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etency diagnosis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6초

가정과 초임교사 역량모델 개발 (Development of Competency Model for Beginning Teachers in Home Economics)

  • 감경원;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25-14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초임교사의 역량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에 역량모델 개발 준비, 구체화, 타당성 검증, 역량진단의 4단계에 걸쳐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1차 역량모델(안)을 도출하고, FGI를 통해 2차 역량모델(안)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2차 역량모델(안)의 타당성을 검증한 결과,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역량군과 역량, 역량의 정의는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과 초임교사에게 가장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최우선 역량'으로는 총 7개의 역량('수업설계역량', '수업실행역량', '학습지원역량', '교육과정운영역량', '학생평가역량', '자료개발 및 활용역량', '자기관리역량')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개발한 '가정과 초임교사 역량모델'은 총 4개의 역량군과 22개의 역량 및 역량 정의로 구성되었으며, 각 역량군별 역량은 가정과 초임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역량일수록 상위에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FGI와 역량진단을 통해 가정과 초임교사들의 역량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여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장애 아동·청소년 독서역량 강화를 위한 진단 프로그램 개발 기초 연구 (A Pilot Study on Developing a Reading Competency Diagnosis Program to Strengthen the Reading Abilities of Disabled Children and Adolescents)

  • 황금숙;배희숙;윤성은;황정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30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아동·청소년의 독서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진단도구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그 타당도 및 신뢰도를 분석함으로써 독서역량 진단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문헌 및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문항을 개발하고, 델파이 조사 및 실제 장애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표본 수가 적어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에 한계는 있었으나 장애 아동·청소년의 독서역량 진단도구 프로토타입 개발과 함께 기초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향후 개발될 독서역량 진단프로그램은 장애유형별 특성, 빅데이터를 통한 데이터 수집 및 활용 방안, 진단 절차 및 진단 시 유의사항을 다양한 변인을 고려하여 웹·모바일로 확장하여 개발할 것을 제안하였다.

공학계열 대학생의 핵심역량 진단(K-CESA) 결과에 따른 차이 분석: 계열, 인증여부, 성별, 입학전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Core Competencies Diagnosis(K-CESA) Result in Engineering Students: Focused on Major Field, Accredited Status, Gender, Admission Types)

  • 신동주;황지원;송오성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50-60
    • /
    • 2019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rough the results of the core competency diagnosis,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core competences depending on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gender, admission type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differences in K-CESA results on self-management capabilities, resources & information use, global competency, higher order thinking competen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in 2017 for the fourth graders of S University. An ANOVA of major field showed that the humanities had high overall competencies. The results of t-test of engineering students showed that accredited students had relatively low "flexibility" of their global competency, and that the "analysis" of their higher order thinking competency was relatively high.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depending on the admission types. Through these analyses, we presented suggestions such as the provision of specialized programs based on differences among different groups,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thinking skills such as capstone design, the need to secure flexibility in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and the enhancement of female students' resources & information use.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미래 교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uture Teacher Competency Diagnostic Scale for Pre-service Teachers)

  • 백종남;김수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31-339
    • /
    • 2020
  • 본 연구는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미래 교사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미래 교사역량으로 지식, 실천, 인성 등 3차원에서 각각 기초역량과 직무역량으로 위계화하여 가설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가설모형을 바탕으로 54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으며, J지역 237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역량 진단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 미래 교사역량은 지식 차원 6개 요인 18개 문항, 실천 차원 6개 요인 17개 문항, 인성 차원 6개 요인 18개 문항 등 총 53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둘째, 미래 교사역량 진단 모형의 적합성은 비교적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고,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논의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 제언을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평가 전문성에 대한 자가진단 내용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diagnosis on Their Competency for Assessment in Science)

  • 강훈식;강석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2호
    • /
    • pp.153-163
    • /
    • 2015
  • In this study, we analyz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diagnosis on their competency for assessment in science.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17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n-depth group interviews with 6 teachers were also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ean scores of five subcategories, 'choosing assessment methods', 'developing assessment instruments', 'administering, scoring, and grading', 'analyzing, interpreting, using, and communicating assessment results', and 'recognizing ethics in assessment', were 3.82, 3.50, 3.92, 3.76, and 4.09 on a scale of 5 points, respectively. Teachers having more teaching experience showed higher mean scores in all subcategories. However, only the teachers having more than 2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re statistically better than those having less than 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in four subcategories except for 'recognizing ethics in assess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major, whereas the mean scores of the teachers having master's degree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ir counterpart in some subcategories. In addition, the teachers who had completed training for assessment exhibited statistically higher mean scores than their counterpart in four subcategories except for 'recognizing ethics in assessment'.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창업기업의 혁신역량 영향요인 진단 연구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for Diagnosis of Innovation Capability for Start-ups in Korea)

  • 조대식;최경현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5호
    • /
    • pp.99-11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창업기업의 혁신역량 제고에 있어 주요 영향요인들과의 관계 및 기업의 혁신성과에 대한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존 혁신역량연구들은 일반적인 기업 관점에서 분석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창업 7년 이하의 창업기업들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창업기업들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혁신역량의 하위변수 중 학습역량, 연구개발역량, 마케팅역량은 조직문화, 조직목표와 관련된 조직역량과 기술사업화 역량과 밀접한 제품역량에 모두 일관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역량 부분은 제품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역량의 중요성이 낮다고 해석할 수는 없었다. 기술역량이 제품역량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고 있지만, R&D역량과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로 분석되었기 때문이다. 또, 기업의 특성을 기술지향성과 시장지향성으로 구분하여 각 하위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보았다. 기술지향적인 기업의 기술역량은 제품역량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연구개발 역량에는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창업기업들의 창업 특성이 기술, 아이디어를 근거로 일어나는 경우가 많아 초기생존율이 낮게 나오는 연구결과와도 부합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기업의 성장단계별로 주요 혁신역량에 차이가 있으며, 실무적인 관점에서 창업기업역량 강화를 위한 접근방법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술리더십 역량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IT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ing Competency Model of Techno Leadership)

  • 박범주;이해준;신완선
    • 경영과학
    • /
    • 제32권2호
    • /
    • pp.1-14
    • /
    • 2015
  • The importance of technical innovation is increasing gradually in accordance with the life cycle of technology being shortened and the convergence being accelerate. This thesis aims to present the Framework of Competency Model of Techno Leadership capable of utilizing in promoting R&D (Research and Development) Leaders systematically by the technology based enterprise. The characteristic of core behavior necessary for Techno Leaders has been sorted out through the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the analysis course of meaning, etc., the competency model of Techno Leadership has been deducted by analyzing the relation with MOT (Management of Technology) capacity being common skill of task necessary for Techno Leaders and the characteristic of behavior based on this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the field as well has been verified by applying the developed competency model in the actual field of enterprise. The competency model of techno Leadership developed in this research may be utilized in the direction establishment for the promotion of Techno Leadership in the enterprise or laboratory, especially, if would be effective to self-diagnose the core competency necessary for R&D manpower to be grown as the Techno leader in the IT oriented enterprise and to establish the improvement direction.

초등 과학 지도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인식과 실제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Elementary Science Teachers' Student Assessment Competency)

  • 윤미영;주은정;홍영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1호
    • /
    • pp.134-149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 지도교사 3인의 학생 평가 전문성을 파악하고, 이를 신장시키기 위한 전략적인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료수집을 위해 자기 인식 체크리스트,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자를 포함한 과정 중심 평가 선도 교원 2인과 초등 과학 교육 전문가 2인의 검토와 합의를 거쳤다. 그 결과, 연구 참여자 3인의 학생 평가 전문성 자기 인식 수준은 비교적 높았지만, 공통적으로 결과 환류 영역의 척도 평균이 가장 낮았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학생 평가 전문성은 서로 다른 수준과 특징을 보였으며, 학생 평가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실제의 불일치도 일부 발견되었다.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전략적인 지원과 교육이 필요하며, 초등 과학 학생 평가 전문성 자기 진단 도구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Education satisfaction and self-assessment of competency among new general dentists in Korea

  • Ji, Young-A;Kwon, Ho-Beom;Kim, Ryan JinYoung;Baek, Seungho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9호
    • /
    • pp.504-513
    • /
    • 2019
  • Dental education is gradually transitioning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system, which aims to help dentists achieve certain core competencies by means of various systems, such as curriculum accreditation. This study examined satisfaction with dental school education an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self-assessment of competencies among general dentists, in an attempt to propose a desirable direction for dental education.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new general dentists who graduated from a dental school within the past 10 year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 understand differences in dentists' perceptions. Overall satisfaction with education was low in terms of the curriculum's relevance to actual practice and its capacity for cultivating required competencies. Furthermore, many of the respondents strongly perceived the need to improve dental education. Additional investigations into the satisfaction with education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seven key competency domains, dentists perceived Health Promotion to be important and also assessed themselves as having high competence. However, regarding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he remaining domains, self-assessment of competence was low for Professionalism, Communication & Interpersonal Skills, Knowledge Base, Information Handling & Critical Thinking, Clinical Information Gathering, Diagnosis & Treatment Planning, and Establishment & Maintenance of Oral Heal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competency-based education model should be developed and incorporated into dental education to set performance standards and to promote systematic self-assessment in order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in dental students.

  • PDF

치과위생사 직업인식과 직무역량 강화방안 (Dental hygienist's job recognition and vocational competency reinforcement)

  • 조은덕;김은솔;홍해경;한경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55-664
    • /
    • 2020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qualities and problems to be solved to strengthen the vocational competency of dental hygienists and to identify the work to be institutionally established. Methods: From April 1 to May 30, 2019, a total of 325 people participated (152 registered dental hygienists: RDH, 173 students of dental hygiene: SDH) in this study. The survey items were as follows: "job awareness" (6 items), "problem to be solved to strengthen vocational competency" (5 items), "qualities to be equipped to strengthen"competency" (9 items), and "practical work to be institutionally established" (4 items). Results: RDH and SDH had the highest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3.68, 3.99 points), and low remuneration against work (4.21, 4.18 points) was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problem to be solved. The qualities for competency reinforcement showed the highest results in expertise knowledge (4.68, 4.64 points) and vocation for job (3.76, 4.09 points). Practical work to be established institutionally appeared as follows: X-ray film reading, dental hygiene diagnosis, periodontal pocket measurement, and periodontal pockets (<6 mm) treatment. Conclus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ctively used to strengthen the vocational competency among dental hygienists, construct work autonomy, and rationalize and legalize practical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