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urrage rat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양곡부두의 체선율 감소를 위한 부두 장비 및 사일로 스케줄링 연구 (Facility scheduling problem in Grain terminal for reducing demurrage rate)

  • 신재영;박종원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0-61
    • /
    • 2013
  • 항만의 생산성과 서비스수준을 측정하는 가장 중요한 척도중의 하나는 체선율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부산 북항 양곡부두의 경우도 체선율이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운영상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체선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측면읜 시설의 확충, 노후 장비의 교체 등과 같은 방법이 있고, 소프트웨어 측면인 운영상 장비의 할당 규칙, 배정 순서의 변경 등과 같은 운영적인 방법이 있다. 선박의 체선을 줄이기 위해 선석을 확충하거나 장비를 추가로 확보하는 방법이 자금적인 이유를 비롯하여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다면 운영적인 방법을 통하여 체선율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부산 북항 양곡부두의 장비와 기본적인 운영 방식을 모델로 하여 체선율, 즉 작업 시간을 줄이기 위한 장비의 할당 규칙 및 사일로 할당 규칙에 관한 여러 가지 운영 방식을 비교 분석하여 보도록 한다.

  • PDF

인천내항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imulation Model for Inchon Port)

  • 김동희;김봉선;이창호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3-81
    • /
    • 1999
  • Inchon Port is the second largest import-export port of Korea, and has the point ant issue such as the excessive logistics cost because of the limits of handing capacity and the chronic demurrage. There is few research activities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whole port operation, because Inchon Port not only has the dual dock system and various facilities but also handles a various kind of carg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simulation program as a long-term strategic support tool, considering the dual dock system and the TOC(terminal operation company) system executed from March, 1997 in Inchon Port. The basic input parameters such as arrival intervals, cargo tons, service rates are analyzed and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for this parameters are estimated. The main mechanism of simulation model is the discrete event-driven simulation and the next-event time advancing. The program is executed based on the knowledge base and database, and is constructed using VISUAL BASIC and ACCESS database. From the simulation model,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demurrage status through analyzing scenarios such as the variation of cargo ton and cargo handing level, the increase of service rate, and so on, and to establish the long-term port strategic plan.

인천내항의 전략수립과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의사결정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Simulation-based DSS for the Management Strategy Analysis of Inchon Port)

  • 김동희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7-2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port simulation program for Inchon Port. The arrival and departure data from Inchon Port are analyzed, severa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for the interval time and service time are estimated, and the berthing rules are constructed based on experts experiences. The port simulation program is written in visual basic considering the interarrival p.d.f., service rate p.d.f., berthing rules, and dual-dock system, and i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changes in ship arrival rate and service rate upon the demurrage. It is expected that we can use the simulation results in order to prepare proper service level and to evaluate the appropriate investment strategy to be planned.

  • PDF

집중지수로 본 여수·광양항의 화물처리현황 분석 (A Study on the Cargo Throughout of Yeosu·Gawangyang Port by Concentration Index)

  • 장흥훈;김소라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69-186
    • /
    • 2019
  • 이 연구는 2007-2015년 여수항과 광양항의 화물 처리량을 대상으로 하여 국내 항만과 비교함으로써 여수광양항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항만의 화물 처리 실적의 집중 지수를 도출하고, 여수·광양항 부두와 선사별 컨테이너 화물처리 실적 및 상대 지역별 화물처리 실적의 집중 지수를 도출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총화물 처리 실적의 경우, 여수·광양항은 부산항에 비해 두 번째로 비중이 높았으며, 지난 9년 동안의 집중지수(HHI)는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둘째, 수출입 총화물 처리실적의 경우, 여수광양항이 줄곧 1위인 가운데, 이 기간 동안 최저 1,790에서 2,099 사이의 비교적 안정적인 HHI 지수를 보여 주고 있었다. 셋째, 국적 선사별 컨테이너 처리 실적의 집중 지수는 1,800 이하의 안정된 수준을 보였다. 넷째, 여수광양항의 상대 지역(국가)별 화물처리 특별히 눈에 띄게 물동량이 집중되어 있는 지역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여러 지역에 걸쳐 고르게 물동량 실적을 보여주었다. 한진해운 위기 사태 이후 국적 선사에 있어 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여수광양항의 특정 선사에서의 의존 정도는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시설사용의 현실화와 여수광양 지역의 입주 업종의 다양화, 체선율 개선 등을 통해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