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property record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3초

시·도지정무형문화재 기록화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and Improvement Plan for Documentation of City·Provinc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 백주현;김순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7-97
    • /
    • 2010
  • 문화재는 문화적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선조의 문화 활동의 소산으로 역사상 또는 예술상 가치가 큰 것을 말한다. 이러한 민족의 자산인 문화재는 일단 훼손되면 다시 돌이킬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그 보존과 전승은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무형문화재는 '일정한 형태가 없는 문화재'이기 때문에 그 특성에 맞는 적절한 보존과 활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6개 시 도지정무형문화재 기록화 현황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보존과 전승을 위한 효율적인 기록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록 콘텐츠 개발 모형에 관한 연구 - 건축 문화재 기록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Developing Model of Record Contents: Focused on the Architecture Cultural Property Record)

  • 류한조;김익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21-248
    • /
    • 2009
  • 이 글은 기록을 이용한 재현 콘텐츠를 개발하는 절차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모든 기록은 본질적으로 대상을 재현할 수 있는 속성을 지니므로, 이러한 속성을 활용하여 재현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다. 재현대상을 건축문화재로 선정한다면 건축문화재 가치와 기록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일정한 틀을 적용하여야 한다. 이글은 이러한 과정을 하나의 프로세스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건축 문화재 용어의 법제도적 개념 정의를 위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for the Legal Definition of Cultural Property Terminology related to the Architecture)

  • 주상훈
    • 건축역사연구
    • /
    • 제27권5호
    • /
    • pp.27-3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gal definition and usage of cultural property term related to the architecture within the cultural property-related legal system and general legal system, and to present proper terminology and specific concepts that can be used for the architecture as cultural properties. In the current cultural property legislative system, terms about the architecture are diverse and obscure, and the definition of each term is different from the concept in the general legal system. In this context, this study presented the terminology of 'the architectural heritage' as 'a cultural property by construction act' to cover whole cultural properties related to Korean architecture. And the conceptual scope of the architectural heritage is divided into the technology and the performer related to the act, the record and the building related to the product. and Each concept needs to be specifically tailored to its object and scope. Systematic definition of terms for cultural properties related the architecture can positively influence systematization of cultural property preservation and management as well as empirical research and education on Korean architecture.

사진스캐닝 기술에 의한 매장문화재 기록방법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Recording Method for Buried Cultural Property Using Photo Scanning Technique)

  • 구자봉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835-847
    • /
    • 2015
  • 사진스캐닝 기술은 여러 장의 사진정보를 조합하여 대상물을 3차원으로 재구성하는 기술로 3D 스캐너처럼 포인트 클라우드를 생성하고 폴리곤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데이터로는 매장문화재의 3차원 형상뿐만 아니라 2차원 실측에 필요한 평면과 단면 형상정보를 얻을 수 있다. 야외조사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매장문화재의 기록은 많은 시간이 필요한데 사진스캐닝 기술은 별도의 장비와 인력이 이중으로 투입될 필요가 없이 조사 직후 유구 정리가 가장 양호한 상태에서 바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사진촬영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활용하여 3차원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어 경제적인 부담이 적으면서도, 최적의 상태에서 빠르고 간편하게 3차원의 입체형상 정보를 기록화 할 수 있는 기록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근대 교량 구조물에 사용된 강재의 재료적 특성 (Material Properties of Structural Steel used in Modern Bridge Structures)

  • 이일성;송종목;안재철;김기수;강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41-24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leaving the technical record of cultural heritage as analysis of material property mainly the structure steel used in modern domestic bridge. Result of this study, Structural Steel used in Modern Bridge Structures indicates different figuration and property with the times.

  • PDF

복식유물의 보존을 위한 제안 - 밀창군 조복의 복제를 중심으로 - (Proposition for Conservation of Traditional Costumes - Mainly on the replication of Milchanggun's Jobok -)

  • 채옥자;박지선;박성실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4년도 제20회 발표논문집
    • /
    • pp.75-80
    • /
    • 2004
  • We proposed that the replicas be made as an alternative to achieve such reciprocal goals as the safe preservation of traditional costume relics and socio-educational realizations through exhibitions, etc., A replication was categorized for its purpose into a restoral replication a work based on the historical research of color and shapes as they were originally made and a current state replication . a production based on a minute record of the relics as they are excavated Then, we reported the reproduction process from the excavation to the exhibition on the excavated traditional costumes of Milchanggun's Jobok The purpose of a replication of relics is to record the relics experiencing the change resulted from the inevitable degeneration over time as organic cultural assets together with the substitution exhibition of relics and academic researches and so on. Accordingly, the above two methods are to be preceded by a deep and through research and study on the relics of replication. This study on the relics having an important cultural property value presents the preservation of tile cultural assets of traditional costume through the two replication processes and results and a flew pattern of exhibition.

  • PDF

무형문화재 안동놋다리밟기의 기록화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Documenting the Stepping on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ndong-Notdaribapgi)

  • 김용남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1-20
    • /
    • 2021
  • 본 연구는 경북무형문화재 제7호 '안동놋다리밟기'의 기록화 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안동놋다리밟기' 기록물은 놀이를 중심으로 대부분의 기록물이 생산된다. 이에 장기적으로 접근 및 활용할 수 있게 기록하는 방법을 목적으로 한다. '안동놋다리밟기' 기록화를 위한 시작 단계의 연구이다. 우선 기본 틀의 단계에서 안동놋다리밟기의 기록화의 개념과 특성을 도출하고 기록화의 의미와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안동놋다리밟기의 행위과정 분석을 통하여 기록의 전체 범주를 설정하였고 기록화 대상 분석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는 행위과정을 중심으로 발생기록과 기록의 내용에 대해 정리하였다. 또한, 관련된 기록물을 포함한 내용과 콘텐츠에 중점을 두어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정리하였으며, 행위과정에서 생산할 수 있는 기록을 유형별 특성으로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록 분석은 공연 행위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관리기능은 생산자를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기록물을 관리하는 것은 다양한 목적을 가진 이용자가 무형문화재인 안동놋다리밟기에 접근을 쉽게 하기 위함이며, 특성이 유사한 분야의 기록화 방안에 있어 적용 가능한 방향과 지침을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일제강점기 구마모토(熊本)농장 화호지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waho farm of Kumamot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김동열;이경훈;신기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9-16
    • /
    • 2020
  • This study focused on the Hwaho farm among Japanese farms that were at the center of rural exploit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contents of the study examined who Kumamoto, the owner of the farm, was, how he entered Chosun and Hwaho-ri, and how much land he owned. And what kind of buildings were in the Hwaho far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ow they were arranged, and how the space was organiz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buildings. Hwaho farm,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the farm that managed the most land among Kumamoto's farms. Currently, farmer's housing, Japanese employee housing, warehouses, and medical examination centers remain. In addition to Kumamoto, other Japanese and related buildings remain throughout the town. However, in recent years, a number of houses of enemy property such as Daue House, Sowha Ryokan, and shops are being destroyed without any records or investigations, so this study aims to record academic records of houses of enemy property remaining in Hwaho-ri Village.

근대건축 등록문화재의 보존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rvation Method of Modern Registered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 신웅주;이상선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19-127
    • /
    • 2014
  • This study suggests institution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es for preservation of South Korea's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of modern architecture. The suggested approache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current registration and preservation system for cultural properties, we need to employ both structure-based classification and style-based classification. Registration criteria for modern architecture properties need to include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in terms of their structure: brick structure, steel concrete structure and post lintel structure. In terms of construction style, the properties need to be further classified into the western style, the traditional style and the Korean-western eclectic style. In addition, protec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need to be achieved through legislation of a protection system. Second, while the current system sets out six methods for preserv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of modern architecture, more specific preservation methods types and plans need to be continuously introduced. In particular, as for the method of partial preservation, the method needs to be further classified based on the usage of the relevant structure so as to allow for more diverse options. First, the 'Preservation by Interior Alteration' needs to be added to the category, where the exterior is preserved as it is and the interior is preserved through alteration. Also needs to be added the preservation method where the interior space is preserved as it is and the exterior space is altered, in case the finishing materials of the exterior has deteriorated. Third, if the records on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of modern architecture are to provide the functions of legal evidences regarding management of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sources of knowledge required for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and past management record for the future, each phase needs to be closely connected in an organic manner, and we need to establish a management system and plan that go beyond the relevant organizations. Fourth, in order to preserve South Korea's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of modern architecture in its original state, it is imperative to prepare separate criteria for registration of technicians with expertise on modern architecture, and train experts and technicians on modern architecture,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안동 봉황사 삼세불 제작에 사용된 섬유의 동정 (Identification of Fibers of Samsebul (Triple Buddha Statues) at Bonghwangsa in Andong)

  • 조경실;백영미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97-303
    • /
    • 2012
  • 안동 봉황사의 삼세불(三世佛)은 대웅전 후불탱화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406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들 탱화들은 조선시대 삼세불화 연구의 기준이 되는 작품으로 귀중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탱화가 그려진 바탕직물의 섬유에 대해 현미경 관찰 및 용해법과 감쇠 전반사이용 적외분광분석법, 주사전자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섬유의 재질을 동정하였다. 실험을 위해 보존처리과정 중 수거된 약사불 시료 2점(A, B), 석가불 시료 1점(C), 아미타불 시료 1점(D)을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본 시료들에 대해 기존의 문화재 명칭에는 삼베로 기록되어 있었다. 열화가 심하고 두꺼운 먼지층을 형성하고 있어 육안으로는 감별이 어려웠으나 본 실험을 통하여 약사불 시료1점(A)을 제외하고는 모두 견직물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