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rete floating structure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초

수치해석을 통한 콘크리트 부유구조체 길이에 따른 운동 및 구조성능 검토 (Hydrodynamic Motion and Structural Performance of Concrete Floating Structure by Length Using Numerical Analysis)

  • 이두호;유영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401-409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부유구조체의 단면특성은 동일하지만, 길이가 서로 다른 4가지의 대형 콘크리트 부유구조체에 대하여 운동 특성 및 구조성능의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부유구조체 설치해역은 수심이 35 m인 연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치해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랑주기 3초~10초 34개 규칙 파랑하중을 적용하였다. ANSYS-AQWA를 통하여 부유구조체의 동수역학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운동 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34개 파랑하중에서 부유구조체에 최대 응답진폭을 나타내는 위험 파랑하중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위험파랑하중으로 인해 부유구조체에 도입되는 파압을 도출하였다. 위험 파랑하중으로 인해 도출된 파압을 부유구조체에 매핑(mapping)하여 구조성능을 검토하였다. 해석 결과를 종합해볼 때, 부유구조체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부유구조체의 운동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부유구조체와 파랑하중의 상호작용의 효과는 파랑주기와 구조물 길이에 지배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위험 파랑하중으로 인해 부유구조체의 하부슬래브는 인장응력이 발생하며, 부유구조체 길이는 단면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기반 플로팅 플랫폼 연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nector of Floating Platform based on Concrete Structures)

  • 투멩자르갈;윤대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7-44
    • /
    • 2013
  • 본 연구는 다양한 기상변화에 따른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해상에서의 플로팅 플랫폼의 연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해상변화가 일어나는 연안역에 설치되는 플로팅 구조물에 관한 문헌 조사를 실시한 후, 콘크리트 구조물 연결하는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플로팅 구조의 개념, 기존의 모델, 설계적 평가를 포함한 콘크리트 구조물 기반 플로팅 플랫폼을 기술하였고, Rigid Pontoon Connector를 국내 연안역에 적합한 모델로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리기드 폰툰 커넥터 디자인은 (Rigid Pontoon Connector) 안정적으로 플로팅 플랫폼의 연결을 구축할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이고 실용적인 솔루션으로 분석되었다.

외해 양식장 콘크리트 부유식 방파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a Concrete Floating Breakwater for an Open Sea Fish Farm)

  • 최군환;김미정;장기호;전제천;박정준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48-656
    • /
    • 2019
  • The ecological changes in the ocean due to the drastic global warming require that action be taken to sustain the productivity of fisheries. Proper ocean facilities could help prevent the loss of the expenditures made on marine aquaculture and reduce the related compensation for various ocean condi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loating ocean wave-breaker using an eco-friendly concrete and conducting a site survey, a structural analysis, and a test of towing the tank. As a result, the wave at the fish farm would be reduced. The results of the holding power of anchors and the capability of moving the floating structures wer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the wave-breaker. The analyses of the material properties of concrete and the steel structures, as well as the CAPEX and OPEX analyses of the manufacturing and operation processes confirmed the superiority of the floating concrete wave-breaker. In particular,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concrete floating breakwater can protect the fish farm against typhoons and reverse-waves, thereby reducing losses of the fish.

모듈형 부유구조물의 적용성 연구 (Investigation on Applicability of Modularized Floating Structure)

  • 김병완;홍사영;경조현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6년 창립20주년기념 정기학술대회 및 국제워크샵
    • /
    • pp.237-240
    • /
    • 2006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pplicability of modularized floating structure. A floating parking place is considered as an example of moularized structure. It is assumed that the example structure is composed of reinforced concrete box modules and steel connectors. By analyzing stresses of the structure under static and wave loads, the optimal stiffness of the module is determined In the numerical calculation, the direct method is used Economical effectiveness of the modularized structure is also evaluated by analyzing cost for materials, manufacture and installation.

  • PDF

共同住宅 뜬바닥構造의 바닥 衝擊音레벨 測定 (Measurements of the floor impact sound level for floating screeds in apartment house)

  • 박병전;신영무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8-49
    • /
    • 1992
  • 고체음은 건축음향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의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축음향설계에서 그 거동을 예측하는 연구는 아직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여기에 바닥충격음 제어의 가장 확실한 방법중의 하나인 콘크리트 뜬바닥구조를 개발하여, 이 구조의 층ㅇ격음 차단성능을 기존바닥과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5개소에 21개 샘플을 시공하고 그 성능을 KS F 2810의 규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비교분석은 차음등급의 기준주파수 특성을 쓰고, JIS A 1419의 규정에 의해 구한 차음등급에 따랐다. 결과는 표 3.1의 번호 12의 구조이외는 크게 바닥충격음의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고 기타는 자료의 축적에 뜻이 있다 하겠다.

  • PDF

매개변수 연구를 통한 하이브리드형 부유식 구조물의 인장응력 발생 분석 (A Parametric Study on Tensile Stress of a Hybrid Floating Structure System)

  • 지광습;이승정;곽연민;정연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5B호
    • /
    • pp.313-32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폰툰형 콘크리트 부유구조체의 하부슬래브에 발생하는 인장력을 억제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부유구조체 외측 모듈을 반잠수식 모듈로 구성하는 구조시스템을 제시하였다. 본 시스템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반잠수식 모듈 제원과 전체 시스템에 대한 반잠수식 모듈의 구성비를 변화시켜 외력에 대한 구조응답과 부유구조체 중량, 흘수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구조성능 검토 시 효율적인 매개변수 연구를 위해 이단계 등가 정적 해석법을 도입하였으며, 본 해석법을 바탕으로 시스템 제원 변화에 따른 각 구조부 작용 외력의 변화와 구조 거동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시스템 도입 시 콘크리트 부유구조체의 하부슬래브 발생 인장력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정한 반잠수식 모듈의 구성비는 부유구조체 길이대비 약 15% 이하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유식 구조물의 모듈 접합부 강도 (Strength of Joint in Floating Structures Constructed with Precast Concrete Modules)

  • 양인환;김경철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97-204
    • /
    • 2012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 단위로 시공되는 플로팅 구조물의 거동은 콘크리트 모듈 접합부의 거동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극한하중조건에서의 플로팅 구조물의 구조적 거동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 모듈 접합부의 구조거동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모듈 접합부 전단키의 전단거동, 전단강도 및 균열 패턴을 파악하였다. 실험결과는 전단키의 경사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단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구속응력이 증가함에 따라 전단키의 전단강도가 증가한다. 실험결과와 AASHTO 제안식에 의한 예측값을 비교하였으며, AASHTO 제안식은 실험값을 과소평가하고 있다.

활하중 분포에 따른 콘크리트 부유식 컨테이너 터미널의 구조성능 및 거동 (Structural Performance and Behavior of Concrete Floating Container Terminal by Live Load Distributions)

  • 이두호;정연주;유영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72-8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총 10가지 다양한 컨테이너 활하중 분포에 따른 콘크리트 부유식 컨테이너 터미널 하부슬래브의 휨응력분포와 변위분포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대상구조물의 구조성능과 거동을 수치해석적으로 검토하였다. 활하중 분포에 따른 구조성능 검토결과 3가지 하중분포 (A, B, D-type)는 인장거동을 보이며, 그 외의 7가지 하중분포 (C, E, F, G, H, I, J-type)에서는 압축거동을 나타내었다. 특히, D, F-type에서는 과도한 압축응력이 발생하였으며, 부력 프리플랙션 제어를 통하여 압축응력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활하중 분포에 따른 구조거동 검토결과 B, E, F, I-type에 대한 부유구조체의 기울기가 메가플로트 기준을 초과하였으며, 이와 같은 하중분포는 컨테이너 적하 시에 회피해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종합적으로, 부유식 컨테이너 터미널에 관련된 기준 및 연구가 많지 않은 현실을 감안할 때, 본 연구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구조성능 및 거동을 검토를 위한 초석이 될 것이며, 사용 가이드라인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nalytical study on hydrodynamic motions and structural behaviors of hybrid floating structure

  • Jeong, Youn-Ju;Lee, Du-Ho;Park, Min-Su;You, Young-Jun
    • Ocean Systems Engineering
    • /
    • 제3권1호
    • /
    • pp.35-53
    • /
    • 2013
  • In this study, a hybrid floating structure with cylinder was introduced to reduce the hydrodynamic motions of the pontoon type. The hybrid floating structure is composed of cylinders and semi-opened side sections to penetrate the wave impact energy. In order to exactly investigate the hydrodynamic motions and structural behavior of the hybrid floating structure under the wave loadings, integrated analysis of hydrodynamic and structural behavior were carried out on the hybrid floating structure. Firstly, the hydrodynamic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hybrid and pontoon models. Then, the wave-induced hydrodynamic pressures resulting from hydrodynamic analysis were directly mapped to the structural analysis model. And, finally, the structural analyses were carried out on the hybrid and pontoon model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learned that the hybrid model of this study was showed to have more favorable hydrodynamic motions than the pontoon model. The surge motion was indicated even smaller motion at all over wave periods from 4.0 to 10.0 sec, and the heave and pitch motions indicated smaller motions beyond its wave period of 6.5 sec. However, the hybrid model was shown more unfavorable structural behavior than the pontoon model. High concentrated stress occurred at the bottom slab of the bow and stern part where the cylinder wall was connected to the bottom slab. Also, the hybrid model behaved with the elastic body motion due to weak stiffness of floating body and caused a large stress variation at the pure slab section between the cylinder walls. Hence,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some alternatives which could be easily obtained from the simple modification of structural details were proposed.

부유궤도의 진동$\cdot$소음 특성 평가 (Evaluation of Vibration and Noise character on the Floating Slab Track)

  • 허영;이상진;김기훈;이인세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3-348
    • /
    • 2003
  • As one of countermeasures for vibration and noise source which come from train operation in subway system, the heavy-weighted tunnel structure and the low-vibration track design have been adopted. In recent the low-vibration concrete track have been constructed to enhance the maintenance effectiveness as well as the reduction of vibration. This paper is explaining and evaluat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vibration and its effects comparing to tile ballast track, concrete track, and full surface supported floating slab track installed on Express bus terminal in Seoul subway No. 7 li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