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rab%27s shell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2 seconds

수중 중금속의 연속적인 제거에 있어 여러 흡착제의 제거능 비교에 관한 연구

  • 신주남;김동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2.05b
    • /
    • pp.281-288
    • /
    • 2002
  • Crab shell 충진 칼럼을 이용한 수중 중금속의 연속적 제거에 있어서 다른 흡착제 (CER, GAC, Zeolite)와 비교 실험을 통하여 crab shell의 중금속 제거능을 알아보았다. 수중 $Pb^2+/{2+}$ 의 column을 이용한 연속적제거에 있어서 미세침전부분이 외부로 배출됨으로 칼럼 외부에 여과시스템의 도입함으로써 중금속 제거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중금속의 연속적 제거에 있어서 CER의 1,000 BVs까지의 전체 제거량은 0.35mmol/g, GAC는 0.17mmo1/g, zeolite는 0.16 mmol/g으로 나타났고 crab shell에 의한 중금속 제거량은 0.61 mmol/g으로 다른 흡착제보다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다. 수중 중금속의 연속적 제거에 있어서 여러 흡착제의 제거 순서는 crab shell > CER > GAC > zeolite 로 나타났다. Crab shell의 경우는 파과점이 2,000 BVs에서 나타나므로 일반적인 폐수처리의 화학적 처리 후 잔존하는 저농도의 중금속을 제거를 위해 crab shell 충진 칼럼이 유용 할 것으로 판단된다. Crab shell의 재사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crab shell을 이용한 중금속 제거공정에서 연속적인 중금속제거와 탈착과정을 통하여 보았을 때 1회에서 $Pb^2+/{2+}$제거된 량은 0.71 mmol/g 제거되었고 2회에서는 0.27 mmol/g, 3회에서는 0.02 mmol/g으로 급격하게 crab shell의 제거능이 떨어지는 것을 관찰 할 수 있다. 이는 crab shell이 재사용이 불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나 다른 흡착제보다 월등한 제거효율을 보이므로 수중 중금속의 연속적 제거 흡착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tosan from Red Crab Waste-Shell (붉은대게 폐각으로부터 키토산의 제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

  • 김봉섭;박광식;주옥수;서명교;허종화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 /
    • v.27 no.1
    • /
    • pp.36-43
    • /
    • 2001
  • Chitosans were prepared from red crab chitin under various alkali treatment conditions(different alkali concentrations, reaction times and temperatures) and their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nitrogen content and deacetylation degree of red crab chitin were 6.15% and 22.17A%, respectively. By the IR spectra, red crab and reference chitin showed the sharp bands at 1650 $cm^{-1}$ / and 1550 $cm^{-1}$ /, which are characteristic of chitin. The nitrogen contents of prepared chitosans ranged from 6.19~7.48%. Thedeacetylation degree was increased from 63~76% and 48~78% with increasing reaction time and temperature, whereas viscosity was decreased. The nitrogen content and yield of red crab chitosan perpared from chitin with 50% NaOH, 1:25(w/v) for 3.0 hr at 120$cm^{-1}$ / were 7.26% and 85.0%, respectively. and viscosity, deacetylation degree and molecular weight, 67.0 mPa.s, 75.0% and 6.5$\times$10$^{5}$ Dalton, respectively. From the IR spectra, the amide absorption bands of red crab and reference chitosan became very weak, similarly. And at solid state $^{13}$ C-NMR spectra, C=O(carbonyl carbon) signals absent, whereas $CH_3$(methyl carbon) was residues. Chemical shift of $^{13}$ C-NMR spectra of red crab and reference chitosan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slight experimental devi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