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ng shared value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1초

소비가치와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아웃도어 브랜드 중심으로 - (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 and Creating Shared Values on Purchase Intention - Focused on Outdoor Brands -)

  • 이길구;이선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05-115
    • /
    • 2019
  • 본 연구는 아웃도어 브랜드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소비가치의 하위변수는 기능적 가치, 상황적 가치, 감정적 가치로 설정하였고,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의 하위 변수는 경제적 가치, 관계적 가치, 사회적 가치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소비가치의 기능적 가치, 상황적 가치, 감정적 가치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의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 관계적 가치도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라 아웃도어 브랜드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은 모두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웃도어 브랜드 산업에서 소비자의 소비가치나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은 이미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충분히 반영되었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항공사 공유가치창출 행위가 신뢰, 이미지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Airline's Creating Shared Value on Trust, Image and Loyalty)

  • 김광일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11
    • /
    • 2020
  • Despite the importance of Creating Shared Value(CSV), few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it. Filling in this existing void,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provide a clear understanding about what triggers airline customers' decisions according to the airline company's CSV activities. Through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CSV, trust, image, and loyalty. An online survey was used as a method to collect data. Through the CFA, we confirmed the adequate level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s. The structural model was found to include an acceptable fit to the collected data. The findings from the structural analysis revealed that CSV exerted and immense on trust and image. Also, trus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mage and loyalty while the image was highly associated with loyalty. Based on the findings presented above,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are stated.

공유가치창출(CSV)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감축 효과: 유한킴벌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reating Shared Value (CSV) on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Case Study of Yuhan-Kimberly Company)

  • 김태현;박선경;김래현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45-251
    • /
    • 2018
  • Creating Shared Value (CSV) is a new business paradigm in which enterprises benefit from social work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ssess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 through CSV-related activities of Yuhan-Kimberly (YK) Company. YK Company has planted over 50 million trees between 1984 and 2016 as a part of CSV activities. Through planting of trees, annual $CO_2 $ emission reduction ranged from 196.2 thousand to $336.3\;thousand\;tCO_2-eq$ depending on forest type in 2016, representing 44 million to 84 million KRW. Tho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pany can contribute to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s well as obtain economic profits through CSV-related activities.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s motives for other companies interested in similar CSV projects.

가치사슬분석법에 기초한 농업분야 공유가치창출(CSV) ODA 사례분석 - 베트남 씨감자 생산체계 구축사업 - (A Case Study on the ODA for Creating Shared Value (CSV) in Agricultural Sector Based on the Value Chain Analysis - Project for Establishment of Seed-Potato Production System in Vietnam -)

  • 지성태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5권1호
    • /
    • pp.31-44
    • /
    • 2018
  • This is a case study on "the Project for Production Facility and Technical Support of Processed Seed-Potato (2008-2010)" based on the Value Chain Analysis (VCA) used to create and pla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The project is the earliest model of Creating Shared Value (CSV) in the agricultural sector. For the case analysis, a framework was establish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and impact of the CSV project based on the main factors of the VCA. As a result of the assessment, project participation by OSI was able to increase the overall utility by developing the Vietnamese potato processing industry and meeting consumer demand. Furthermore, it formed a business model to promote win-win cooperation and upgraded the value chain of the potato industry. In addition, it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incomes and the quality of life of farmers and communities by providing technical guidance and purchase of contracts, as well as labor division and cooperation with other activity supporters.

공유경제에서 서비스품질이 공유가치창출 및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국공유자전거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haring Bicycle Service Quality on Creating Shared Value and Use Intention in China)

  • 이은지;조철호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523-538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useful suggestions by analyzing causal effect relationship between sharing bicycle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CSV, and continuos use intention in China. Methods: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The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four dimensions such as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creating shared value,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influence of sharing bicycle service quality dimension on customer satisfaction(reliability and response), it was found that customer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 on economic value. but it was significant on social value. It was found that social value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use intention. Conclusion: Sharing bicycle industry needs to activity of response to customer, and paying attention to view of social value for the sharing economy in the future.

기업 경쟁력의 새로운 원천으로서 비즈니스 생태계와 사회적 자본의 역할 (Business Ecosystems as a New Source of Competitiveness and a Role of Social Capital)

  • 주재훈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3권4호
    • /
    • pp.93-117
    • /
    • 2014
  • How can business ecosystems be a source of firm's competitiveness? I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s an investment activity for building sustainable business ecosystem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social value, sustainable business ecosystems, and firm's competitiveness by introducing a mediating role of social capital.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informants from two domestic firms and four oversea firms. Three propositions were drawn by analyzing qualitative data collected from the interviews and literature review. Various activities creating social value including CSR and CSV (Creating Shared Value)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stainable business ecosystems. Firm accumulates social capital of the business ecosystem through creation of social value. Finally, the social capital of business ecosystem has a positive influence on firm's competitiveness.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academics and practitioners.

농식품 분야의 공동창업을 통한 공유가치창출(CSV) 사례연구 (The Case study of Creating Shared Value through Mutual Firm Foundation in Agrifood Industry)

  • 이동민;고기현;박성희;이현;문정훈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2호
    • /
    • pp.1-10
    • /
    • 2013
  • 기존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의 전략적인 발전 형태인 Porter(2011)의 공유가치창출(CSV, Creating Shared Value)은 기업의 핵심역량을 발휘하여 기업적 가치를 창출하는 동시에 사회 내의 다른 이해관계자들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자본주의적 원칙에 더욱 부합하는 형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CSV 개념을 기업 경영에 도입하여 가치를 창출하는 식품기업 사례를 살펴본다. 식품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농촌 농업에 대한 CSV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사회적 가치와 기업적 가치의 접점에서 새로운 조직이 구성되는 '공동창업형' CSV 활동이 발견되었다. 기업이 농업 농촌의 이해관계자들과 협업하여 새로운 조직을 창업하는 양상은 공유가치 창출 방법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기업과 이해관계자의 가치창출을 동시에 추구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발견된다. 본 사례연구는 CSV 기반 창업활동을 제시하여 동반성장, 상생경영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PDF

공유가치창출(Creating Shared Value)에 대한 소비자인식 및 수용과정에 따른 소비자혜택과 참여의도에 관한 연구 (Consumer Benefit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reating Shared Value(CSV) Based on Consumer Perception)

  • 황혜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13
    • /
    • 2018
  • 공유가치창출은 기업의 수익과 경쟁중심적 전략에서 벗어나 기업의 활동이 사회적 가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방향을 전환하는 경영전략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어떠하며 이러한 기업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도는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유가치창출전략의 실천가능성에 대해 소비자들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실천가능성인식, 혜택인지가 소비자의 공유가치창출활동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공유가치창출활동의 실천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기업혜택인지의 수준을 높이고 이것이 다시 소비자혜택으로 이어지는 매개효과가 직접효과에 비해 더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혜택과 소비자혜택에 대한 인지수준이 소비자의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기업측면에서의 실용적인 성과를 높게 인지할 때, 그리고 이러한 기업혜택이 소비자혜택으로 연결된다고 여겨질 때 참여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 of Corporate CSV Activities on Prosocial Consumer Behavior through Emotional Factors

  • Hong, Seong-Sil;Song, In-Am;Kim, Gyu-Bae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48-63
    • /
    • 2017
  • Purpose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not only the effect of a company creating shared value (CSV) influencing consumers' emotions that lead to prosocial consumer behavior but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Companies' authenticity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or social value of CSV and either gratitude or pride of consumer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e 9 hypotheses presenting the relationship among CSV, consumer's emotion and prosocial consumer behavior were proposed and tested in this study.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ing of 350 respondents over 20 years and the 340 samples were used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SPSS 20.0 and AMOS 20.0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reliability test, validity test and path analysis. Results - The results show that the economic or social value of corporate CSV activities affects positively consumer's gratitude or pride excep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value of CSV and consumer's pride. The results also show that gratitude or pride of consumers affects positively consumers' prosocial behavior. We also found that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Companies' authenticity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or social value of CSV and either gratitude or pride of consumers. Conclusions - Company's activities in creating shared value influences consumer emotions and pride, and although these activities induce gratitude, this does not apply to pride. In addition, when these shared value activities influence consumer emotions, the authenticity of the company has shown to have a moderating effect.

베트남 커피변경지역의 글로벌 가치사슬과 공유가치 창출 (Global Value Chains and Creating Shared Value in Vietnamese Coffee Frontier)

  • 이승철;정수열;조영국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99-41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커피변경지역이 글로벌 가치사슬에 통합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가치의 전유 및 실현관계를 고찰하고,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지속가능한 커피 글로벌 가치사슬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최근 베트남의 대표적 커피 변경지역인 닥락성은 일반 커피생산의 착취적 가치사슬에서 인증 커피 생산에 따른 공유가치사슬로의 전환을 경험하였다. 이와 같은 전환은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지역의 교섭력과 경쟁우위를 강화시킴으로써 지속적인 가치 창출을 수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농가, 중개인, 외국 가공업체와 같은 지역 이해관계자간 이윤 분배의 위계성이 더욱 심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나타났다. 첫째, 다국적기업, 중개인, 농가 간 전속관계의 형성은 이해관계자에게 안정적인 시장을 확보해 주었지만, 다국적 기업이 전속 커피 중개인을 통해 농가를 간접적으로 통제함으로써 이해관계자 간 위계가 더욱 심화되었다. 둘째, 공유가치창출의 명목으로 농가로 전가된 사회적 및 생태적 비용이 농가의 경제적 이윤 획득을 악화시킨 반면에 다국적기업으로의 비대칭적이고 위계적인 이윤 분배를 가져왔다. 그 결과, 닥락성에 보다 위계적이고 종속적인 글로벌 가치사슬이 형성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