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lirium mental disorder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6초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활용한 정신장애 질병 섬망의 주요 위험인자와 오즈비 (Odds ratio of major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elirium by Bayesian network)

  • 이제영;최영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2권2호
    • /
    • pp.217-225
    • /
    • 2011
  • 정신장애 질병과 관련된 위험인자를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또한 질병과 관련된 위험인자들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위험비는 의학에서 주된 관심이 된다. 따라서 우리는 정신장애 질병과 위험인자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해 오즈비를 활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정신장애질병인 섬망자료에 적용하여 선별된 주요 위험인자들의 오즈비를 찾았다. 특히 선별된 주요 위험인자들이 단일로 존재할 때의 오즈비와 위험인자가 복합적으로 존재할 때의 오즈비를 통하여 섬망에 가장 위험한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규명하였다.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활용한 정신장애 질병 섬망(delirium)의 주요 요인 네트워크 규명 (Network Identification of Major Risk Factor Associated with Delirium by Bayesian Network)

  • 이제영;최영진
    • 응용통계연구
    • /
    • 제24권2호
    • /
    • pp.323-333
    • /
    • 2011
  • 정신장애 질병과 관련된 인자를 찾기 위해 쉽고 간단하게 위험인자를 얻을 수 있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주로 이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마이닝 기업인 로지스틱 회귀모형과 신경망, C5.0, Cart,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지저질환과 밀접하게 연관된 가역적 기질성 정신장애인 섬망(delirium) 자료에 적용하여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법을 최적의 모형으로 선택하였다. 또한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법을 활용하여 정신장애 질병인 섬망과 관련된 주요 위험인자 간 네트워크를 규명하였다.

A study on interaction effect among risk factors of delirium using multifactor dimensionality reduction method

  • Lee, Jong-Hyeong;Lee, Yong-Won;Lee, Yoon-Seok;Lee, Jea-You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2권6호
    • /
    • pp.1257-1264
    • /
    • 2011
  • Delirium is a neuropsychiatric disorder accompanying symptoms of hallucination, drowsiness, and tremors. It has high occurrence rates among elders, heart disease patients, and burn patients. It is a medical emergency associated with increased morbidity and mortality rates. That s why early detection and prevention of delirium ar significantly important. And This mental illness like delirium occurred by complex interaction between risk factors. In this paper, we identify risk factors and interactions between these factors for delirium using multi-factor dimensionality reduction (MDR) method.

베이지안 네트워크와 방사형 그래프를 이용한 섬망의 효과 규명 (The effect investigation of the delirium by Bayesian network and radial graph)

  • 이제영;배재영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2권5호
    • /
    • pp.911-919
    • /
    • 2011
  • 최근 의학에서는 정신 질환과 관련된 위험 인자를 찾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인자들을 찾아서 인자들의 특성과 관련성을 파악하면 병을 사전에 예방 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는 의학 발전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정신 질환에 대한 위험요인은 주로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사용하여 찾아 왔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CART, C5.0, 로지스틱, 신경망, 베이지안 네트워크 방법을 이용한다. 정신장애 질병인 섬망자료를 적용하여, 최적의 모형인 베이지안 네트워크 방법을 선택하였다. 이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법을 위험 요소를 찾는데 사용하고, 이 위험인자 간의 관계를 방사형 그래프를 통해서 규명하였다.

일 대학병원에서 5년간 시행된 정신과 자문의뢰 분석 (Psychiatric Consultation for 5 Years in a University Hospital)

  • 김성완;김선영;김성진;김재민;신일선;윤진상
    • 정신신체의학
    • /
    • 제19권1호
    • /
    • pp.28-33
    • /
    • 201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신설대학병원에서 개원 이후 약 5개년간 이루어진 자문의뢰 상황과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4년 5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정신과에 자문 의뢰된 입원 환자들에 대한 후향적 연구로, 연구 자료는 의무기록 검토를 통해 수집되었다. 결 과: 총 1,852건의 자문의뢰 중 정신상태 변화(mental change)가 20.5%로 가장 흔한 자문사유였고, 우울기분(16.8%), 불면(12.8%), 불안(7.9%) 등의 순이었다. 가장 흔한 정신과적 진단은 섬망(39.7%)이었고, 우울장애(28.2%), 적응장애(7.9%), 불안장애(4.1%) 등 정서적 문제도 흔하였다. 섬망으로 진단된 환자의 평균 연령이 다른 진단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남성 환자에서는 섬망이 47.1%, 여성 환자에서는 우울증이 48.3%로 각각 가장 빈번하였다.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받지 않은 환자 보다 섬망의 발생이 유의하게 빈번하였다. 결 론: 정신과 자문의뢰 중 가장 빈번한 진단은 섬망이었고, 다음으로 우울장애였다. 섬망은 남성에서 빈번하였고, 우울장애는 여성에서 빈번하였다.

  • PDF

Assessment of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Delirium in Older Adults Who Underwent Spinal Surgery and Identifying Associated Biomarkers Using Exosomal Protein

  • Baek, Wonhee;Lee, JuHee;Jang, Yeonsoo;Kim, Jeongmin;Shin, Dong Ah;Park, Hyunki;Koo, Bon-Nyeo;Lee, Hyangkyu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71-384
    • /
    • 2023
  • Purpose: With an increase in the aging populatio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degenerative spinal diseases undergoing surgery has risen, as has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delirium.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affecting postoperative delirium in older adults who had undergone spine surgery and to identify the associated biomarkers. Methods: This study is a prospective study. Data of 100 patients aged ≥ 70 years who underwent spinal surgery were analyzed. Demographic data, medical history, clinical characteristics,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symptoms, functional status, frailty, and nutritional status were investigate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delirium. The Confusion Assessment Method, Delirium Rating Scale-R-98, and Nursing Delirium Scale were also used for diagnosing delirium. To discover the biomarkers, urine extracellular vesicles (EVs) were analyzed for tau, ubiquitin carboxy-terminal hydrolase L1 (UCH-L1), neurofilament light, and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using digital immunoassay technology. Results: Nine patients were excluded, and data obtained from the remaining 91 were analyzed. Among them, 18 (19.8%) developed delirium.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participants with and without delirium in the contexts of a history of mental disorder and use of benzodiazepines (p = .005 and p = .026, respectively). Tau and UCH-L1-concentrations of urine EVs-were comparatively higher in participants with severe delirium than that in participants without delirium (p = .002 and p = .001, respectively). Conclusion: These findings can assist clinicians in accurately identifying the risk factors before surgery, classifying high-risk patients, and predicting and detecting delirium in older patients. Moreover, urine EV analysis revealed that postoperative delirium following spinal surgery is most likely associated with brain damage.

노인 기질성 정신장애 환자의 급성 정신증상에 대한 리스페달 사셰와 할로페리돌 근주의 효과 비교 (Risperdal Sachet and Oral Lorazepam versus Intramuscular Haloperidol and Lorazepam Injection for Acute Psychotic Symptom in the Elderly Patients with Organic Mental Disorder)

  • 윤탁
    • 생물정신의학
    • /
    • 제14권2호
    • /
    • pp.99-105
    • /
    • 2007
  • Objectives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safety and tolerability of risperdal sachet(oral solution) with lorazepam tablet versus intramuscular haloperidol and lorazepam injection for management of acute psychotic symptom in the elderly with organic mental disorder. Methods : Total 37 patients who have dementia, medical or physical diseases, associated with acute psychotic symptom were randomly assigned to oral treatment with 1mg of risperdal sachet(oral solution) plus 1mg of lorazepam(N=17) or to intramuscular treatment with 2.5mg of haloperidol plus 2mg of lorazepam (N=20). The change of CGI scores was used for the evaluation of efficacy. Results : Mean score improvements at 15, 30, 60, and 120 minutes after treat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each time point in both groups(p<0.001) and were similar in both groups(p=0.189). Conclusion : A single oral dose of risperdal sachet(oral solution) plus lorazepam was as effective and tolerable as parenterally administered haloperidol plus lorazepam for the rapid control of acute psychotic symptom in the elderly with organic mental disorder.

  • PDF

중환자실 퇴원 환자의 불안, 우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유병률 및 위험요인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Anxiety,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Critical Care Survivors)

  • 강지연;안금주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62-74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mental health problems in patients discharged from the intensive care unit (ICU). Methods : This was a secondary analysis study using data from a multicenter prospective cohort of post-ICU patients. We analyzed data of 311 patients enrolled in the primary cohort study who responded to the mental health questionnaire three months after the discharge. Anxiety and depression were measured on the Hospital Anxiety-Depression Scal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was measured on the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Results : The prevalence of anxiety, depression, and PTSD in patients at three months after ICU discharge were 25.7%, 17.4%, and 18.0%, respectively, and 7.7% of them experienced all three problems. Unemployment (OR=1.99, p=.033) and unplanned ICU admission (OR=2.28, p=.017) were risk factors for depression, while women gender (OR=2.34, p=.009), comorbid diseases (OR=2.88, p=.004), non-surgical ICUs (trauma ICU: OR=7.31, p=.002, medical ICU: OR=3.72, p=.007, neurological ICU: OR=2.95, p=.019) and delirium (OR=2.89, p=.009) were risk factors for PTSD. Conclusion : ICU nurses should proactively monitor risk factors for post-ICU mental health problems. In particular, guidelines on the detection and management of delirium in critically ill patients should be observed.

러프 하한 근사를 갖는 로컬 커버링 기반 규칙 획득 기법을 이용한 섬망 환자의 분류 방법 (A Classification Method of Delirium Patients Using Local Covering-Based Rule Acquisition Approach with Rough Lower Approximation)

  • 손창식;강원석;이종하;문경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9권4호
    • /
    • pp.137-144
    • /
    • 2020
  • 섬망은 의식 장애, 주의력 장애 및 언어력 장애와 같은 일시적인 인지 장애가 있는 환자, 특히 노인에서 나타나는 가장 흔한 정신 장애 중 하나이다. 섬망은 환자와 가족에게 고통을 주고, 통증과 같은 증상의 관리를 방해할 수 있으며 노인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장기 요양 시설에서 섬망 환자를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임상적 지식을 생성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러프 하한 근사 영역을 갖는 로컬 커버링 규칙 기법을 활용하여 섬망과 관련된 임상적 분류 지식을 추출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은 전향적 코호트 연구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섬망 기간이 12일 이상 지속될 수 있는 6가지 유용한 임상적 증거를 발견하였고, 체질량 지수, 동반질환 지수, 입원경로, 영양결핍, 감염, 수면박탈, 욕창, 기저귀 사용과 같은 8가지 인자들이 섬망 결과를 구별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분류 성능은 통계적 5-겹 교차검정 방법을 사용하여 3가지 벤치마킹 모델, 즉 ANN, RBF 커널 함수를 활용한 SVM, 랜덤 포레스트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3가지 모델 중 가장 높은 성능을 제공한 SVM 모델과 비교했을 때 정확도와 AUC 기준에서 평균 0.6%와 2.7% 개선된 성능을 보였다.

중환자실 퇴원환자의 집중치료 후 증후군과 삶의 질 (Post-intensive Care Syndrome and Quality of Life in Survivors of Critical Illness)

  • 김수경;강지연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4
    • /
    • 2016
  • Purpose: To investigate the post-intensive care syndrome (PICS)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QoL) of survivors of critical illness. Methods: Subjects were 114 outpatients who had been discharged from intensive care units of a university hospital in B city, Korea. From July 30 through September 30, 2015, PICS was assessed using the Korean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Hospital Anxiety-Depression Scale, Korean Instrumental/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index, and handwriting transformation, while physical and mental health-related QoL was measured using the SF-12. Results: Of the subjects, 39.5% were screened for mild cognitive disorder and 23.7% experienced handwriting transformation after discharg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restraint application, current job, time of ${\geq}36$ months after discharge, depression, anxiety, and handwriting transformation accounted for 40.9% of the physical health-related QoL, and depression, anxiety and experience of delirium accounted for 62.4% of the mental health-related QoL.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reduce restraint application in intensive care units and prevent the occurrence of delirium, with the objective of reducing PICS and improving the QoL of critical illness surviv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