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n syrup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7초

생전분의 고농도 무증자당화법을 도입한 새로운 High Fructose Corn Syrup 제조공정 (An Innovative Process for High Fructose Corn Syrup Production Coupled with Direct Saccharification of Raw Corn Starch in a Bioattritor)

  • 박동찬;이용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37-444
    • /
    • 1992
  • 분쇄마찰매체함유 불균일상 효소반응계를 활용한 생전분의 무증자당화법은 고농도, 고순도의 포도당을 고효율로 직접 얻을 수 있는 새로운 당화법으로 이를 high fructose corn syrup(HFCS) 제조공정에 응용코져 연구하였다. 400g/$\ell$ 생전분을 24시간 무증자당화시켜 이성화반응에 적합한 고농도인 398g/$\ell$와 고순조인 98 포도당 용액을 농축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얻을 수 있었다. 전분에 대한 포도당수율은 0.90으로, 미반응 잔유전분은 쉽게 원심분리되었으며, 재당화도 용이하였다. 또한 무증자당화액은 단백질성 변성물, 이온 등 불순물의 함량이 매우 적어, 이성화 반응 전단계인 분리 정제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었다. 생성된 당용액의 고정화 포도당 이성화효소 기질로서의 적합성을 검토하여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생전분 직접당화법을 도입한 새로운 HFCS 제조공정은 액화/당화공정을 경유하는 기존의 공정에 비하여 여러가지 장점이 있어 산업적 활용이 기대되며, 이를 위한 후속연구가 요망된다.

  • PDF

당 종류와 혼합비가 쿠키의 물리적,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Kind and Mixture Ratio of Sugars on the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ugar Snap Cookies)

  • 이강철;김규현;강병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39-245
    • /
    • 2011
  • 당의 종류와 혼합비가 쿠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당 함량이 30%로 고정된 배합비에서 당 종류를 과당, 고과당, 전화당으로 달리하여 첨가하였을 때 고과당은 적정한 퍼짐성을 가졌으며, 관능평가에서도 전체적으로 좋은 평점을 나타내었다. 가장 적절한 물성과 관능을 나타낸 고과당을 함량별로 첨가하여 함량에 따른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고과당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수분 보유 능력과 퍼짐성은 증가하고, 관능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색상은 어두워졌다. 또한 고과당 함량이 40%인 경우에는 다른 함량비와 상대적인 유의차가 나타났다. 단일당만의 효과와는 달리, 고과당에 전화당을 혼합한 경우에는 전화당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퍼짐성은 감소하고 경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화당에 대한 고과당의 혼합비는 고과당을 50%까지 혼합해도 기호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화당:고과당의 비율이 75:25인 경우가 가장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당의 종류가 쿠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상대적으로 나타났으며, 혼합한 경우 당 종류에 따라 쿠키의 물성과 관능적 특성이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과(藥果)에 쓰이는 Syrup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yrup using for Yackwa)

  • 전희정;이효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35-140
    • /
    • 1975
  • 약과(藥菓)에 사용(使用)되는 꿀중(中)에서 가장 좋은 꿀은 모밀꿀이었으며, 모밀꿀과 비슷한 꿀 대용(代用)의 Syrup을 만들어 본즉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설탕 40%, 물엿 20%, 물 40%의 비(比)로 하여 10분간(分間) 끓인 Syrup(A)과 설탕 20%, 포도당 20%, 물엿 20%, 물 40%의 비(比)로 하여 10분간(分間) 끓인 Syrup(C) 또는 15분간(分間) 끓인 Syrup(B)이 좋았다. 2. 반죽용(用) Syrup 으로는 A, B Syrup 이 좋았고 재어두기에는 C Syrup이 좋았다. A Syrup 을 약과(藥菓)반죽에 넣을때는 튀긴 즉시(?時) A Syrup에 재어두거나, 또는 튀겨낸 후(後) 냉각시켜 C Syrup 에 재어두는 것이 좋았고 B Syrup 을 반죽에 넣을 때는 튀겨낸 후(後) 냉각시켜 C Syrup 에 재어두는 것이 좋았다. 3. 모밀꿀로 반죽한 약과(藥菓)의 지방함량(脂肪含量)은 27.22%, A Syrup 으로 반죽한 약과(藥菓)는 23.05%, B Syrup 으로 반죽한 약과(藥菓)는 30.35%였다.

  • PDF

전분당 종류에 따른 흑임자다식의 품질 특성 (Effects of Corn Syrup with Different Dextrose Equivalent on Quality Attributes of Black Sesame Dasik, a Korean Traditional Snack)

  • 김현정;전향숙;김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414-1417
    • /
    • 2004
  • 제조 직후 및 2개월 저장된 흑임자다식의 관능 특성과 기계적 조직감 분석 결과 경도 증가를 포함한 조직감의 변화, 윤기 및 고소한 맛의 감소 등이 저장에 의한 흑임자다식의 대표적인 품질 저하 인자로 조사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포도당 당량(dextrose equivalent, D.E.)이 다른 4종류의 전분당을 이용하여 흑임자다식을 제조한 후 $25^{\circ}C$에서 4주 저장하면서 기계적 조직감, 관능 특성을 분석한 결과 높은 DE 전분당 또는 올리고당을 사용함으로써 고소한 냄새와 맛을 제외한 외관, 맛, 조직감 항목에서 저장에 의한 흑임자다식의 품질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었다.

동아정과의 재료배합비와 조리방법에 따른 Texture 특성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Wax gourd Jung Kwa by different recipes)

  • 이효지;김현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12-420
    • /
    • 2001
  • 동아정과를 만들 때 동아의 전처리 과정과 전처리된 동아에 당의 종류와 물의 양의 차이, 졸임시간 및 조리방법이 동아정과의 Texture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관능검사 결과 color는 전처리한 동아 300g, 물 1$\ell$, 물엿 495$m\ell$로 제조한 정과가 가장 좋다고 평가되었다. Flavor, Hardness, Chewiness는 전처리한 동아 300g, 물 1$\ell$, 물엿 475$m\ell$와 설탕 70g으로 제조한 정과가 가장 좋다고 평가되었다. Adhesiveness는 전처리한 동아 300g, 물 1$\ell$, 물엿 515$m\ell$로 제조한 정과가 가장 좋다고 평가되었다. Sweetness는 전처리한 동아 300g, 물 600$m\ell$, 설탕 90g에 꿀 120g으로 제조한 정과가 가장 달다고 평가되었다. 전반적으로 바람직한 기호도는 전처리한 동아 300g에 물 1$\ell$, 물엿 475$m\ell$, 설탕 70g을 넣고 5시간 동안 제조한 당도 74%의 정과가 가장 좋다고 평가되었다.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2. 전처리한 동아 300g에 물 1$\ell$, 물엿 475$m\ell$, 설탕 70g을 넣고 5시간 동안 제조한 정과의 최대절단력이 4753.8g으로 가장 높았다. 이 때 당은 74%였다. 당은 설탕과 꿀$\longrightarrow$물엿과 설탕$\longrightarrow$물엿으로 제조한 정과의 순으로 최대절단력이 높았다.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3. 전처리한 동아 300g에 물 1$\ell$, 물엿 475$m\ell$을 넣고 5시간 동안 제조한 정과의 수분향량은 45.54%로 가장 많았다. 당은 물엿과 설탕$\longrightarrow$물엿$\longrightarrow$설탕과 꿀로 제조한 정과의 순으로 수분향량이 많았다. 4. 동아정과의 L값(Lightness)는 전처리한 동아 300g에 물 1$\ell$, 물엿 475$m\ell$, 설탕 50g을 넣고 5시간 동안 제조한 군이 가장 밝았다. 전체적으로 물엿$\longrightarrow$1물엿과 설탕$\longrightarrow$설탕과 꿀로 제조한 정과의 순으로 L값이 높아 밝았다. a값(Redness)은 전처리한 동아 300g에 물1$\ell$, 물엿 475$m\ell$, 설탕 70g을 넣고 5시간 동안 제조한 군이 가장 높아 red에 가까웠고 전체적으로 물엿과 설탕$\longrightarrow$설탕과 꿀$\longrightarrow$물엿으로 제조한 정과의 순으로 red에 가까웠다. b값(Yellowness)은 전처리한 동아 300g에 물 1$\ell$, 물엿 475$m\ell$을 넣고 5시간 동안 제조한 군이 가장 높아 yellow에 가까웠고 전체적으로 물엿$\longrightarrow$설탕과 꿀$\longrightarrow$물엿과 설탕으로 제조한 정과의 순으로 yellow에 가까웠다. 5. 관능검사에서 단단하다고 평가된 정과가 색도에서 적색도가 높았다. 관능검사에서 색이 좋다고 평가된 정과가 색도에서 붉은 빛과 황색을 나타냈다. 관능검사의 단단한 정도(Hardness)와 씹힘성(Chewinwss)은 기계검사의 Texture인 최대절단력(Maximum cutting force)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관능검사에서 단단함과 씹힘성이 높다고 평가된 정과가 기계검사에서 최대절단력이 높았다. 관능검사의 전반적으로 바람직한 정도(Overall quality)는 기계검사의 Texture와 정의 상관관계를, 수분향량(Moisture content)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 최대절단력이 높고 수분함량이 낮을 수록 정과의 관능성이 좋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은 동아정과의 가장 바람직한 recipe는 동아 300g을 석회가루 20g에 48시간 재운 후 끓는 물에 2분 동안 데쳐 찬물에 1시간 담갔다가 물엿 475$m\ell$, 설탕 70g, 물 1$\ell$를 5시간 동안 졸인 것이었다. 이 때 시럽의 당도는 74%였고, 절단력은 4753.8g이었다. 수분함량은 32%였다.

  • PDF

케이크의 저장수명 연장을 위한 액체당의 사용 (Usage of Liquid Sugars for Shelf Life Extension of the Cake)

  • 국승욱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59-264
    • /
    • 1996
  • Five different liquid sugars, invert sugar, corn syrup, high fructose corn syrup, sorbitol and oligosaccharide were compared to improve the shelf life of sponge cake and to decrease the contamination of microorganisms in the baking plant. Sucrose was used as a control. The use of 40% of liquid sugar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20% on the staling and softness. Invert sugar showed the lowest water activity and the highest water holding capacity. Oligosaccharide showed the highest water activity and the lowest water holding capacity among loquid sugars used. 20% of replacemint of sucrose with invert sugar decreased the contamination more than 100% of sucrose.

  • PDF

한국의 녹말 산업 발달사 (History of Korean Starch Industry)

  • 박연성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1권1호
    • /
    • pp.45-60
    • /
    • 2018
  • The starch industry in Korea had been based on sweet potato and potato for long time to produce starches which were used for mainly starch noodle such as cellophane noodle. Because of the poor storage stability, high price, and fluctuation of production by year and year of potatoes, the raw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starch had been changed to corn in 1970s. Along with this, the mass production system had been established, which enabled the production of various starch-related products including modified starches for food, textile, paper, and other industrial uses, starch sweetners, high fructose corn syrup, and gelatinized starch. In this paper, a brief background of corn industry in Korea has been described. The production of starch from corn has been emphasized and the future of corn industry in relation with GMO has been suggested.

약과의 조리 및 저장에 관한 연구 - 제1보 ; 튀김조건에 따른 약과의 물성 평가 - (Studies on the Experimental Cookery and the Preservat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Fried Cookie , Yackwa)

  • 박금미;이주희;염초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97-307
    • /
    • 1992
  • This study has investigated a scientific approach to the manufacture of Yackwa, made by different frying conditions and has assessed texture characteristics through sensory evaluation and instrumental test. A standard Yackwa was made by frying at 150$^{\circ}C$ for 8 minutes and then soaking for 10 minutes in the newly developed syrup whose viscosity and sweetness were similar to expensive honey. The mixing ratio of the developed syrup was corn syrup: sugar: dextrose=32 : 1.5 : 1 (by weight), and me syrup was double-boned in a water bath for 20 minutes and men cooled to 25 C. As m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and instrumental test for Yackwa made by various frying conditions, the lower the frying temperature or me longer the frying time was the higher values of hardness and fracturability, while adhesiveness was the lower in almost all conditions.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Yackwa with the similar outer color, m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 inner color, Crispiness and levels of rising and crack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