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ing violence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4초

여대생의 데이트 폭력 인식이 데이트 폭력 피해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폭력허용도의 매개 효과 (The Influenc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on Dating Violence Victim Behavior: Mediating effect of Violence Tolerance)

  • 김래은;구상미;송민서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1호
    • /
    • pp.1-1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의 데이트 폭력 인식이 데이트 폭력 피해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폭력허용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U대학교 4개 학과에 재학 중인 여대생 16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배포 및 수집하였다. 통계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계층적 다중회귀분석, Sobel 검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여대생의 데이트 폭력에 대한 인식이 데이트 폭력 피해자 행동 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5%였다. 둘째, 폭력 허용도는 모든 데이트 폭력 피해자의 행동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12%로 나타났다. 셋째, Sobel 검증 결과 첫 번째 단계에서 여대생 데이트 폭력에 대한 인식은 폭력에 대한 허용도를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데이트폭력 인식이 데이트 폭력 피해자의 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폭력을 허용하는 것으로 데이트폭력 피해자의 행동을 설명하였고, 네 번째 단계에서는 폭력에 대한 허용을 도입하였을 때 데이트 폭력 인식이 데이트 폭력의 피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감소하였지만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즉, 폭력허용도는 데이트 폭력 인식이 데이트 폭력 피해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향후 데이트 폭력의 피해자 예방을 위해 폭력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폭력에 대한 허용을 낮출 수 있는 실용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대학생의 데이트 성폭력 가해 예측요인 (Prediction factors for dating sexual violence of College Students)

  • 이미호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5-47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conducted to grasp the Prediction factors of the sexual violence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Methods: A convenience sampling was performed for 500 students from one college located in Gyeongsangbuk-do, who agree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5, 2015, to October 23, 2015, by filling out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Among the 450 subjects excluding those with missing values, a questionnaire of dating violence experience was applied to 317 college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had a friend of the opposite sex, and variables and prediction factors related to dating violence experiences were identifie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were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ence of sexual behavior before entering college (𝑥2=6.52, p=.011),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damage before entering college(p=.045), the experience of sexual assault before entering college (p=.007) and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damage(p=.002) were variables related to the sexual violence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R=4.831, p=.007) and controlling dating partners (OR=1.349, p<.001) were predictors of dating sexual violence. Dating sexual violence experience group were compared to dating sexual violence non-experience group, the relative degree of controlling dating partners was high (t=4.25, p<.001) and had a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t=2.94, p=.004).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r=.358, p<.001) between controlling dating partners and gender role attitude. Conclusions: In order to prevent sexual violence on dating among college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more effective health education results will emerge if the contents of the school-age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the control of dating partners, which are predicted factors of sexual violence on dating, are included in the sexua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허용도 및 폭력 인식 관련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College Students' Tolerance and Recognition of Dating Violence)

  • 이현정;윤미선;김영은;이수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15-12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허용도 및 데이트 폭력 인식 정도를 살펴보고 관련 요인들을 대상자의 일반적, 이성교제 및 성 관련 교육 경험 특성을 중심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충남 에 소재한 B 대학교 남녀 대학생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지 365부를 SPSS WIN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의 데이트 폭력 허용도는 매우 낮았고, 폭력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이성교제 및 성 관련 교육 경험 특성에 따른 데이트 폭력 허용도와 폭력 인식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데이트 폭력 허용도와 데이트 폭력 인식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 데이트 폭력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데이트 폭력 허용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추후 연구의 방향성과 데이트 폭력 예방을 비롯한 실천적 개입에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가정폭력 경험이 데이팅 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 Violence on Perpetration of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 정혜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73-91
    • /
    • 2003
  • This research tested the path model which examin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family violence experience on perpetration of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Two family violence variables such as witnessing parents' marital violence and being abused by parent were the exogeneous variables in the path model, while the mediated variables were consisted of (1) the social-learning-theory-derived variables such as acceptance of violence, positive outcome expectations of using violence, and aggressive conflict-coping behavior, and (2) control-theory-derived variables such as attachment, belief, and commitment. Data were from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completed by 332 male and 469 female students selected by stratified quota sampling method. The path analysis was done for males and females separately, since female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degree of dating violence than males.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showed that first, for both males and females, being abused by parents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dating violence, while witnessing parents' marital violence did not have effect on dating violence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Second, for male students, acceptance of violence and conflict coping behavior found to be the mediated variables in the effect of being abused by parents on dating violence. Third, for females, a control-theory-derived variable of belief as well as all three social learning theory-derived variables mediated the influence of being abused by parents on dating violence.

데이트 폭력의 공격적 피해여성들의 특성과 연인관계에 대한 개입 (Characteristics of Aggressive Victims of Dating Violence and their Commitments in Dating Relationships)

  • 서경현 ;안귀여루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3권2호
    • /
    • pp.77-96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트 폭력 피해여성, 특히 공격적 피해여성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이 연인관계를 형성하고 그것에 개입하는 방식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데이트 경험이 있는 526명의 여대생들이었고, 그들의 연령 분포는 18세에서 37세(M=20.10, SD=2.70)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Straus의 갈등책략척도, Foo와 Margolin의 데이트 폭력 정당화 척도, 정진경의 한국판 성역할 검사, 이경성과 한덕웅의 상호이해, 관계만족 및 관계개입 척도이다. 분석 결과, 순수 피해자보다 공격적 피해자가 심하게 구타당하는 경우도 많지만 약한 정도의 신체적 가해를 당하는 비율도 상당히 높았다. 반면에 공격적 피해자보다 순수 피해자가 성폭력을 당하는 비율이 높았다. 공격적 피해자가 데이트 폭력 미경험자보다 아버지의 가정폭력을 목격한 경험이 많았다. 데이트 폭력 피해 여성이 데이트 폭력 미경험 여성보다 데이트 폭력에 관해 관대한 태도를 보였다. 그리고 데이트 폭력의 피해여성이 미경험 여성보다 관계에 더 개입되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데이트 폭력 피해를 예방하고 피해자의 추후 위험 요인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중학생을 위한 웹 활용 데이트폭력 예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 Evaluation of Web-Based Dating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 정하윤;민혜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27-639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dating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 The development of a web-based dating violence prevention program proceeded through the stage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 and evaluation in addition to designing a randomized control group pre-post trial to test its effects.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nalyzed using dating violence awareness, sex role, anger and aggression.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9.0. Result: We posted the results on our website (http://www.stopviolence.co.kr) to complete our web-based dating violence prevention program. The program was conducted as group education on a small scale for 90 minutes per session during 8 sessions in total. The Web-based dating violence pre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dating violence, changing sex role attitudes positively, and decreasing anger and aggression in trouble situations. Conclusion: We strongly recommend using this web-based dating violence prevention program to prevent dating violence.

대학생들의 데이팅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I) - 가해자를 중심으로 - (Variables that Affect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I) - Focused on inflictor-)

  • 김예정;김득성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27-4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dating violence and to determine what variables served as predicting indicators among unmarried cortege student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ose who inflicted psychological aggression of the sample were 69%, physical violence 40%, and sexual violence 23%. As the sample indicates,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is a distribingly common phenomenon. 2. Both sexes reciprocally inflicted psychological aggression and physical violence. But males were more likely to inflict sexual violence and injury to their parkers. 3. Significant predictors of dating violence for both males and females were conflicts in the dating relationship, and a need to control one's partner. Despite the overlap of predictors for males and females, enough differences were found to warrant gender-specific models of dating violence. For males, violence experienced during childhood from their father was an important factor, while for females, school violence was an important factor.

  • PDF

이성교제중 발생한 폭력 (A Study on the Violence in Dating Relationships)

  • 이영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9-6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features of dating violence and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why dating violence occurred and the influence of violence on their relatioships. This study reli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order to approach their subjective experienc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Respondents had been involved in various forms of violence, including insulting, hitting, slapping in the face, and kicking. Dating violence occurred primarily on weekends and in private and public settings such as the residence of one of the partners and restaurant. It was likely to occur repeatedly and in serious relationships. There were sex differences in prevalence of dating violence. Male partner was likely to be a initiator and do severe acts. 2) The majority of respondents had a tendency to label themselves as victims rather than as initiators of violence. Jealousy was perceived as the primary causal factor leading to dating violence. 3) Both offenders and victims reported emotional trauma like anger and shame. Their relationships has worsened because of physical violence, but didn't terminate.

  • PDF

간호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가해경험과 폭력허용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융합적 관계 (The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Dating Violence Experience, Violence Tolerance,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정계현;강미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3-4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가해경험, 폭력 허용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충청권 소재 5개 대학교에서 편의 표집된 간호학과 대학생 219명에게 자가보고 형식의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chi}^2$ test,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간호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가해경험이 높을수록 데이트 폭력 허용도가 높고(r=0.31, p<.001), 데이트 폭력 허용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부정적임(r=-0.26, p<.001)을 알 수 있었고, 학과 만족도와 음주 정도가 데이트 폭력 가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데이트 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데이트 폭력 허용도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한 데이트 폭력 예방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합리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

청소년들의 데이트 폭력 가해 행동에 대한 사회학습적 변인들과 분노의 역할 (The Role of Anger and Variables from Social Learning Theory in Inflicting Dating Violence among Adolescents)

  • 서경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8권2호
    • /
    • pp.1-15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데이트 폭력과 관련변인들의 성차를 알아보고, 데이트 폭력 행사 경험이 있는 집단과 데이트 폭력 행사 경험이 없는 집단간의 특성분노와 분노표현의 차이를 분석해 보았다. 아울러, 로지스틱(logistic) 회귀분석을 통하여 데이트 폭력을 예언변인들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남자 청소년들(29.1%)보다 여자 청소년들(41.9%)이 데이트 폭력을 행사해 본 경험이 더 많다고 보고했다. 여학생들이 데이트 폭력에 대해 남학생들보다 더 호의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교에서의 폭력경험은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트 폭력 행사 경험이 없는 청소년들보다 데이트 폭력을 행사해 본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의 특성분노와 분노표출 수준이 더 높았다. 남학생들의 데이트 폭력을 예언하는 변인들로는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행하는 폭력, 폭력환경에 대한 노출, 특성분노 및 데이트 폭력 피해인 것으로 나타났고, 여학생들의 경우에는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행하는 폭력, 폭력환경에 대한 노출, 학교에서의 폭력 행사 경험, 데이트 폭력 피해가 데이트 폭력의 예언변인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