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ept image

검색결과 1,429건 처리시간 0.029초

의상 이미지의 응용 기호론적 연구(I)-엘자 스키아파렐리의 3가지 의상 이미지에 관하여- (A Study on the Semiotic Application about the Image Vestmental)

  • 최인순
    • 복식
    • /
    • 제38권
    • /
    • pp.101-12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fundamentals of one symbolic concept, so calles vestment-sign, based on the logical relationship of sign system about the trichotomy by charles S. Peice's sign concept for the communication system of meaning in the non-linguistic image domain. To prove the argument of vestment-sign, I selected 3 type of vestment language by styliste, Elsa Schiaparel-li. The third image vestmental chosen here, titled“Larme-Illusion(1938)”,printed by Salvad-or Dali will produce one symbolic proposition as a logical result which is generated and develop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other images. First of all the text, which is manifested by Elsa Schiaparelli's first image vestmental, tit-led“Notation Musical(1937)”and is symbolized as one category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form, is regarded symbolic and metaphorical from a standpoint that the title and the meaning is connected to the form. The second image vestment, titled“Ruches Noirs(1938)”represents externally splendid feminity man-ifested by the symbolic and metaphorical expression. And the purity of sensitivity aiming to humanity in the detail of the poetic feeling of naturalism makes us imagine the battle fild of furious sensitivity. Like as the result of the battle, the third image stimulated our eyesight with the“absence”of dressing function. The proposition of the text,《Death》which the third image delivers, constructs sign system to bring up a meaning with the disappearance of physical“signifier”. This establishment of the symbolic concept presents the etymological authority of symbol generation called“Design”.

  • PDF

2000년 이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트랜드의 언어심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erbal Image of Interior Decoration Trend from the Year 2000)

  • 김주연;한효정;이혜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238-246
    • /
    • 2006
  • Recent trends of interior design have a focus on creation of more various meanings rather than past ideology which sought after the compatibility to the function of modem design. These trends requires integral understanding of social and cultural ideologies with a sens of values for a certain periods. In addition, they also require creativity which able to read, find and solve consumer's diverse demand and desire. Considering the effort of trend forecasting in Korea is still heavily rely on the foreign trend shows, it is natural to attempt to study the analytical forecasting methodology based upon more systematic principles which lead to more objective outcome, when the understanding, forcasting and analysis of interior decoration trend are required. In this thesis, the analysis and forecasting of interior decoration trend are studied by means of verbal image code process which involves the induction of design concept through data extraction, classification and analysis, in order to understanding and satisfying the diversified consumer's demand and trend. The coding process of verbal image is understanding as general concept. by extracting common elements from abstract and individual image, and/or specific concept. Therefore, it is proposed that the database building and data mining process of verbal Image, and subsequent development of programming skill can be applied as more efficient tool for various verbal image process.

뉴이미지론의 위상과 두 패러다임 : J. Baudrillard와 J. Lacan을 중심으로 (Two Paradigms of the New Image Theory : J. Baudrillard and J. Lacan)

  • 최광진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2권
    • /
    • pp.193-221
    • /
    • 2000
  • The postmodern culture since the later 20C breaks downa tradition a relation between the reality and languages or sign images expressing it. It develops in the way to review the meaning on the object's imitation or the representation to have been followed since Plato and represent the new state and concept of expressed things. Also, The visual art leads an change of paradigm by images giving up the visual resemblance or the function of representation and endowing them with the new sense. This essay has a purpose to study an important discussion about this change centered on Baudrillard and Lacan. A sociologist Baudrillard promotes the concept of 'simulation' through detecting the reality and the social and historical state of the image. Studying on the course of this change, he calls the step that the image escapes from the stage to reflect the reality and become the pure imitation by itself simulation. The image in the stage of simulation is called 'hyperreality' because it doesn't have any an indicator or a substitute and happens by models without the original or the reality. So he asserts that art is not to contain some absoluteness or transcendency as the past, but to be as the spectacle with characteristics of meaningless, emptiness, contingency. Lacan dismantles the concept of the absolute Cogito to have become the center of the western ideology, and creates the concept of 'Other'. He concludes also the reality exists but can't be captured, and it's impossible for the thinking subject can reach it. The concept of new image which can be thought as the Symbolic in Lacan is 'Signifier without Signified' since it isn't possible to be the transcendent Signifier fixing the meaning finally in it. His 'Gaze' theory is which to be emitted in other's area determines the subject. Equally Baudrillard and Lacan sets up the new state of the image through the end of representation system As for Baudrillard, art intends to the worthlessness and is nothing but imagination. But in Lacan a picture represents the subject being in process by the dialectic of desire.

  • PDF

중·고등학생의 사각형에 대한 개념 정의 이해와 개념 이미지 분석 (An analysis on concept definition and concept image on quadrangl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장현석;김명창;이봉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2호
    • /
    • pp.323-338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사각형에 대한 개념 정의 이해 정도를 분석하고 개념 이미지에 대한 현상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중학교 2학년 60명, 중학교 3학년 63명, 고등학교 1학년 65명을 대상으로 검사하고, 일부의 학생을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자연적으로 사각형의 개념 정의에 대한 이해도가 향상된다고 볼 수 없다. 특히, 모든 학년에서 다른 사각형과 비교하여 마름모 개념 정의에 대한 이해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사각형에 대한 개념 정의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잘 이해하지만,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마름모, 직사각형에 대한 개념 정의에 대한 이해 정도는 성별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각형 개념 정의를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개념 이미지의 영향을 점점 더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생의 사각형에 대한 개념 이미지 형성에 개념 정의의 영향은 줄어들고 교과서나 교사의 영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변수에 의한 함수 지도가 함수개념의 형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n Forming Functional Concept by Teaching Function Based on Variable)

  • 이덕호;길영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103-11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earning materials for functional concept on variable and to verify the effect of how well students could learn functional concept after they studied with those material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 developed learning materials and after teaching students with them. I have concluded the followings : First, there was little effect in teaching functional concept on variable between two experimental groups, whereas teaching functional concept had greater effect on forming functional concept in high level groups in those two experimental groups. Second, teaching functional concept on variable had little effect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functional concept and perfecting tables in Black box, graph, and mathematical problems, whereas there was much effect in students' understanding functional concept and solving relation formula, image, and range problems related to everyday life or general things. On the basis of the problems which appeared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an be suggested : First, we should develop learning materials fit for low level students so that they could understand functional concept. Second, we should continue to teach the basic problems like solving relation formula, image, and range, and understanding functional concept in graph until students are able to understand them exactly. Third, since the goals of Unit Function in a middle school textbook is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everyday life through functional thinking, there should be change in constructing systematic contents of Unit Function in a middle school textbook.

  • PDF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 전문직 자아개념 및 조직몰입 (A Study on Nurse Imag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ing Students)

  • 이종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84-295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 전문직 자아개념 및 조직몰입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J시의 간호대학생 238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자료수집은 2016년 9월 7일에서 9월 10일 사이에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평균, 표준 편차, t-검정, ANOVA, Scheffe's test, Pearson 상관 계수, 단계적 다중 회귀 분석을 WIN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간호대학생들은 간호사이미지, 전문직 자아개념 및 조직몰입에 대해 5점 만점에 각각 4.01점, 3.40점 및 3.77점으로 평균값이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는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전문직 자아개념은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본 연구의 측정변인인 간호사이미지와 전문직 자아개념은 간호대학생의 조직몰입에 대해 56.3%의 설명력을 보였다.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간호사이미지, 전문직 자아개념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에서 간호사이미지가 대상자의 조직몰입에 가장 큰 예측변인임이 확인되었다.

임상실습 후 간호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rse image and major satisfaction on professional self-concept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after clinical practice)

  • 황혜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76-483
    • /
    • 2018
  • 이 연구는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고학년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사 이미지, 전공만족도, 전문직 자아개념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가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일 지역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 4학년 132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17년 6월 1일부터 2017년 6월 30일까지 한 달 동안 임상실습을 수행한 학생들에게 연구자가 직접 설문조사를 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주는 일반적 요인은 경제수준(F=4.94, p=.009), 지원동기(F=3.13, p=.011), 지난 학기 성적(F=4.27, p=.016)이었으며,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간호사 이미지(r=.22, p<.012), 전공만족도(r=.20, p<.019)는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간호사 이미지(F=.73, p<.001), 전공만족도(F=.24, p<.001)였으며 전체 81%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을 높이기 위해서는 임상실습 전후 고학년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사 이미지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심어주며 간호학에 대한 전공만족도를 높이는 노력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 전문직 자아개념 및 간호전문직관과의 융복합적 관계 (A Study of Convergence Relationships among Nurses' Imag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 이은선;박명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311-320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사 이미지, 전문직 자아개념 및 간호전문직관의 관계를 확인하고, 간호전문직관 정립을 위한 효율적인 간호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 일개 대학에 재학중인 292명의 간호 대학생이었으며, 2015년 11월 11일부터 11월 1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 이미지(r=.821, p<.001), 전문직 자아개념(r=.701, p<.001)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간호사 이미지, 전문직 자아개념 및 학년을 포함한 변수가 간호전문직관을 총 57.2% 설명하였다. 따라서, 긍정적인 전문직관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시,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요인들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겠다.

체계적 분석 기법을 이용한 의미기반 이미지검색 분야 고찰에 관한 연구 (A Systematic Review on Concept-based Image Retrieval Research)

  • 정은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13-332
    • /
    • 2014
  • 디지털 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이미지 생산, 유통, 이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미지 검색에 관한 연구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미지검색 분야는 내용기반과 의미기반으로 나뉘어 연구가 수행되어왔으며, 문헌정보학 관점에서는 특히 의미기반의 색인과 검색에 주목해왔다. 본 연구는 체계적인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의미기반 이미지검색 분야 연구 집적의 분석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는 Web of Science 수록된 문헌정보학(Information Science/Library Science)분야의 이미지검색 논문 및 학술회의 논문 총 282건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국내 연구와 비교를 위해서는 DBpia에 수록된 문헌정보학 분야의 이미지검색 논문 35건을 수집하였다. 데이터 분석 과정은 우선 개괄적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서지사항을 분석하였고, 이와 함께 내용분석을 통한 체계적 분석 고찰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이미지 검색은 기존 연구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의미기반 이미지 검색이 주된 흐름이며, 그 중에서도 이미지 색인과 기술 분야, 이미지 요구와 검색행태 분야의 연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연구 경향으로 주목할 만한 분야는 집합적 색인, 다언어/다문화 환경에서의 색인과 이미지 요구, 감정색인과 접근 등이다. 이용자 중심의 이미지 검색 연구 측면에서는 특정 이용자 그룹 중에서 대학생이나 대학원생이 주된 연구 대상 이용자 그룹이며 이 외에도 이미지를 업무에 사용하는 이용자 그룹에 대한 연구가 주된 경향이다. 최근에는 일반 이용자를 대상으로 일상생활 환경에서 이미지검색에 관한 연구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국내 연구와 비교하면, 논문의 수적인 차이를 제외하면 세부 연구 주제에 있어서 상당히 유사한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금까지의 이미지 검색 분야의 연구 집적을 조명하며, 향후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디지털공간의 현실공간의 '생성(becoming)'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igital Space on 'Becoming' Real Space)

  • 윤재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126-133
    • /
    • 2007
  • This study is intended to set the concept of becoming meaning of digital space through digital technology and to study the influence of digital space on becoming of real space through derived keywor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gital concept is created in the process that the virtual space is changed into the real space with a priority given to form, space and time. Digital expression concept and image concept the structural becoming, and idea concept and creative concept creates the time becoming. Second, the concept of digital becoming exposes a physical visibility through the digital's virtual image, and non-space spatiality through the space simulation. It also continuously reveals a consecutive time and non-consecutive time through a statable progress, incremental progress, and dynamic progress. Third, as the influence of digital on becoming of real space, the digital visibly not only expresses the new and difficult becoming problem through conceptual virtuality, but also can review the real space's space concept with virtuality in the digital non-area. Digital's durability expresses the new space's existence by physically combining with the existing space through the virtual form cre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