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rolled vocabularie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7초

Construction of Local Data Dictionary in the Field of Nuclear Medicine

  • Hwang, Kyung-Hoon;Lee, Haejun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65-465
    • /
    • 2010
  • A controlled medical vocabulary is a vital component of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because it enables computers to use information meaningfully and different institutions to share the medical data. There are currently many standard medical vocabularies - SNOMED-CT, ICD-10, UMLS, GALEN, MED, etc, but none is universally accepted as an optimal controlled medical vocabulary for application to medical information system. Moreover, it is difficult to settle the well-designed local data dictionary consisting of controlled medical vocabularies for the individual hospital information system (HIS). One of the major reasons is the local terminology with poor contents have been used in the hospital. Thus, as a trial, the local controlled vocabulary referencing system has being constructed in a limited medical field - nuclear medicine. We selected practical nuclear medicine terms from interpretation reports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removed ambiguity and redundancy, mapping the selected terms to standard medical vocabularies. Relationship and hierarchy structure between terms have being made, referring to standard medical vocabularies. Further studies may be warranted.

Fully connecting the Observational Health Data Science and Informatics (OHDSI) initiative with the world of linked open data

  • Banda, Juan M.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7권2호
    • /
    • pp.13.1-13.3
    • /
    • 2019
  • The usage of controlled biomedical vocabularies is the cornerstone that enables seamless interoperability when using a common data model across multiple data sites. The Observational Health Data Science and Informatics (OHDSI) initiative combines over 100 controlled vocabularies into its own. However, the OHDSI vocabulary is limited in the sense that it combines multiple terminologies and does not provide a direct way to link them outside of their own self-contained scope. This issue makes the tasks of enriching feature sets by using external resources extremely difficult. In order to address these shortcomings, we have created a linked data version of the OHDSI vocabulary, connecting it with already established linked resources like bioportal, bio2rdf, etc. with the ultimate purpose of enabling the interoperability of resources previously foreign to the OHDSI universe.

Subject Searching Using Controlled Vocabulary Versus Uncontrolled Vocaburary in Online Catalog System: Focusing on Multilingual Environment

  • 최희윤
    • 정보관리연구
    • /
    • 제26권2호
    • /
    • pp.61-79
    • /
    • 1995
  • 정보검색의 성공여부는 적절한 검색어의 선정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CD-ROM이나 온라인목록시스템에서 주제검색시 분류표, 주제명과 같은 통제어와 자연어 등 비통제어의 비교 우위 문제는 아직도 논란이 되고 있다. 본고는 두 시스템의 검색효율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특히 다언어 환경하에서의 검색어 사용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형태의 검색어휘를 조사 분석하였다.

  • PDF

예술분야 정보의 주제전거를 위한 CONA와 FRSAD의 연계방안 연구 (Applying CONA to FRSAD for Organizing Cultural Works Information)

  • 박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7-4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Getty 재단의 Cultural Objects Name Authority(CONA)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문헌정보학 분야의 주제전거 개념 모형인 Functional Requirements for Subject Authority Data(FRSAD)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CONA는 AAT나 ULAN, TGN과 같은 기존의 어휘제어 도구와 연계성이 뛰어나고, LCSH와 같은 도서관 분야의 제어어휘 도구와도 연계할 수 있다. 그러나 CONA는 도서관보다는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관점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므로 우리 분야의 표준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다. CONA를 우리 분야에서 활용하거나 연계하고자 할 때는 이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CONA의 관점을 통해 문화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방식을 검토하여, 유관 분야의 기술도구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이를 우리 분야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는 점에 있다.

연구영역분석을 위한 디스크립터 프로파일링에 관한 연구 (Descriptor Profiling for Research Domain Analysis)

  • 김판준;이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85-303
    • /
    • 2007
  • 본 연구는 연구 영역 분석을 위하여 통제어휘와 비통제어휘를 연계해서 사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동시출현단어분석은 크게 통제어휘와 비통제어휘를 사용하는 경우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통제어휘를 사용할 경우에는 자료 희귀성 및 색인자 효과가 단점이며, 비통제어휘를 사용할 경우에는 저자의 주관에 따른 단어 선택 및 단어의 중의성이 문제가 된다. 이 연구에서는 양자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통제어휘인 디스크립터를 비통제어휘인 단어와의 동시출현 정보로 표현하는 디스크립터 프로파일링을 제안하였다. 정보학분야에 적용해본 결과, 디스크립터 프로파일링은 특정 영역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는데 있어 통제어휘와 비통제어휘가 갖는 본질적인 문제점을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데이터베이스의 통제키워드에 기초한 국내 학술지 논문의 자동분류 성능 향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Automatic Classification for the Articles of Korean Journals Based on Controlled Keywords in International Database)

  • 김판준;이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491-510
    • /
    • 2014
  • 학술지 논문의 효율적인 관리 및 검색을 위한 주요 요소인 키워드는 통제키워드와 비통제키워드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 데이터베이스에서 대부분의 학술지 논문에는 비통제키워드인 저자키워드만이 부여되어 있을 뿐, 망라적인 탐색을 돕는 통제키워드로서 디스크립터는 제공되지 않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해외 데이터베이스의 학술지 논문에 부여된 통제키워드를 학습한 분류기를 사용하여, 국내 학술지 논문에 디스크립터를 자동 할당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국외 데이터베이스의 디스크립터 학습을 통해 영문 초록이 있는 국내 학술지 논문에 통제키워드를 자동 할당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류기 및 분류기 결합을 통하여 이러한 디스크립터 자동 할당의 성능 향상을 모색하였다.

분단과 교류이후 남북한 한복에 나타난 변화 -여자 저고리 중심으로- (Change in Hanbok of South and North Korea after the Division and the Interexchange -Focusing on Women's Jeogori-)

  • 장인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6-114
    • /
    • 2006
  •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recent changes in construction, design, and technical vocabulari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of the Korean woman's top(Jeogori), which is a main part of her traditional costume(Hanbok). After Korea War, Korea was divided into two countries(the division), and there was littl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until 1972(the interexchange). Thus, this study will compare two time periods: 1953-1972 and 1972 to recent times. Hanbok construction books published in both Koreas are evaluated here to see wha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existed during these two periods. Women in the North continued to wear their traditional costume(renamed the Chosunot in the North) as daily clothing, but women in the South began saving the Hanbok only for parties and ceremonies. As the North Korean government controlled its peoples dress and continued to make changes, the North kept developing new technical vocabularies, but the South continued to use the same terms fur the Hanbok. From the end of the 1990s, the Chosunot had become more and more similar to the Hanbok in colors, shapes, and materials.

우리말 시소러스 작성(作成)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Constructing Korean Language Thesaurus)

  • 김태중
    • 정보관리연구
    • /
    • 제21권1호
    • /
    • pp.53-75
    • /
    • 1990
  • 정보검색(情報檢索)시스템에서 통제어휘(統制語彙)는 재현율을 높이고 색인자(索引者) 또는 이용자(利用者)가 적합한 용어(用語)를 선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시소러스는 통제어휘집(統制語彙集)의 한 형태로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 제작자(製作者)들이 사용하고 있다. 이 연구(硏究)의 목적(目的)은 우리말 시소러스의 작성방법(作成方法)을 개발(開發)하는 것이며 다음과 같은 내용(內容)을 다루었다. 1) 시소러스의 정의(定義), 2)시소러스 작성이론(作成理論)에 관한 문헌조사(文獻調査)와 검토(檢討), 3) 실제적인 시소러스 작성방법(作成方法) 제시(提示), 4) 시소러스의 출력형태(出力形態), 5) 실험(實驗) 및 실험결과(實驗結果)

  • PDF

일제강점기 일본어신문 『조선시보』의 메타데이터 요소 개발과 적용 연구 (Metadata Elements Design and Application for Japanese Newspaper 'Chosunsibo' Issued in Colonial Korea)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137-15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일본어 신문 중 자료의 방대한 양이나 사료로서의 가치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신문기사 검색이 불가능한 『조선시보』의 메타데이터 구축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 일제강점기 신문DB구축 현황과 메타데이터 요소를 분석하고, (2) 『조선시보』의 형태적·내용적 특성을 파악한 다음, (3) 메타데이터 설계를 위한 기본원칙을 정한 후 『조선시보』에 적용할 메타데이터 요소 및 인코딩 스킴, 통제어휘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메타데이터 설계(안)은 (1) 데이터 입력 테스트를 통한 검토 및 수정, (2) DB 전문기관의 자문, (3) 관련 표준 및 관련 사례와의 crosswalk 작성 등의 과정을 거쳐 확정되었다. 본 연구의 범위는 『조선시보』에 적합한 메타데이터 요소의 개발 및 이를 토대로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입력기 개발까지로 설정하였다.

디지털 도서관을 위한 소셜 태깅의 의미: 이용자 협력을 활용한 디지털 지식 생성 (Implications of Social Tagging for Digital Libraries: Benefiting from User Collaboration in the Creation of Digital Knowledge)

  • 최윤선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25-239
    • /
    • 2010
  • 본 연구는 이용자 협력에 의한 소셜 태깅(social tagging)이 웹 자원을 위한 디지털 지식 생성에 활용될 수 있으며, 태깅의 양질성(quality)과 효율성이 실증적으로 증명될 수 있는가를 다루었다. 이 논고는 특별히 소셜 태깅의 색인 일관성(indexing consistency)을 평가하고 전문가들의 색인 일관성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많은 수의 색인자들 간의 색인 일관성을 측정하기 위해 벡터 공간 모델(Vector Space Model)에 기반한 두 가지의 유사성 측정 공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웹자원 관리에 있어서 소셜 태깅의 활용성 증진에 공헌하며, 디지털 도서관 환경에서 새롭게 생성되는 자료들에 대한 보다 적합한 어휘를 개발하는 데에 있어 소셜 지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두 가지 공식에 의한 비교분석은 두 공식에서의 비슷한 색인 경향을 보여주면서 보다 신뢰적인 결과를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