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ignating statu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4초

A Strategy on Performance Assessment Information System of Building Remodeling

  • Hong, Eun Hwa;Kim, Gyu Jin;Lee, Sang Chul;Lee, Jong Sik;Jo, Jae Ho;Chun, Jae Youl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643-645
    • /
    • 2015
  • This study is designating the scope, in order to establish th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performance assessment for remodeling building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to identify technologies and concepts applicable to performance assessment model.

  • PDF

자연환경 보전지역 설정기준에 관한 기초연구 (Basic Study on Criteria for Setting Natural Conservation Area)

  • 성현찬;황소영;채미옥;박은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1-12
    • /
    • 2010
  •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development status of surroundings of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s and securing an adequate distance from development activities to conserv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s efficiently or developing an improvement plan for setting conservation areas. Findings from the study shows that 1) rather than simply designating a legal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 a conceptual scope approach of a "core area", "buffer area", and "transition area" such as in zoning of a "biosphere reserve" by UNESCO is recommended; 2) when setting an adequate range in a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 it should be set by fully considering locational situation and the regional and environmental features of surroundings rather than setting a certain distance uniformly; 3) instead of designating wetlands only as a conservation area, entry and exit areas should be also included as buffer areas and in the case of wild animals, not only habitats but also feeding areas should be designated as conservation areas; and 4) an adequate horizontal separation space is important in the case of ground development, but for natural resources related to subterranean water and geological situation such as wetlands, an adequate vertical separation space should be fully considered.

Research on Changes in the Coffee and Tourism Industries After the End of COVID-19 Through Big Data Analysis

  • Hyeon-Seok Kim;Gi-Hwan Ryu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6권2호
    • /
    • pp.43-49
    • /
    • 2024
  • In early 2020, as the COVID-19 pandemic hit the world, widespread changes occurred throughout society. COVID-19 also brought changes in consumers' consumption behaviors and preference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the current status of the tourism industry and the coffee industry has changed since the end of COVID-19 by conducting big data analysis focusing on the search frequency of Naver, Google, and the following, which are representative social networks in Korea. Designating "Coffee Industry + Tourism Industry" as the representative keyword, January 1, 2020 to December 31, 2020, the time of each COVID-19 outbreak, was set before the COVID-19 type, and January 1, 2023 to December 31, 2023 was set after the end of COVID-19. Based on the analyzed search binder big data analysis within the period, we would like to find out how the current status of the tourism industry and the coffee industry has changed since the end of COVID-19. Finaly, the coffee and tourism industries are on the path of recovery and growth. In particular, the rise in coffee consumption, the recovery of the number of tourists, the emphasis on local tourism, and the strengthening of links with global markets are prominent.

거점확산형 주거환경개선 시범사업 실태조사 및 개선방향 연구 (Site Analysis and Improvements on Pilot Project of Core-Base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 백혜선;이영환;김재승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1-11
    • /
    • 2016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cause of delay by analyzing the process of 12 Core-based Improvement pilot projects, especially focused on lands, buildings, population status. For this purpose, it performed a literature research on maintenance plan reports, various statistics of building and population status analysis, a field research and an individual interview with public officials in charge at local governments of 12 project distric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it was difficult to cope flexibly to environmental changes because the core sector was so large that the plan was led to areal improvement. 2) the project was selected withou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e sector and the area of residents-led renovation properly in terms of building status such as building density and old buildings ratio, 3) the coordinator group for socially disadvantaged class in the district was not operated and thus foundation for residents-led renovation was not set up. In conclusion, it should be presented the proper size of the core sector when the core-base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is initiated in the future. In addition, building status is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esignating the core sector and the area of residents-led renovation. The coordinator group needs to be operated from the early stage of the project as well.

어촌체험 만족도 설문조사를 통한 어촌체험마을 활성화 방안 연구 (Studies on Revitalization Schemes for Fishery Villages Based on Questionnaire Survey)

  • 문성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771-776
    • /
    • 2009
  • 농림수산식품부는 어촌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2001년부터 어촌체험마을을 조성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어촌 체험마을의 경우 체험객이 감소하거나 일시적 방문관광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2006년도까지 우리나라 영남권에 선정된 총 21개 어촌체험마을을 대상으로 어촌체험마을 이용 현황 및 만족도 그리고 체험프로그램의 선호도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어촌체험마을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어가소득증대와 어촌경기회복에 기여할 수 있는 3가지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Economic Cooperation Plan in the Natural Resource-Based Manufacturing Industry : Focusing on historical and genetic affinity

  • Shim, Jae-Hyun;Seo, Dae-Sung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2권3호
    • /
    • pp.117-136
    • /
    • 2021
  • Purpose - The research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dynamics of economic cooperation among countries which share historical and genetic affini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tudy analyzed historical and genetic affinity after reviewing related thesis data on countries with historical relations studied by domestic historians. After that, it was applied to the method of designating the counterparts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suggesting economic cooperation measures within a comprehensive range. Results - Economic cooperation with the counterparts should complement the ongoing economic cooperation with each country among their planned national strategies. Korea proposes such matters in a way that cooperates and develops to obtain mutual economic benefits. Among the associated countries, Mongolia is for the underground resource processing industry, Turkey for the investment of companies advancing into neighboring countries, Kazakhstan for the diversification of business centered on the manufacturing industry, Uzbekistan for the modern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industrial production, Turkmenistan for the localization of resource-based industries and Export promotion, Hungary for the increase in investment in line with the East-ward policy, Finland is for the cooperation in the knowledge-based industry. Conclusion - This economic cooperation can raise Korea's international status to the next level and further strengthen our voice right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어린이 교통사고 유형별 데이터 분석 연구 (A study on Data Analysis by Type of Traffic Accident for Children)

  • 이정원;이충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90-492
    • /
    • 2021
  • 우리나라는 교통사고 안전 사회 실현을 위하여 범정부 종합대책을 2017년에 마련하였으며. 도심 지역의 제한속도를 기존 60km에서 50km로 낮추고 어린이보호구역의 경우에는 30km로 제한하는 등 차량이 저속으로 운행하게 하여 어린이 및 노인의 보행 중 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매년 어린이 교통사고 사고율이 높아지고 있는 특정 지역인 단양군을 지정하여 자동차 등록현황, 교통사고 공간데이터(GIS) 현황으로 각 데이터를 전처리 후 데이터의 구조를 이해하고 데이터의 구조적 패턴을 알아내기 위한 분석 연구를 하였다.

  • PDF

세계적 동향에 비추어 본 우리나라 대학의 비교교육학 교육현황과 과제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s of Comparative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Korea and World Wide)

  • 현경석;박애리
    • 비교교육연구
    • /
    • 제18권4호
    • /
    • pp.1-26
    • /
    • 2008
  • 이 연구는 비교교육학의 개념과 중요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비교교육학의 역사와 발전과정, 그리고 현재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비교교육학의 현황과 실태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비교교육학은 다른 교육학의 세부전공들과 비교하여 나름대로 독자적인 학문분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한지 그리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도 대학에서 독립적인 전공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지는 않으나, 최근 국제화 추세와 더불어 외국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 예컨대 외국의 교육제도, 교육정책, 교육개혁 동향 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중요성과 그 활용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동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에서의 비교교육학 교육현황에 대한 전반적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첫째, 한국대학에서의 비교교육학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둘째, 한국 대학에서의 비교교육학 교육현황을 조사하였다. 현황 조사는 다음과 같은 다섯 항목 1) 4년제 대학 중 비교교육 관련 강좌를 제공하는 대학(수), 2) 비교교육 관련 강좌의 수업목표, 3) 커리큘럼 및 강좌명, 4) 강의 방법과 교재현황, 5) 한국대학의 비교교육 강좌와 관련된 문제점 및 제언 등으로 나누어, 전국 4년제 대학을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한국 비교교육학의 실태에 대한 외국과의 비교분석을 위하여 외국 대학들의 비교교육학 발전과정과 교육동향을 문헌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동연구는 우리나라 대학 비교교육학 교육현황에 대한 첫 조사연구로서, 대학에서의 비교교육학 강좌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재확인과 함께 외국 대학의 비교교육학 발전현황에 대한 탐색을 통하여 우리나라 비교교육학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의 보존 방안과 사적 지정 전략 (Conservation Plan and Historic Site Designation Strategy of Celadon Kiln Site in Banam-ri, Gochang)

  • 신민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1호
    • /
    • pp.208-223
    • /
    • 2023
  • 본 글은 시도지정기념물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를 사적으로 지정하기 위한 정비 방안과 전략을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본격적 논의에 앞서 초기 청자요지로 주목받고 있는 이 유적의 높은 학술적 잠재력을 설명하면서 기념물 지정으로 인해 추진될 예산 확보, 향후 사적 지정에 대한 기대까지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의 보존 현황과 정비 방안을 살펴보았다. 특히 기념물로 지정된 지 1년이 되지 않은 이 유적이 향후 사적 지정을 위한 정비를 어떠한 방향으로 수행해야 할지에 대해 현지 조사 등으로 현재의 보존상황을 검토하였다. 무엇보다 유적의 명확한 성격을 밝히기 위한 발굴조사와 문헌조사를 시행하고, 현지 조사를 토대로 관람객들을 위한 안내시설을 정비하고 이와 연계한 홍보를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적의 정의 및 도자기 가마의 사적 지정 현황과 함께 지정에 필요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특히 기존 사적 지정된 진안 도통리 청자요지, 고흥 운대리 분청사기요지의 사례를 검토하여 발굴조사, 문헌조사, 학술대회의 세 가지를 사적 지정의 목표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발굴조사의 결과는 완전성, 진정성, 정체성을 두루 갖춘 문화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제시하는 근거가 된다. 문헌조사는 발굴로 밝혀지지 않은 유구의 역사적·문화적 성격을 보완하는 근거가 된다. 학술대회는 문화재가 가진 위치성과 유적의 위상, 유적과 관계 있는 사건 등 문화재의 본질과 가치를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폐형광등 현황에 따른 수은함유폐기물의 효율적 관리 방안 (Efficient Management System for Mercury-containing Waste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of Spent Fluorescent Lamps)

  • 이승희;박헌수;유호식
    • 환경정책연구
    • /
    • 제14권1호
    • /
    • pp.135-158
    • /
    • 2015
  • 수은함유폐기물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국내 및 선진국의 유해성이 있는 폐형광등 관리 및 처리현황을 검토하였다. 국내 폐기물 관리법에서는 수은함유폐기물이라도 생활계에서 배출되면 생활폐기물로 분류하고 있으며 생활계에서 배출되는 유해성이 있는 수은함유폐기물에 대해서는 관리가 되고 있지 않다. 다만 일부 수은함유폐기물에 대해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폐기물 부담금제도와 재활용의무대상품목에 포함되어 관리되고 있다. 따라서 폐형광등의 관리현황으로부터 수은함유폐기물의 별도의 관리방안에 수집 방안 확대와 고도처리방법 등을 포함하였고, 이러한 수은함유폐기물의 수거에서 최종 처리되는 단계까지 주체별 역할에 대해 제시하여 더욱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