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ent induced magnetization switching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Effect of Magnetic Property Modification on Current-Induced Magnetization Switching with Perpendicular Magnetic Layers and Polarization-Enhancement Layers

  • Kim, Woo-Jin;Lee, Kyung-Jin;Lee, Taek-Dong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4권3호
    • /
    • pp.104-107
    • /
    • 2009
  • The effects of the magnetic property variation on current-induced magnetization switching in magnetic tunnel junction with perpendicular magnetic anistoropy (PMA) and the soft magnetic polarization-enhancement layers (PELs) inserted between the layers with PMA and the MgO layer was studied. A micromatnetic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switching time of the free layer by different applied current densities, with changing saturation magnetization ($M_s$) of the PELs, interlayer exchange coupling between PMA layers and PELs. The switching time could be significantly reduced at low current densities, by increasing $M_s$ of PELs and decreasing interlayer exchange coupling.

짧은 전류 펄스를 이용한 전류 유도 자화 반전에서 에너지 장벽 분포의 효과 (Effect of Energy Barrier Distribution on Current-Induced Magnetization Switching with Short Current Pulses)

  • 김우영;이경진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8-5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짧은 전류 펄스를 이용한 미소자기 소자에서의 전류 유도 자화 반전에 대한 매크로 스핀 시뮬레이션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화 반전 전류 분포에 있어서 에너지 장벽이 미치는 효과에 특별히 주목하였다. 자화 반전 전류의 크기 및 분포는 전류 펄스 폭의 감소에 따라 증가했다. 여기서 긴 전류 펄스 폭 영역에서는 에너지 장벽과 자화 반전 전류 분포 사이의 관계가 아레니우스-닐 법칙에 의해 서술된다. 하지만 짧은 전류 펄스 폭의 영역에서는 이 관계가 풀리지 않은 채로 남아있다. 이는 짧은 전류 펄스로 인한 자화 반전이 열적 활성화에 의해서가 아닌 세차 운동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이며, 이를 해결하는 데에 있어서 어려움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포커-플랑크 방정식을 풀어서 짧은 전류 펄스 영역에서의 자화 반전에 대한 정확한 공식을 얻어내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짧은 전류 펄스 영역에서의 자화 반전 양상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스핀전달토크형 자기저항메모리(STT-MRAM) 기술개발 동향 (Technology Trend of Spin-Transfer-Torque Magneto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STT-MRAM))

  • 김도균;조지웅;노수정;김영근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2-27
    • /
    • 2009
  • 자기터널접합 기반의 MRAM(Magneto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의 상용화를 위해서 가장 중요한 이슈는 쓰기 과정(writing operation)에서의 자화반전에 필요한 자화반전전류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나노자기소자 기술의 중요한 분야인 MRAM의 기술발전방향과 특히 스핀전달토크(Spin Transfer Torque, STT)를 이용한 자화반전전류의 저감기술 개발동향을 재료기술, 구조기술 등으로 살펴보았다.

Non-Equilibrium Green Function Method in Spin Transfer Torque

  • You, Chun-Yeol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2권2호
    • /
    • pp.72-76
    • /
    • 2007
  • We investigate the spin transfer torque in metallic multilayer system by employing Keldysh non-equilibrium Green function method. We study the dependences of the spin transfer torque on the detailed energy configuration of ferromagnetic, spacer, and lead layers. With Keldysh non-equilibrium Green function method applied to a single band model, we explore spin transfer torque effect in various layer structures and for various material parame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