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wn morphometry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A morphometric study on stainless steel crowns of the primary first molar using a three dimensional scanner

  • Lee, Jihyun;Shin, Teo Jeon;Kim, Young-Jae;Kim, Jung-Wook;Jang, Ki-Taeg;Lee, Sang-Hoon;Kim, Chong-Chul;Hyun, Hong-Keun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6호
    • /
    • pp.414-428
    • /
    • 2016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two types of stainless steel crowns (SSCs) for the first primary molar using a 3D scanner. Study design: Two types of SSCs, KIDS CROWN (KC) and 3M ESPE ND-96 (ND), for the first primary molars were scanned using a 3D scanner. The mesiodistal and buccolingual diameters at the height of the contour and the cervical margin, occlusocervical diameters on the mesial, distal, buccal, and lingual aspects were measured, and the crown shape ratio, the smooth surface crown height ratio, and the cervical convergence were calculated. Results: In the crown shape ratio of the mandibular SSC, KC was larger buccolingually compared with ND. In the smooth surface crown height ratio, ND was larger than KC in all of the maxilla and mesial, distal, and lingual aspects of the mandible. ND was more convergent to the cervical mesiodistally and buccolingually compared with KC. Conclusion: In the superimposed images of the maxillary SSC, the mesiolingual and distolingual line angles of KC were more prominent compared with ND. In the mandible, ND demonstrated higher cusps and more obvious buccal developmental lobes than KC. ND showed a larger cervical undercut than KC.

  • PDF

유치용 수종 기성금속관의 형태에 대한 계측학적 연구 (A MORPHOMETRIC STUDY ON THE PREFORMED STAINLESS STEEL CRORWNS OF SOME BRANDS)

  • 한은옥;이지현;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5-152
    • /
    • 2012
  • 소아치과 임상의는 유구치의 수복 치료에 있어 기성 금속관을 사용할 때, 실제 치아의 크기와 형태가 유사한 기성 금속관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치 치관의 크기와 형태는 인종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며,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성금속관은 외국 아동의 기준에 맞춰 제작된 제품으로 한국 아동의 유구치에 적용 시 실제 치아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국산 제품의 기성금속관이 개발되었으며, 이는 한국 아동 유치의 형태학적 특징을 반영하였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경남 지역 아동 263명의 상, 하 제 1, 2 유구치 각각의 근원심경, 협설경을 측정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아동의 유구치 치관 크기에 대한 계측치를 현재 사용되고 있는 3종의 기성금속관(3M ESPE Stainless Steel Primary Molar Crown, Kids Crown, Sankin Anatom Primary Crown)과 회귀분석을 통해 비교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세가지 기성금속관 모두에서 근원심경에 대한 협설경의 비율이 실제 치아보다 더 컸다. 2. 근원심경에 대한 협설경의 비율에 있어 3M ESPE Stainless Steel Primary Molar Crown과 Kids Crown은 대체로 비슷했으며, Sankin Anatom Primary Crown은 앞의 두 기성금속관과 차이가 났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는 하악 유구치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3. 실제 치아의 근원심경이 평균값과 가까울수록 기성금속관과의 적합도는 더 높으며, 반대로 평균값에서 멀어질수록 적합도는 낮아진다. 4. 실제 치아와 기성금속관 간에 가장 차이가 많이 나는 치아는 하악 제1유구치, 상악 제1유구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