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ctamnin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Dihydroartemisinine Enhances Dictamnine-induced Apoptosis via a Caspase Dependent Pathway in Human Lung Adenocarcinoma A549 Cells

  • An, Fu-Fei;Liu, Yuan-Chong;Zhang, Wei-Wei;Liang, Le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0호
    • /
    • pp.5895-5900
    • /
    • 2013
  • Dictamnine (Dic) has the ability to exert cytotoxicity in human cervix, colon, and oral carcinoma cells and dihydroartemisinin (DHA) also has potent anticancer activity on various tumour cell lines. This report explores the molecular mechanisms by which Dic treatment and combination treatment with DHA and Dic cause apoptosis in human lung adenocarcinoma A549 cells. Dic treatment induced concentration- and time-dependent cell death. FCM analysis showed that Dic induced S phase cell cycle arrest at low concentration and cell apoptosis at high concentration in which loss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Delta}{\Psi}m$) was not involved. In addition, inhibition of caspase-3 using the specific inhibitor, z-DQMD-fmk, did not attenuate Dic-induced apoptosis, implying that Dic-induced caspase-3-independent apoptosis. Combination treatment with DHA and Dic dramatically increased the apoptotic cell death compared to Dic alone. Interestingly, pretreatment with z-DQMD-fmk significantly attenuated DHA and Dic co-induced apoptosis, implying that caspase-3 plays an important role in Dic and DHA co-induced cell apoptosis. Collectively, we found that Dic induced S phase cell cycle arrest at low concentration and cell apoptosis at high concentration in which mitochondria and caspase were not involved and DHA enhanced Dic induced A549 cell apoptosis via a caspase-dependent pathway.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tumor Agents from Dictamnus albus

  • Kim, Se-Won;Yeo, Woon-Hyung;Ko, Young-Su;Kim, Si-Kwan
    • 생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09-214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new antitumor agents from plant resource. Three cytotoxic agents were isolated from the root of Dictamnus albus by hexane extraction,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HPLC. They were identified to be dictamnine $(C_{12}H_9NO_2)$, preskimmianine $(C_{17}H_{21}NO_4)$ and fraxinellone $(C_{14}H_{16}O_3)$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evidences. In this study, it was newly found that these compounds possess a cytotoxic activity against lung lymphoma L1210 cell line. Among them. Preskimmianine was the most potent against the lymphoma L1210 with a $IC_{50}$ of $3.125\;{\mu}g/ml\;(10.3\;{\mu}M)$. Toxicity of preskimmianine against normal Iymphocyte was observed at the concentration of $50\;{\mu}g/ml\;(165\;{mu}M)$. These results support the pharmacological role of D. albus, a herb known as Paeksun in Korea and used as an anticancer agent in folk medicine.

  • PDF

산초나무 추출물의 피부사상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그 성분 (Antifungal Activity of the Extract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 et Zucc. against Dermatophytes)

  • 민경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4호
    • /
    • pp.78-85
    • /
    • 1998
  • 산초나무 각 부위별 알코올추출물의 피부사상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근피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각 용매별 분획분의 항균활성은 근피부의 petroleum ether 분획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균활성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항균력이 가장 높게 나타난 근피알코올추출물의 petroleum ether 분획분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였으며, 항균활성성분인 CI과 CII가 분리되었다. CI과 CII의 MIC을 측정한 결과 CI의 MIC은 $40{\mu}g/m\ell$였으며, $20{\mu}g/m\ell$의 농도에서도 균액의 접종흔적이 조금 남아있었을 뿐 균사의 생장은 관찰할 수 없었다. 또한 CII의 MIC은 $800{\mu}g/m\ell$였으며, $600{\mu}g/m\ell$의 농도에서도 균액의 접종흔적이 조금 있었을 뿐 다른 농도에서처럼 균사의 생장은 관찰할 수 없었다. 기기 분석 결과 CI과 CII는 기지(旣知)의 alkaloid 화합물들이었다.

  • PDF

식물유래 2차 대사물질의 병충해 및 잡초 방제효과 (Pathogen, Insect and Weed Control Effects of Secondary Metabolites from Plants)

  • 김종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1-15
    • /
    • 2005
  • 농작물이 병해충 및 잡초 등에 의하여 피해를 받게 되면 농업생산성은 상당히 저하된다. 따라서 농업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합성농약을 과용해 왔고, 이로 인하여 토양의 질과 농업환경이 파괴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어서 지속적인 농업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오늘날의 농업은 농업환경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생산성을 증대해야하는 복합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다. 한편, 식물은 일반적으로 생존하기 위하며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거나 자신의 영역을 확보하기 위하며 다양한 종류의 2차대사물질을 생산하고 방출한다. 병원균이 침입했을 때 식물이 생산하는 항생물질인 phytoalexin으로는 화본과 식물의 경우 flavonoid계와 diterpenoid계의 물질을 생성하고, 쌍자엽 식물은 감염된 병원균의 종류에 상관없이 Leguminosae과는 flavonoids계, Cruciferae과는 indole 유도체, Solanaceae과는 sesquiterpenoid계, Umbelliferae과는 coumarin계 물질들을 생성하여 병원균에 저항성을 가진다. 곤충의 생리작용을 저해하거나 섭생을 싫어하게 하는 기능의 물질로는 terpene계의 pyrethrin, azadirachtin, limonin, cedrelanoid, toosendanin, fraxinellone/dictamnine 등이 있으며, alkaloid계로서는 terpenoid와 alkaloid가 결합된 sesquiterpene pyridine 및 norditerpenoids alkaloids와 azepine계, amide계, loline계, stemofoline계, pyrrolizidine계 alkaloids 등이 있다. 식물은 또한 자신의 영역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른 식물의 생장을 저해하는 물질을 생성하는데 여기에는 terpene계의 essential oil 및 sesquiterpene lactone과 이외에 benzoxazinoids, glucosinolate, quassinoid, cyanogenic glycoside, saponin, sorgolennone, juglone 등 다수의 2차 대사물질들이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의 2차 대사물질을 병해충 및 잡초 방제에 직, 간접으로 이용하는 것은 친환경농업의 한 가지 방법일 수 있다. 그러나 천연물질들은 자연계에서 쉽게 분해되어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고 식물을 통하여 생산하는데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전성과 효율성이 뛰어난 2차 대사물질을 찾아내는 연구와 아울러 방제기능이 있는 물질의 생합성경로를 구명하고 대사공학적으로 이용하므로 병해충에 저항성이 있고 잡초 방제효과를 갖는 형질전환 식물을 육성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