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revision in 2012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초

제6차, 제7차,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STS 관련 내용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TS Contents o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in 6th, 7th and Revision 2007 National Curriculum)

  • 이혜림;최현동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2-5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S content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6th, 7th and revision 2007 national curriculum. The contents of STS were analyzed by the STS elements of Yager and the STS topics of Piel's standard.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es are as follows: (1) The STS contents in the science textbooks of the 6th curriculum took up 13.7% and increased to 18.3% in the 7th and 19.0% in the revision 2007, which showed that the textbooks followed the goal of the national curriculum faithfully. (2) Based on the STS elements by Yager's standard, most of STS content is focused on 'Application of science', 'Social problems and issues' and 'Local and community relevance'. (3) Based on the STS topics by Piel's standard, most of STS contents are focused on 'Effect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Society of scie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cent STS education trends are reflected on the 6th, 7th and revision 2007 textbooks well. However, it is suggested that some improvement is needed, such as diversification of topic.

한국의 수학교육 평가 유형에 관한 연구동향

  • 김영옥;정성희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8권4호
    • /
    • pp.487-504
    • /
    • 2012
  •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evaluation in the analysis of the articles on , . The study explores the future direc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assessment research by investigating whether such evaluation was suitable for the expectation about the assessment required in the current mathematics curriculum.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evaluation-related researches based on Korea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from 1991-2010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evaluation in each season in Korea, analyze the articles by 'monitoring of student's progress', 'judgement on instruction', 'giving the value on mathematics achievement of students', 'value judgement of the program' that were the purpose of evaluation presented in 1995 NCTM(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As a result, looking at the research trend classified by the time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had the most number of the papers announced from 1997-2006. Despite 2007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was the short period from announced 2007-2008 before the next educational curriculum was placed, 11 papers(34.4%) were published. According to the category by the purpose of the assessment prescribed in NCTM, it showed that researches of 'monitoring of student's progress(46.9%)' were the most, those of 'value judgement of the program' and 'giving the value on mathematics achievement of students had a similar percentage.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기하 성취기준에 대한 논의 (Achievement Standards of Geometry According to the 2011 Revision of the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 이환철;김선희;고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4호
    • /
    • pp.603-617
    • /
    • 2012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은 수학 교과 내용 양의 20% 경감과, 수학적 과정을 통한 수학적 창의성 강조, 교육과정 운영의 유연성 확보를 위한 학년군제 반영을 배경으로 하여 개정되었다. 그러나 2007 개정 교육과정과는 다르게 교육과정 해설서가 발행되지 않아 해석을 하는 데 모호함이 발생하거나 어려움을 겪는 부분이 생겨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기하영역을 학교현장에서 이해하는 데 보다 도움이 되고자,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의도, 내용, 반영 방법 등을 논의하였다.

  • PDF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의 운영 실태와 교사들의 인식 조사 (A Survey on the Management Status and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Science in High School Based on 2009 Curriculum Revision)

  • 신영옥;최병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1599-1612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고등학교에 도입된 소위 융합형 과학의 운영 실태와 1년간 융합형 과학을 수업한 교사들의 과학 내용 및 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수업을 운영하는 방식은 1명의 교사가 모든 단원을 수업하는 것 보다 2명 이상의 교사가 전공별로 나누어 수업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융합형 과학의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융합형 과학 교과서가 교육과정 내용을 잘 반영하였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나, 첨단과학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 용어나 개념의 수준이 높아 자신의 전공과 다른 영역의 내용을 가르치는 것이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교사들은 융합형 과학을 지도할 때 과학적 소양 함양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나 평가는 개념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어, 종전의 평가관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중학생의 함수 개념화 특성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ion of function)

  • 변희현;주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3호
    • /
    • pp.353-370
    • /
    • 2012
  • 중학교의 함수 개념 도입과 관련하여 7차 교육과정의 개정 시 종속적인 변화관계에 기반하여 도입하도록 큰 변화를 시도하였고 이러한 방향은 현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유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육과정의 변화가 학생들의 함수개념 이해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그리고 실제 교수 학습 장면에서 함수가 어떻게 지도되고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경우 과제기반 심층 면담을 통해 함수 개념화의 특성을 살펴보았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학생들의 지도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수업에서 함수를 도입하는 방식에 대해 질문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종속적 변화관계에 기반하여 함수를 인식하는 정도가 매우 미약하며 교사들 또한 종속적 변화관계에 기반하여 함수를 지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학교수학에서 함수 지도와 관련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 PDF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변화에 따른 수학과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육과정의 적용 방안 (An effective management on the new math curriculum according to 'General Guidelines of Curriculum Revised in 2009')

  • 최승현;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4호
    • /
    • pp.531-552
    • /
    • 2012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은 초 중학교의 경우 2013년부터이며 연차적으로 확대 적용될 전망이다. 새 교육과정의 적용이 시작되는 현 시점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이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적용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검토를 통해 수학과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데 발생하는 어려움, 즉 쟁점을 신중히 탐색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수학과 교육과정 적용 시, 쟁점이 되는 항목은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이는 학년군, 수준별 수업, 기준 수업시수의 20% 이내 증감 운영으로 구체화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 세 가지의 쟁점 사항을 중심으로 수학과 교육과정을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PDF

국가수준 보육과정 현황과 발전방안 (A Study on Present Situation and Development of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 이영환;서현아;윤정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09-342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국가수준 보육과정의 발전과정과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보육목표와 내용 분석을 통하여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의의를 살펴보고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제언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는 국가수준 보육과정으로서, 표준보육과정이 2007년 제정, 공포되어 그동안 보육의 질 향상에 긍정적 역할을 해 왔으며, 2011년 5세 누리과정, 2012년 제2차 표준보육과정 개정, 3-4세 누리과정 제정 및 5세 누리과정 개정, 2013년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개정에 이르기 까지 짧은 기간 동안 많은 변화가 있었다.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은 어린이집을 다니는 영유아가 0-1세 보육과정, 2세 보육과정, 3-5세 보육과정(누리과정)의 연계적인 보육과정으로서 구성함으로써 0~5세 영유아를 보육하는 어린이집의 특성을 반영하였다. 2013년 현재까지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2007년 표준보육과정 보급 이전의 연구는 대부분 표준보육과정의 필요성과 그 내용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표준보육과정 보급 이후 보육현장에서 표준보육과정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으며 어느 정도 적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 표준보육과정의 활용도를 높이고 발전시키기 위한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3-5세 보육과정(누리과정)의 연령별 구성에 대한 연구와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과 초등교육과정의 실천적 연계를 위한 노력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민주주의 실현으로서 핀란드 교육과정개편이 주는 교훈: 누리과정 개편을 위한 논의 (Finnish National Curriculum Reform as the Realization of Democracy: Lessons for Nuri Curriculum Reform)

  • 윤은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73-393
    • /
    • 2015
  • 본 연구는 향후 있을 누리과정 개편에 앞서 자칫 재현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선례분석으로서 1960년 대 이후 핀란드 교육과정개편의 역사와 절차를 살펴보고 거기에서 교훈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핀란드 국가교육위원회(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가 제공한 자료를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의 역사를 고찰하기에 앞서 심층적 이해를 돕기 위해 핀란드 교육체제 개혁의 역사를 10년 주기로 살펴보았다. 이어서 1968년 이후 진행된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의 흐름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2012년부터 시작된 "2012-2016/7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을 기간, 참여대상, 절차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은 오랜 숙고기간, 아래에서 위로의, 모든 과정이 공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은 다름 아닌 민주주의 실현의 장으로서 전 국민이 참여하는 국가적 이벤트로서 오랫동안 자리매김을 해오고 있었다. 이 글은 정책적 특성만이 아니라 교육적 특성이 균형감 있게 공존할 수 있는 누리과정의 개편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융합형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천문 분야 용어 분석 (An Analysis of the Astronomy Terms in Convergence Science Textbooks)

  • 이효녕;강용희;송미진;조현준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48-15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rms of astronomy area used in six convergence science textbooks by 2009 curriculum revi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the first, the contents about astronomy occupied about 18.6% account of science contents. There were the terms which all textbooks used, but some terms were not used other text book, and the others were used in only one textbook. And the second, there were some terms of having certain concept which had described differently. It was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the effort to prevent to descript same meaning terms differently and to make guideline for the depth and width of the terms.

제7차와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 '식물의 영양' 관련 단원의 탐구활동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on the Unit related 'Nutrition of Plants'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by the 7th and 2007 Revision Curriculum)

  • 오영린;정은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1호
    • /
    • pp.35-48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1 교과서 '식물의 영양' 단원의 탐구활동과 이와 관련되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2 교과서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의 탐구활동을 탐구 내용 영역, 탐구 과정 영역, 탐구 상황 영역의 3차원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식물의 영양' 단원의 평균 탐구활동의 수는 9.2개로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의 경우보다 3.8개 줄었다. 그리고 두 단원에서 공통적으로 다루는 주제도 있는 반면,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내용의 변화를 반영하여 중점을 두는 탐구활동 주제가 달라진 경우도 있었다. 두 단원 모두 기초 탐구 과정에서는 '관찰', 통합 탐구 과정에서는 '자료해석'의 비율이 높았고, '실험관찰'에 해당되는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순수과학적 상황'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식물의 영양' 단원에서는 기초 탐구 요소보다 통합 탐구 요소를 더 많이 다루고 있고, '해보기'에 해당하는 탐구활동 수가 증가하고 '모의활동'이 제시된 점이 특징적이며, '개인적 상황'의 비율이 늘었고 '기술적 상황'과 '자연환경적 상황'이 제시된 탐구활동도 나타났다. 중학교 과학 교과서 개발 시 탐구활동이 보다 다양해지도록 탐구활동의 내용, 탐구 과정, 유형, 상황 등의 측면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