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etition plot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6초

Spatial Point-pattern Analysis of a Population of Lodgepole Pine

  • Chhin, Sophan;Huang, Shongming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6호
    • /
    • pp.419-428
    • /
    • 2018
  • Spatial point-patterns analyses were conducted to provide insight into the ecological process behind competition and mortality in two lodgepole pine (Pinus contorta Dougl. ex Loud. var. latifolia Engelm.) stands, one in the Lower Foothills, and the other in the Upper Foothills natural subregions in the boreal forest of Alberta, Canada. Spatial statistical tests were applied to live and dead trees and included Clark-Evans nearest neighbor statistic (R), nearest neighbor distribution function (G(r)), and a variant of Ripley's K function (L(r)). In both lodgepole pine plo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regularity in the spatial point-pattern of the surviving trees which indicates that competition has been a key driver of mortality and forest dynamics in these plots. Dead trees generally showed a clumping pattern in higher density patche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bivariate relationships between live and dead trees, but the relationships differed by natural subregion. In the Lower Foothills plot there was significant attraction between live and dead tees which suggests mainly one-sided competition for light. In contrast, in the Upper Foothills plot, there was significant repulsion between live and dead trees which suggests two-sided competition for soil nutrients and soil moisture.

Demonstration of Two Independent Dextranase and Amylase Active Sites on a Single Enzyme Elaborated by Lipomyces starkeyi KSM 22

  • LEE, SO-YOUNG;JIN-HA LEE;JOHN F. ROBYT;EUN-SEONG SEO;HYEN-JOUNG PARK;DOMAN 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2호
    • /
    • pp.313-316
    • /
    • 2003
  • Lipomyces starkeyi KSM 22 elaborates an enzyme that has both dextranase and amylase activities in a single protein of 100 kDa. Competition studies, using different amounts of dextran and starch as substrates, gave a competition plot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that the hydrolysis of dextran and starch occurs at two independent active sites, each specific for starch and dextran, respectively.

Assessing the potential invasiveness of transgenic plants in South Korea: a three-year case study on sunflowers

  • Han, Sung Min;Nam, Kyong-He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6권3호
    • /
    • pp.190-201
    • /
    • 2022
  • Background: The introduction of new living modified (LM) crops may pose a latent threat to the biodiversity of each country. Here, we used sunflowers (Helianthus annuus L.) as a study system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for invasiveness of LM crops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when released into a natural ecosystem in South Korea. We examined the seed germination, survival, and flowering of sunflowers under competition with wild plants at different sowing dates (March-December) and plot sizes (1 m × 1 m and 2 m × 2 m). Results: The germination rat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owing date. In addition, several sunflowers survived in plots with a high germination rate, which also led to a higher flowering rate. We found that the smaller the plot, the smaller the area available for inter-species competition, and the higher the number of surviving sunflower plants. The relative dominance and importance value of the species varied significantly between the sowing dates; in particular, sunflowers sown in March could compete with wild plants for longer than those sown on other sowing dates. Conclusions: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the potential for invasiveness of sunflowers differ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seed density at the time of release.

수도품종간경합에 관한 연구 (Competition Studies in Rice (Oryza sativa L.))

  • 채영암;이은웅;허문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3-79
    • /
    • 1968
  • 혼식의 효과와 그 원인을 검토하기 위하여 재식밀도, 시비량 및 혼식조합을 달리하여 실험을 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혼식구의 수량은 재식밀도, 시비량 및 혼식조합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현저하지 못하였다. 2. 재식밀도, 시비량에 관계없이 수원 8002가 신002보다 경합능력이 높았다. 3. 혼식의 효과는 경합으로 인한 수량구성요소들간의 증감의 차와 경합능력의 차로 인한 혼식된 품종의 증가량과 감소량의 차로 표현되었다. 4. 혼식을 논의할 때 검토되어야 할 몇가지 점을 지적하였다.

  • PDF

벼담수 직파 재배에서 파종 입수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mber of Sowing Grain on the Rice Growth and Yield in Direct Sowing Culture on Irrigated Paddy Field)

  • 이종철;문창식;서해영;최범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4권
    • /
    • pp.41-45
    • /
    • 1973
  • 본 시험은 중부지방에서 담수직파재배에 알맞은 파종립수를 구명함과 파종립수에 EK른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의 변이를 알고져 1972년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최고분얼수는 밀파할수록 직선적으로 증가하여 280립 파종구에서 최고수치를 보였고 그 이후는 점차 감소되었으며 분얼에 대한 경합은 $m_2$당 280립이상 파종구에서 뚜렸했다. 2. 유효경비율은 $m_2$당 120립부터 280립 파종구까지는 파종밀도가 증가될수록 감소되다가 그 이후는 점차 증가되었다. 3. 최고분얼수가 $m_2$당 1,000개 이하에서는 얼자간 경합이 적었다. 4. 수수와 파종립수는 현저한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수수와 일수영화수, 수수와 동숙비율은 (-)의 상관 경향이었다. 5. 수량과 $m_2$당 영화수는 r=0.929이며 수량과 수수는 r=0.695, 수수와 $m_2$당 영화수는 r=0.796이었다. 또한 수량과 수량구성요소간의 순위상관을 보면 수량과 수수가 가장 상관이 높았으며 (r=0.954_ 담수직파에서 수량을 지배하는 요인은 수수이었다. 6. 수량은 $m_2$당 280립 파종구에서 최고를 나타냈다.

  • PDF

생태연못 조성공법 적용후의 자연생태 변화분석 (Analysis of Ecological Variation after Creation of the Eco-pond)

  • 이은엽;문석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5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reation techniques of eco-pond, one of biotopes to promote biodiversity in urban residence area. Investigation were classified out plant, mammals, amphibia, reptiles, birds, fishes and insect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Around the eco-pond shows simple vegetation structurs, consisted of Pinus densoflora S et Z. and Robinia pseudoacacia under competition. In case of shrub, consisted of 4 species but plant growing appearence diversely by seasons. The evaluation of vegetation of eco-pond, there are found 4 species of aquatic plants. Inside the revetment of pond, Echinochloa crus-galli, Persicaria hydropiper, Digiaria sanguinalis, Cyperus microiria and Bidens frondosa L. are mainly distributed. Near the revetment, Trifolium repens L. and Digiaria sanguinalis are prevailed. And in its background, Erigeron canadensis, Erigeron annuus and vines are begins to make their appearances. When evaluation animals in eco-pond and contrast plot, it show simple species and numbers of mammals. It seemed to be resulted from its isolation and outside intervention by users In eco-pond, Pica pica and Streptopelia orientalis are mainly found and in contrast plot of Columba livia, which are so strong adaptation to city life environment. In case of amphibia and reptiles, none is observed in contrast plot, but in ecological pond, Rana nigromaculata and Hyla japonica are constantly observed. In case of insects, more species are found in eco-pond than contrast plot. And in eco-pond, more dragonflies are visibly increased one year after its construction. In floral zone inside of pond revetment, grasshopper and Locusta migratoria are frequently observed. In case of butterflies, they are mainly found in log fence and willow(salix) around eco-pond. In case of fishes inside of eco-pond, the species and its density are remarkable increased one year after the construction. With above evaluation results, we have identify the increase effect of biodiversity after construction of the eco-pond.

  • PDF

테니스 그랜드슬램대회의 선수특성요인과 경기요인에 대한 분석연구 -정준상관 행렬도와 프로크러스티즈 분석의 응용-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er Characteristic Factors and Competitive Factors of Tennis Grand Slams Competition Using Canonical Correlation Biplot and Procrustes Analysis)

  • 최태훈;최용석;신상민
    • 응용통계연구
    • /
    • 제22권4호
    • /
    • pp.855-864
    • /
    • 2009
  • 정준상관 행렬도(canonical correlation biplot)는 정준상관분석(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에서 두 변수 집단에 의해서 측정된 다변량 자료에서 변수 집단 간의 관계와 개체들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2차원 그림이다. 최근에 최태훈과 최용석 (2008)는 2006년도 KLPGA 선수를 대상으로 정준상관 행렬도를 통해 기술요인변수군과 경기성적요인변수군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각 선수들의 군집을 시도하였다. 프로크러스티즈 분석(Procrustes analysis)은 두 형상(shape)의 유사성을 비교하는 데 사용되는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테니스 그랜드슬램대회의 선수특성요인변수군과 경기요인변수군에 대한 분석연구를 정준상관 행렬도를 적용하여 살펴보고 프로크러스티즈 분석을 통하여 행렬도 형상비교를 하였다.

방송 예능프로그램 포맷의 진화 (Evolution of Entertainment Program Format)

  • 노동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55-63
    • /
    • 2015
  • 1991년 이후 예능프로그램은 게임화 특성이 강해지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1991년~1998년과 2008년~2014년을 비교하여 지상파방송사의 주말예능프로그램 255개를 분석한 결과, 예능프로그램은 버라이어티 포맷에서 리얼리티 포맷으로, 승패와 미션수행을 경쟁의 요인으로 집중 부각하는 방향으로, 잘 짜맞추는 플롯에서 엉키게 하는 플롯으로 진화하고 있다. 단순하게 포맷 자체의 변화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리얼리티 포맷 내에서도 경쟁 요인과 플롯 구성 방식에 따라 다양한 변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함의를 내포한다. 향후에도 게임화, 플롯, 경쟁 방식 간의 상호작용은 방송콘텐츠 포맷을 더욱 창의적으로 변화시키는 핵심요인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조 재배 시 피복비닐 제거시기에 따른 잡초발생과 조의 생육 및 수량 변화 (Change of Weeds Occurrence, Growth and Yield of Foxtail Millet Cultivation by Polyvinyl Chloride Removing Time)

  • 황재복;박태선;최영대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4호
    • /
    • pp.236-240
    • /
    • 2016
  • 조의 피복비닐의 적정 제거시기를 구명하고자 조 생육특성과 잡초방제에 미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표토관리별조의 초장은 파종 후 30일에 피복비닐을 한 관행구가 75.2 cm이었으며, 무처리구가 57.5 cm로 초기생육에서는 피복비닐 처리구가 초기 지온과 수분의 영향으로 양호하였다. 조의 출수기는 피복비닐을 제거한 구가 무처리구보다 2-3일 정도 빨랐다. 표토관리별 토양수분 함량은 파종 후 20일과 30일에 피복비닐을 제거한 구, 그리고 무처리구가 피복비닐을 제거하지 않은 파종 후 40일구와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표토관리별 잡초발생량은 피복비닐을 파종 후 20일, 30일에 제거한 구에서 각각 86.5%, 84.0% 정도로 방제효과가 있었다. 수량은 파종 후 30일에 피복비닐을 제거한 구가 $355kg\;10a^{-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파종 후 20일 순이었으며, 대조구는 도복에 의한 수량 감소로 $275kg\;10a^{-1}$이었다. 조재배 시 피복비닐의 제거시기는 파종 후 30일이 수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암절취(岩切取) 훼손(毁損)비탈면에 대한 환경생태적(環境生態的)으로 안정(安定)된 녹화공법(綠化工法)에 관(關)한 연구(硏究)(I) -산림표층토(山林表層土)를 이용(利用)한 녹화토(綠化土)의 효능분석(效能分析)을 위한 실내실험(室內實驗)- (Studies on the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Stable Revegetation Measures on Rock Cut-Slopes - Availability of Forest Topsoil as a Hydroseeding Material in Greenhouse Experiment -)

  • 우보명;김경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2호
    • /
    • pp.308-315
    • /
    • 1998
  • 암절취(岩切取) 훼손(毁損)비탈면에 적용할 수 있는 종비토(種肥土)뿜어붙이기공법(工法)용 녹화토양자재(綠化土壤資材)로서 산림표층토(山林表層土)의 이용(利用) 가능성(可能性)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6년 3월부터 현지조사 및 파종실험을 실시하였다. 산림토양(山林土壤)의 유형(類型) 및 토양의 피복(被覆)두께에 따른 식생생육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분할구배치법(分割區配置法)(주구(主區) : 산림토양의 유형과 토양피복두께, 세구(細區) : 파종량)에 의한 요인실험(要因實驗)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산림토양(山林土壤)에 함유된 잠재종자원(潛在種子源)의 발아 생육으로 외래초종(外來草種)을 파종하지 않는 시험구에서는 5~9종/$0.07m^2$이 자연적으로 발생하였다. 외래초종의 파종량을 증가시킬수록 초기에 우점된 외래초종의 영향으로 공시초종 3종외에 자연적으로 출현한 종은 2~6종/$0.07m^2$으로 감소하였다. 식생의 총 출현개체 수는 침엽수토양을 이용한 실험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자연적으로 발생한 종의 비율은 활엽수토양을 이용한 실험구에서 약 30%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잠재종자원(潛在種子源)을 함유한 산림토양을 생육기반으로 사용할 경우, 초기에 파종된 외래종(外來種)과 자연적으로 발생한 종의 공생으로 기존의 종자 사용량을 1,000본/$m^2$(발생기대본수) 수준으로 감소시켜도 조기에 다양한 식생을 조성할 수 있었다. 종비토뿜어붙이기공법에 적용시 파종한 종과 자연출현종과의 경쟁, 표층부의 건조, 하부에 매몰되는 종자원을 고려할 때 토양의 피복두께는 5c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다양한 식생의 생육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