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stomized health management service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3초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의 접근전략과 발전방향 (Strategies to approach the customized health management service to prevent chronic diseases)

  • 김영복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89-100
    • /
    • 2016
  • Objectives: Life style modification leads to decrease health risk and change of health status for person at health risk. This study aimed to suggest essential components and effective strategies for customized health management service to provide individual and risk group in public and private health care organizations. Methods: To systematic review the essential component of health management service, I performed to collect political legislation, research papers, reports, publication and public release for heath management service from 2008 to 2016. Essential components of heath management service were service scope, service design, organizations and applied technology. Results: Service cope was composed of health risk factors, such as smoking, drinking, nutrition, physical activity and weight control. Main strategies were customized health management services, personalized behavior modification programs, evidence-based service protocol,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multi-dimension and multi-level approach, and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partnership through health policies and health care system. Conclusions: To make the most of the limited resources, it should require a systematic approach that focuses on continuous monitoring and partnership of health management service.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대상 노인의 우울 및 삶의 질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s)

  • 권윤희;김정남;곽오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62-271
    • /
    • 2011
  •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s. Methods: A total of 442 people participa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June to September in 2010 and the measurement tool used for this study was the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recording sheet recommended by the Ministry of Health.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17.0. Results: Depression was correlated negatively with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elderly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s were quality of life,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period, and IADL.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elderly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s were depression, joint exercise capacity, age, connection to volunteerism, IADL and ADL.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leveraged as complementary information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subjects. Moreover, the results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future studies.

취약계층 재가노인의 기능적 건강상태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 및 삶의 질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Functional Health Status, Satisfaction of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and Quality of Life in Vulnerable Elderly)

  • 박영숙;이화연;권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071-5078
    • /
    • 2011
  • 본 연구는 취약계층 재가노인의 기능적 건강상태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 및 삶의 질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수집은 D시 B구 1개 지역보건소 방문보건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65세 이상 노인 399명을 대상으로 보건보직부에서 권고하여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서비스 기록지에 사용하고 있는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2010년 6월부터 9월까지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기능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서비스 만족도와 삶의 질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기능적 건강상태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사업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자원봉사 연계 유무에 따른 방문보건 노인대상자의 건강상태, 삶의 질 및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서비스 만족도 (Elders' Health Status,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with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Depending on Connection to Volunteerism)

  • 박지은;김정남;권윤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48-457
    • /
    • 2010
  •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elders' health status,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with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depending on connection to volunteerism. Methods: A total of 400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August of 2009 and the measurement tool used for this study was the house visiting health service recording sheet recommended by the Ministry of Health.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on elders' health status in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depending on connection to volunteerism, elders' connected to volunteerism positively showed a high level in functional health status areas such as daily life performance ability, instrumental daily life performance ability and Joint exercise capacity, and in the quality of life area.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complementary information when resources and networks are used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house visiting health service subjects.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수행도 분석 (An analysis on performance of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visiting nurse in public health center)

  • 박정숙;오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381-393
    • /
    • 2014
  • 본 연구는 방문간호사의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수행도와 방문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수행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대구시와 경상북도의 방문간호사 총 204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연구기간은 2011년 7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이었다.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수행업무 중 당뇨병 환자관리와 고혈압 환자관리를 가장 많이 수행하였고, 반면에 임산부 관리와 영유아 건강관리 업무에 대한 수행 빈도가 가장 낮았다. 방문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 중에서 연령, 기혼, 교육수준, 종교, 보건소 근무경력, 방문간호 업무경력, 근무지역에 따라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수행도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의 안정적인 정착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방문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업무 배정과 고용 보장 등을 포함한 방문간호사의 관리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생활환경 기반 u-건강관리서비스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u-Health Care Services in the Life Environment)

  • 홍인화;김주영;최호천;김찬규;정광모;김남일;강정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07-118
    • /
    • 2011
  • 논문은 U-Health Service 기술분야로 기존의 사업자 중심의 U-Health Service와 달리 이용자(시민)와 서비스 제공자(의료서비스) 관점에서 건강관리 서비스를 기획하고, IT기술을 활용하여 개발 구축한 서비스이며, 성남시 지원의 산학연과제로서, 성남시 탄천변에 구축 운영중인 건강관리 서비스 모델에 대한 실증 논문이다. 본 건강관리 서비스는 이용자 관점에서 서비스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4가지 주요원칙(최대한 단순하게, 최대한 가볍게, 맞춤형을 지향, 재미있는 피드백)하에 구현하였으며, 건강 관리서비스의 핵심 알고리즘은 평가/처방/모니터링/피드백의 4가지 단계로 구성되어있고. 시스템 구성은 평가 부분은 성남시 탄천변의 금곡공원에 건강지킴이 부스를 설치하여 RFID와 체성분계, 혈압계를 연동한 건강측정 및 평가를 제공하고, 건강관리서비스 처방엔진을 통해 개인 맞춤형 건강행동 처방(운동처방 및 건강신호등 처방)이 제공되며, 처방된 운동 처방은 탄천변의 기 구축된 운동시설(근력, 유산소)을 통해 이용자 스스로가 맞춤형 운동을 시행하고, 모니터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피드백 서비스가 제공된다. 본 건강관리 서비스는 2010년1월 ~ 12월(개발), 2011년 1월~2월(시범서비스 및 시스템 안정화), 2011년 2월 ~ 3월(분당 서울대병원 중심의 50명의 임상군을 대상으로 한 2개월간의 임상시험), 2011년 3월부터 현재 까지 600여명의 시민을 대상으로 시민 자율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생활환경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의 만족도는 높은 편이며, 몇 가지 이용자 측면에서의 이용 편이성을 높이고, 지자체/의료기관/방송사업자가 연계된 사업모델이 발굴된다면 향후 유비쿼터스 건강관리 서비스 분야에서 성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령자의 요구도 분석을 반영한 고령자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모델 (Reflecting the needs analysis of the elderly Elderly personalized health care service model)

  • 정은영;김재승;박동균
    •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27-140
    • /
    • 2018
  • 건강관리 서비스를 통한 고령자의 건강증진 효과에 관련한 연구는 그 동안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정작 건강관리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고령자들의 니즈를 파악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시, 농촌간의 지역별 특징과 수요를 분석을 통해 고령자 건강관리 서비스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도심지역과 농촌지역별 고령자의 건강관련 프로그램 이용현황 및 건강관리방법과 건강관리 서비스 형태 및 콘텐츠에 대한 지역별 수요 분석을 통하여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모델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노인 대상 맞춤형 운동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및 사용성 평가 (Development of Customized Exercise Service Program for Elderly and Evaluation of Usability)

  • 송요한;박일현;곽선영;이현민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51-160
    • /
    • 2022
  • PURPOSE: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a kiosk-based healthcare service that provides a fitness evaluation and customized exercise program for elderly or chronic musculoskeletal system patients. METHOD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customized exercise service program, healthy adults (n=20) from Welfare B, located in Gwangju, were selected and studied. Subjective safety, operability, and satisfaction of individual users were obtained as data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subjects who experienced this program and having them fill out the questionnaire. For descriptive statistics related to the survey,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and ratio of the variable values of the measurement items. RESULTS: As a result of the usability evaluation, the average score was 4.166, and the average score of each item was 4.025 for safety, 4.272 for operability, and 4.143 for satisfaction. Most users obtained high satisfaction and positive impressions. CONCLUSION: The HARUFIT service, a user-customized exercise program used in this study, can be developed into a device that can improve self-management ability and increase understanding of health care by providing customized exercise based on the results of physical fitness evaluation. It is possible to diversify health management methods and maximize the effect of exercise by making exercise a habit of chronic musculoskeletal disease patients or the elderly using these smart devices.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탐색 (Network Analysis to Describe Service Link for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Program)

  • 장숙랑;조성일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1
    • /
    • 2012
  • Objectives: The nurse visiting health service named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Program(CVHCP) requires the service innovations incorporating community support into a local service net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ommunity network in CVHCP and inform improvement in this network. Methods: We used Social Network Analysis(SNA) in one CVHCP at H city. Network links were genera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by the 14 community resource centers who quantified their links to all other 25 agents on the list. Links were analyzed by a dichotomous scale for any experience of collaboration and a scored scale of 0 to 3 for level of collaboration using UCINET v6. Results: A list of 14 agents was generated, and local network was dominated by the Public Health Center and a local welfare center named Unlimited Care Center(UCC). According to centrality score, UCC was the most prominent agent, and Public Health Center was the most influential agent, being a link in the pathway flow between other agents for 9.5% of contribution. CVHCP scored lower rank of prominent with 30.8% of other agents reported referring to it. Conclusions: Social network analysis provides a useful network description for informing and evaluation service network improvement in maximizing its service for the CVHCP.

PHR 기반 개인 맞춤형 건강정보 탐사 알고리즘 설계 (Design of knowledge search algorithm for PHR based personalized health information system)

  • 신문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191-198
    • /
    • 2017
  • PHR(Personal Health Record)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플랫폼 지능화를 위해서는 사용자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서비스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 맞춤형 건강정보 추천을 위해서 온톨로지 기반 건강 정보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기계학습과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적용한 유사 건강정보 탐사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기존의 데이터마이닝 기법중 연관규칙 알고리즘을 확장하여 속성을 기반으로 연관규칙 탐사를 수행하여 지식탐사의 연관성을 높이고 효율적인 탐사시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머신러닝의 한 기법인 K근접이웃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용자 프로파일별 그룹화를 수행하고 유사패턴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사용자의 질환과 건강상태에 따른 맞춤형 건강정보 탐사 수행의 효율성을 높인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플랫폼에서 추론과정에 적용되어 사용자에게 개인맞춤형건강정보를 추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고령화사회에서 스마트한 자가 건강관리에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