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rivative effect of labor demand

검색결과 1건 처리시간 0.017초

기혼여성의 취업이 가구의 소비패턴과 산업별 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Married Women's Employment on Household Consumption Pattern and Industrial Labor Demand)

  • 최바울
    • 노동경제논집
    • /
    • 제36권1호
    • /
    • pp.93-129
    • /
    • 2013
  • 본 논문은 기혼여성의 취업으로 인해 발생된 소비패턴의 변화와 그로 인해 야기되는 산업별 산출액의 변화 및 노동수요 파생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맞벌이가구 증가에 따라 교통비와 교육비, 외식비, 가사서비스 등의 소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소비패턴 변화로 인해 교육 및 보건업, 음식 숙박업 등 시장서비스업의 노동수요 증가가 야기되었다. 특히 고학력 및 중산층 이상의 기혼여성의 취업 시 취업유발효과가 높았으며, 그로 인해 저숙련 업종의 노동수요를 파생시킬 것으로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