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methylformamide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2초

메탄올, N, N-Dimethylformamide 및 Acetonitrile 속에서 2염기성 카르복시산의 해리상수 (Dissociation Constants of Dibasic Carboxylic Acids in Methanol, N, N-Dimethylformamide and Acetonitrile)

  • 문수찬
    • 대한화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369-372
    • /
    • 1972
  • 메탄올, N, N-dimethylformamide 및 acetonitrile속에서 이염기성 카르복시산 $(HOOC(CH_2)_nCOOH$, n=0∼4)의 해리상수를 유리전극을 사용하여 전위차법으로 측정했다. 두 용매간에서 각 산의 전해리상수의 차는 거의 일정한 값이 되며, 이 값은 일염기성 카르복시산의 해리상수의 차와 거의 일치했다. 그리고 $K_1/K_2$의 값은 양성자성용매인 물과 메탄올에서보다 반양성자성용매인 N,N-dimethylformamide와 acetonitrile에서 훨씬 더 크다.

  • PDF

N, N-dimethylformamide 취급근로자의 유해위험 정보 인식도 조사 (A study on chemical hazard communication for workers exposed to N, N-dimethylformamide)

  • 양정선;임철홍;이혜진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3-109
    • /
    • 2011
  • Object: we investigated some factors which can affect workers' comprehension of chemical hazard information and their actions to protect themselves from the hazard. Method: Comprehension score of chemical hazard information and the rate of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was surveyed for the 109 workers from 15 factories who were exposed to N, N-dimethylformamide. Difference of the worker's comprehension score of hazard information was analyzed by education interval, work duration and the way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between self-managed or sub-contracted. Result: Mean comprehension score of N, N-dimethylformamide hazard, which was given as a short quiz composed of 10 "true" or "false" problems, was 65%. Mean percentage of wearing PPE was improved as the education program was done within a month but decreased after 6 months. Eighty seven % of workers got the chemical hazard information from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placed at workplace. Conclusion: Education interval and comprehension score affected the rate of wearing PPE. The way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elf-managed or sub-contracted did not affect the workers' comprehension score on hazard information nor the rate of wearing PPE.

Dimethylformamide 수용액중에서의 Sulfa제-Cu 착화합물의 안정도정수 (Stability Constants of Copper Sulfa-Drug Complexes in Dimethylformamide Aqueous Solution)

  • 이왕규
    • 약학회지
    • /
    • 제9권1_2호
    • /
    • pp.4-7
    • /
    • 1965
  • Acid dissociation constants of sulfamethoxypyridazine, sulfadimethoxine, sulfamerazine, sulfathiazole and sulfadiazine, and stability constants for formation of copper chelate were calculated from their titration curves in 80% dimethylformamide with ionic strength 0.1 at $25{\deg}$ It was found that the acid dissociation constants (pKa) of sulfa-drugs were in the range of 9.33 - 10.05, and the stability constants (log $k_{1}$, $k_{2})$ of their copper chelates were in the range of 9.33-9.71.

  • PDF

Effect of Dimethylformamide on Post-Thaw Motility, Acrosome Integrity, and DNA Structure of Frozen Boar Sperm

  • Hwang, You-Jin;Yang, Jae-Hun;Kim, Sang-Ok;Kim, Bo-Kyung;Choi, Seon-Kyu;Park, Choon-Keun;Kim, Dae-Young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75-279
    • /
    • 2009
  • The beneficial effect of glycerol as a cryoprotectant, especially for sperm cryopreservation, has been shown in many studies. However, glycerol is toxic to living cells, and boar sperm in particular show greater sensitivity to glycerol than sperm from other domestic animals. Amides have been studied as alternative cryoprotectants for freezing stallion sperm. Sperm frozen in methylformamide or dimethylformamide as cryoprotectants show similar motility when thawed compared with sperm frozen in glycerol. We evaluated the cryoprotective effects of dimethylformamide on boar sperm freezing. To test the effect of amides, the concentration of boar semen was adjusted to $10^9sperm/mL$, and seminal plasma was removed using Hulsen solution. After centrifugation, the pellet was diluted in modified-Modena B extender. Lactose-egg yolk (LEY) extender was used as the cooling extender. The freezing extender was madeed aaddition of the optimal amount of glycerol and amides to LEY-Glycerol-Orvus ES Paste extender, and this extender was used for the second dilution. Diluted sperm were frozen in liquid nitrogen using the 0.5 mL straw method. Sperm frozen in extender with glycerol as a cderol were compared with those frozen in extender including the different amides. Sperm were tested for motility, viability, the sperm chromatin structure assay, and normal apical ridge after thawing. The percent of motile sperm diluted in glycerol was as high as that in the stallion study (61%). Dimethylformamide showed positive effects on sperm quality and was better than glycerol. Methylformamide provided similar sperm quality as glycerol. Therefore, dimethylformamide is useful for reducing cryoinjury in boar sperm and is expected to be useful as an alternative cryoprotectant.

토기.도자기 복원에 사용된 에폭시 복원재료의 화학적 제거방법과 그 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emically Method of Epoxy Restoration Material in Antic Ceramics and Stabilization of Their Materials)

  • 한원식;배진수;박기정;홍태기;위광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5-32
    • /
    • 2010
  • 에폭시의 황변 현상은 도자기 복원재에 있어 항상 발생하는 문제로 알려져 있다. 이들의 재복원을 위해서는 반드시 이 에폭시의 제거가 선행되어야 하는 바, 본 논문에서는 이의 화학적인 제거법과 그 제거제의 특성들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에서 파손되어 에폭시로 복원된 다양한 형태의 도자기들에서 에폭시의 화학적 제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디크로로메탄(Dichloromethane)과 Dichloromethane을 기초로 한 Dimethylformamide를 이용한 용액들이 나타내는 도자기 복원에 사용된 에폭시 제거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들 중, 특히 Dichloromethane + Dimethylformamide 용액을 이용할 경우, 색도의 변화, 광택도의 변화, 굽힘 강도의 변화, 무게의 변화, 표면도, 박리 시간에서 매우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Dichoromethane의 에폭시에 대한 팽윤 성질과 Dimethylformamide의 연화성 증진의 결과로 Dichloromethane은 에폭시와 도자기의 경계면을 팽윤시켜 박리시키면서, Dimethylformaide가 에폭시 자체의 경도를 낮춤으로 매우 약한 내부 결합을 가진 도자기라도 안정한 박리가 가능한 결과로 보인다. 또 이 용액의 직접적인 적용을 위하여 국내 대학 박물관 소장 청화백자모란문 양념단지의 재복원시의 에폭시 제거제로 이용하였으며, 매우 안정된 박리 현상을 발견할 수 있어 추후, 이를 이용하여 재 복원될 도자기 유물에 실적용할 경우, 완벽하고 안전하게 에폭시를 제거함으로 재복원될 에폭시 접착제의 제거에 충분히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아크릴로니트릴공중합체-디메틸포름아마이드 용액의 겔화 거동 및 겔필름의 물성 (Gelation Behavior of Acrylonitrile Copolymer/Dimethylformamide Solu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ilms Obtained from It′s Solution)

  • 오영세;한삼숙;송기원
    • 폴리머
    • /
    • 제24권6호
    • /
    • pp.787-793
    • /
    • 2000
  • 분자량과 methylacrylate 함량이 다른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dimethylformamide (DMF) 농후용액의 겔화 거동 및 임계 겔농도 (c*)를 조사하였다. 중합체 종류에 관계없이 저온에서 장시간 방치할 경우 방치시간에 따라 점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겔화가 진행됨을 알았으며, 중합체의 분자량이 클수록, 방치온도가 낮을수록 그리고 공중합체 중 아크릴로니트릴 성분비가 증가할수록 겔화 진행속도가 증가하였고, 임계 겔농도는 감소하였다. 동적 점탄성 실험에서 겔 용액으로부터 얻은 필름은 진 용액으로부터 얻은 필름과 달리 두 개의 유리전이 영역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겔화과정에서 atactic 중합체중 입체 규칙적인 block들간의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에 의한 ordered junction zone의 존재를 강하게 시사하였다.

  • PDF

N,N-Dimethylformamide 용매 중에서 Biliverdin의 전기화학적 거동 (Electrochemical Behaviors of Biliverdin in N,N-Dimethylformamide)

  • 배준웅;이흥락;박태명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730-734
    • /
    • 1993
  • 비양성자성 용매인 N,N-dimethylformamide(DMF) 중에서 Biliverdin(BV)의 전기화학적인 환원거동을 직류폴라로그래프법, 순환전압전류법 및 정전위 전기량법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BV의 최종 환원생성물을 UV-Vis spectroscopy로 조사하였다. DMF 용매 중에서 BV는 -0.71 V vs. Ag/Ag$^+$와 -0.91 V vs. Ag/Ag$^+$ 에서 2개의 환원파를 보였다. 각 환원파의 전류유형은 제 1환원파는 확산지배적인 전류였으며, 제 2환원파는 반응성 전류가 약간 포함된 확산전류이었다. 그리고 제 1단계의 환원과정은 비가역적이었다. 각 환원단계에 관여하는 전자수는 1개씩 이었으며, BV은 DMF 용액 중에서 1전자 2단계의 환원과정을 거쳐서 Bilirubin으로 환원되었다.

  • PDF

水素結合 이합체에 關한 理論的인 硏究, 메탄올-溶妹 이성분계에 대한 水素結合 에너지의 AM1 的 硏究 (Theoretical Studies of Hydrogen Bonded Dimers AM1 Study of Hydrogen-Bonding Energies of MeOH-solvent Binary Systems)

  • 김시준;박명옥
    • 대한화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9-259
    • /
    • 1988
  • Methanol, ethanol, acetone, dimethylsulfoxide, N,N-dimethylformamide, tetrahydrofuran, dioxane, 및 acetonitrile의 8가지 분자에 대한 용매효과를 고찰할 목적으로 메탄올을 양성자로 하고, 8가지 분자를 양성자 받게로 하여, 이들 이합체를 AM1 Hamiltonian법과 supermolecule법에 의해 monomer 및 dimer의 optimized geometry, electron density, molecular energy 및 hydrogen-bonding energy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로 각 dimer의 hydrogen-bonding에 기여하는 stabilization energy 순서는 dimethylsulfoxide > ethanol > N,N-dimethylformamide > acetone > methanol > tatrahydrofuran > dioxane > acetonitrile임을 알았으며 이 안정성의 순서를 electron density의 변화 및 energy partition의 결과로 설명하였다.

  • PDF

Methanol, N,N-dimethylformamide 및 Acetonitrile 속에서 유리전극의 pH 응답성 (The Response Characteristic of Hydrogen-responsive Glass Electrode in Methanol, N, N-dimethylformamide and Acetonitrile)

  • 문수찬
    • 대한화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49-156
    • /
    • 1972
  • 메타놀, N,N-디메칠포름아미드 및 아세토니트릴 속에서 유리전극의 pH 응답성을 여러가지 pH의 완충용액으로 시험한 바 전극을 물속에 보관하는 것보다 측정하고저 하는 용매속에 보관하는 것이 더 빨리 전위가 안정되었다. 같은 용매에서 용액의 염기성에 비례하여 응답속도가 느리고 강염기성 용액에서는 안정한 전위를 얻기 어려웠다. 산성용액에서의 pH 응답성은 보다 빠르나 같은 용액의 pH 측정에서도 전극의 사용한 이력에 따라 응답성과 측정치에 차이가 생겼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