trans-Orthogonal Modulation)를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CAMCTO 변조의 성능을 실험을 통해 제시하고 기존의 직교변조 및 MCTO 변조와 비교한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제안된 CAMCTO 변조는 기존의 직교변조에 비해 대역폭 효율은 매우 증가하며 MCTO 변조에 비해 RF의 부담을 매우 경감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정 진폭 부호화된 Multi-code Biorthogonal Code Keying 시스템에서 인터리빙과 $Q^2PSK$를 이용하여 정 진폭 특성을 유지하면서 대역폭 효율을 개선시키는 방안 (Multi-code Biorthogonal Code Keying with Constant Amplitude Coding using Interleaving and $Q^2PSK$ for maintaining a Constant Amplitude feature and increasing Bandwidth Efficiency)

  • 김성필;김명진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427-430
    • /
    • 2005
  • A multi-code biorthogonal code keying (MBCK) system consists of multiple waveform coding blocks, and the sum of output codewords is transmitted. Drawback of MBCK is that it requires amplifier with high linearity because its output symbol is multi-level. MBCK with constant amplitude precoding block (CA-MBCK) has been proposed, which guarantees sum of orthogonal codes to have constant amplitude. The precoding block in CA-MBCK is a redundant waveform coder whose input bits are generated by processing the information bits. Redundant bits of constant amplitude coded CA-MBCK are not only used to make constant amplitude signal but also used to improve the BER performance at the receiver. In this paper, we proposed a transmission scheme which combines CA-MBCK with $Q^2PSK$ modulation to improve bandwidth efficiency of CA-MBCK and also uses chip interleaving to maintain a constant amplitude feature of CA-MBCK. bandwidth efficiency of a proposed transmission scheme is increased fourfold. And the BER performance of the scheme is same as that of CA-MBCK.

  • PDF

센서 네트워크상에서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한 최적 패킷 길이 (Optimal Packet Length with Energy Efficiency for Sensor Networks)

  • 최성혜;조인휘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111-114
    • /
    • 2004
  • Sensor networks are deployed with a limited energy source. Thus, energy efficient design can be challenging. This paper has been studied optimal packet length with energy efficiency for sensor networks. And using Power Management can not improve energy efficiency. Power Management is turning off transceiver when transceiver is idle statue. We show that BCH code for error control can improve energy efficiency better than Convolutional code.

  • PDF

CFDS 코드의 효율성 개선 (Efficiency Enhancement of CFDS Code)

  • 김재관;이정일;김종암;홍승규;이황섭;안창수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대회논문집
    • /
    • pp.123-127
    • /
    • 2005
  • The numerical analyses of the complicated flows are widely attempted in these days. Because of the enormous demanding memory and calculation time, parallel processing is used for these problems. In order to obtain calculation efficiency, it is important to choose proper domain decomposition technique and numerical algorithm. In this research we enhanced the efficiency of the CFDS code developed by ADD, using parallel computation and newly developed numerical algorithms. For the huge amount of data transfer between blocks non-blocking method is used, and newly developed data transfer algorithm is used for non-aligned block interface. Recently developed RoeM scheme is adpoted as a spatial difference method, and AF-ADI and LU-SGS methods are used as a time integration method to enhance the convergence of the code. Analyses of the flows around the ONERA M6 wing and the high angle of attack missile configuration are performed to show the efficiency improvement.

  • PDF

정 진폭 부호화된 Multi-code Biorthogonal Code Keying시스템에서 대역폭 효율 개선을 위해 $Q^{2}PSK$를 이용하는 방안 (Multi-code Biorthogonal Code Keying with Constant Amplitude Coding Combined with $Q^{2}PSK$ to Increase Bandwidth Efficiency)

  • 김성필;김명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5A호
    • /
    • pp.484-492
    • /
    • 2006
  • 다중부호 배직교 부호 변조(Multi-code biorthogonal code keying: MBCK)는 배직교(biorthogonal) 부호화기의 출력 코드워드를 합산하여 전송함으로 전송 신호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고선형 증폭기의 사용을 요구한다. MBCK의 전송 신호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만드는 부호화 방안이 제안되어 있는데, 정 진폭 부호화에 사용된 잉여 비트들은 수신기에서 비트오율 성능 개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 진폭 부호화된 MBCK(MBCK with Constant Amplitude Coding:CA-MBCK)의 대역폭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CA-MBCK와 쌍직교위상변조(Quadrature-Quadrature Phase Shift Keying:$Q^{2}PSK$)를 결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출력 신호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백색 가우시안 잡음 환경에서 CA-MBCK와 동일한 비트오율 성능을 보이면서도 대역폭 효율은 개선되었다. 또한 CA-MBCK에서 정 진폭 부호화에 사용된 잉여 비트를 이용한 에러정정 알고리즘을 제안된 시스템에 적용하여 비트오율 성능이 개선됨을 모의실험을 통해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