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inguishment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초

장애인 편의시설을 고려한 보편적 건축계획의 기본개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 of Architectural Planning in Consider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성기창;채철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43-50
    • /
    • 2003
  • This paper try to provide basic and universal concept of the architectural planning for the barrier-free environment.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has analyzed inductively the architectural requirements for all kin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Analysis showed a safety, an accessibility and a distinguishment as the concept of architectural planning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have been researched the general cases done for the barrier-free architectural environment. As the result, it has been proved that the design concept for the disabled person should be regarded as the basic concept of the general architectural planning.

  • PDF

등부표 식별용 LED 발광 번호판을 활용한 해상교통 안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Marine Traffic Safety using the LED Flashing Number Plate for Light Buoys)

  • 심무준;이태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48-452
    • /
    • 2010
  • 전통적인 항로표지는 등광(등명기)에 의존하여 항로 및 위험물을 표시함으로써 통항선박의 안전을 확보하여 왔으나, 울산항을 비롯한 전국 무역항에서 입지조건이 유리한 항만배후단지가 개발됨에 따라 항만배후광이 증가하였고 항로표지의 야간시인성이 현격하게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전국 무역항에서는 채선율 저감을 통한 항만 운영율 향상을 위하여 야간 입출항 제한규모를 단계적으로 상향하고 있어 이에 대비한 통항선박의 안전확보방안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항행원조시설인 등대 및 등표 등에 등탑직적조명방식(LED논네온 등)을 비롯한 고광력 등명기 등이 적용되었고, 상대적으로 시인성이 떨어지는 등부표에는 시인성 향상과 선위결정이 용이하도록 LED발광번호판을 개발하여 적용한 결과, 항만 이용자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으며 앞으로도 항만배후광 극복을 위한 항로표지의 발전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공동주택단지 옥외공간의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zation of Handicapped Facility in Residential outside Area)

  • 박광재;성기창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45-5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handicapped facility in residential outside area, to found how to improve the law in analyzing the residential area and to suggest consideration factor in design phase. To concentrate the study, the objects of case study are selected carefully, also case study method is selected as well as objects. After observing the summary of objects, the checklist is made accordance with the improvement law of facility. The checklist has the general and detail factor about outdoor residential area, and the detail factor is based on the improvement law of facility and is used to examine and analyze.

  • PDF

FT-IR을 이용한 쿼츠와 비취의 감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quartz and jadeite by the FT-IR)

  • 김영출;김세환;김판채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1-45
    • /
    • 2003
  • FT-IR은 보석을 감별하고 연구하는데 있어서 아주 유용한 장비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FT-IR을 이용하여 자수정. 황수정, 백수정 그리고 비취를 감별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FT-IR은 자수정, 황수정과 백수정의 천연과 합성의 진위를 가리는데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천연 비취(A-Jade)와 왁스가 주입된 비취, 폴리머가 주입된 비취(B-Jade)를 식별하는 데 매우 유용하였다. 이러한 기술은 처리와 합성에 의해 새롭게 변화되어 나타나는 보석의 감별에 있어, 결정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다.

무장애 건축 환경을 위한 계단의 설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Staircase for Barrier-Free Architectural Environment)

  • 성기창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25-133
    • /
    • 2004
  • Safety, accessibility and distinguishment as the concept of architectural planning and design are demanded in staircases due to increase of the old aged people and disabled people's enlarged social participation. In this research is tried to provide the importance of vertical walking function at the design for the staircases. For this reason, structural elements of the staircases are studied in the ergonomic aspect for barrier-free environment and a comparative study is made on the regulations of the staircases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in disabled & aged people's view. Based on this study, the quality of the staircases in public facilities and Apartments is analyzed. As the result, it has been proved that the vertical walking function of the staircases is the most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the staircases design before everything else.

  • PDF

고령사회에 대응한 고령자주택의 계획개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Concept of Elderly Housing in Aged society)

  • 한균;권순정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7-17
    • /
    • 2013
  • Purpose: This basic research tries to provide planning concept of elderly housing which can cope with the needs of the aged society. Method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mainly by literature investigation research. Previous researches include Universal and Barrier-Free Design, Elderly Housing Standards, Elderly Welfare Act and other related acts, various papers related to elderly housing, and so on. To set up the Planning concept of elderly housing, elements or indices of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mparatively analysed. Results: Elderly housing has been divided into individual type, group type and facility type according to the residents' health and operation system of the housing. This paper focuses on the individual type among three categories. Seven concepts of the elderly housing have been derived as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 Safety, Accessibility, Amenity, Distinguishment, Adaptability, Convenience, and Sociality. Implications: This concept will provide the planning direction on the construction and renovation for Elderly Housing in the future.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악성트래픽 동적 분석 시스템 설계 (Design of Malicious Traffic Dynamic Analysis System in Cloud Environment)

  • 이은지;곽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579-589
    • /
    • 2017
  • 클라우드 환경은 하이퍼바이저 기반으로 다수의 가상머신들이 상호 연결된 형태로 악성코드의 전파가 용이하기 때문에 다른 환경에 비해 악성코드에 감염될 경우 그 피해규모가 상대적으로 크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전한 클라우드 환경을 위한 악성트래픽 동적 분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발생하는 악성트래픽을 판별하여 악성행위를 격리된 가상네트워크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및 분석한다. 또한, 분석된 결과를 추후 발생하는 악성트래픽의 판별과 분석에 반영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발생하는 신 변종 악성트래픽 탐지 및 대응을 목적으로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악성트래픽 분석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인 악성트래픽 동적 분석을 제공한다.

혼합화소를 이용한 IKONOS 영상의 감독분류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Supervised Classification about IKONOS Imagery using Mixed Pixels)

  • 이종신;김민규;박준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751-2756
    • /
    • 2012
  • 위성영상을 이용한 감독분류에서 훈련집단의 선택은 분류정확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훈련집단의 특징이 명확한 순수화소를 선택할 경우 전체 정확도가 높은 반면, 저해상도 영상이거나 식별이 불분명하여 혼합화소를 선택하면 정확도는 저하된다. 그러나 실제 영상분류를 수행할 때 순수화소만을 훈련집단으로 선택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혼합화소를 훈련집단으로 선택하였을 경우 적합한 분류기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수의 순수화소를 훈련집단으로 선정하여 분류정확도를 산출하고 같은 수의 혼합화소를 이용한 분류결과와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혼합화소를 사용한 분류기법들 중 SVM의 정확도가 가장 높았으며, 순수화소를 이용한 분류결과와도 가장 작은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훈련집단으로 혼합화소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건물 및 녹지혼합지역에서는 SVM을 이용한 영상분류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기(中氣)의 병인병기(病因病機) 및 치료(治療)에 관한 문헌고찰(文獻考察) (Refering to Sundry Records about Cause, Process and Treatment of Jungkijeung(Zhongqizheng))

  • 홍석;이동원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5-130
    • /
    • 2000
  • Object: Show the treatment about Jungkijeung (Zhongqizheng) by distinguishing Apoplexy(Zhongfeng), yujungfung(Leizhongfeng), gualjung(Juezheng), and observation of cause, process, quality. Method: Researched definition, cause, process, treatment and herb med through chinese & korean medical publication refered to Jungkijeung(Zhongqizheng) Result: 1. Jungkijeung(Zhongqizheng) is simmilar to Apoplexy(Zhongfeng) that spiritual shock occurred to syncope, dysarthria, trismus, quadriplegia. But the symptom of Jungkijeung(Zhongqizheng) is coldness, no-sputum, sink-pluse; that of Apoplexy(Zhongfeng) is warmness, much secretion, float-pulse. 2. Jungkijeung(Zhongqizheng) is mainly caused by the serious anger and the reverse movement of spints by the seven emotional factor. The process of Jungkijeung(Zhongqizheng) are "Fire and Fever(huore)" "Weatness and sputum(shitan)", and most importantly "Weakness of vital-qi(qixi)" 3. The treatment of Jungkijeung(Zhongqizheng) is adjustment and circulation of jiao. In early stage, don't use of Apoplexial- Med. 4. As following herb-med are used for Jungkijeung (Zhongqizheng). Sohaphang-won(Suhexiangyan) is 18 times; Palmisungi-san(Baweishunqisan) is 13 times; Kang-tang(Jiangtang) is 8 times: Mokhyangsungi san(Muxiangshunqisan) is 6 times. 5.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Baishu) is used for 40 times most frequently, Saussurea lappa CLARKE (Muxiang), Cyperus rotundus L (Xiangfuzi), Citrus unshiu MARCOR(Chenpi), Glycyrrhiza uralensis FISCH (Gancao), poria cocos WOLF (Furing), Panax ginseng NESS (Renshen) etc are orderly used. 6. Acupoints same as GV20(Baihui), LI4(Hegu), Liv2(Xingjian), 12 Junghyul(Jingxue) is used for acupunture. And CV8(Shenque), CV4(Guanyan) is used for moxibustion. Conclusion: As Jungkijeung(Zhangqizheng) is differed from Apoplexy(Zhongfeng), yujungfung(Leizhongfeng), gualjung(Juezheng), we must also cure Jungkijeung (Zhongqizheng) to the other disease. It is need to distinguishment Jungkijeung(Zhongqizheng) from neurotic, psychotic disease, though similar to conversation neurosis.

  • PDF

한국 사회복지 질적 연구: 동향과 의미 (A Study on the Social Welfare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 Trends and Implications)

  • 김인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1호
    • /
    • pp.275-300
    • /
    • 2007
  • 이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 질적 연구의 동향과 그 의미를 탐색한다. 연구결과, 한국사회복지 질적 연구는 "태동기"에 진입하고 있었고 그 지형적 특징은 후실증주의 혹은 발견주의의 압도적 열세, 연구물 산출에서의 지역간, 대학간의 현격한 편차, 학문후속세대의 질적 연구에 대한 급격한 관심 증가, 질적 연구의 리드 집단으로서 학문후속세대의 두각으로 드러났다. 한국 사회복지 질적 연구 동향의 중요한 축이라고 할 수 있는 산출된 연구물에 대한 비평에서는 해석적 패러다임의 주도, 절차주의에의 경도, 주제의 빈약성, 특정 질적 연구 전통에의 편향이라는 특징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한국 사회복지 질적 연구의 동향은 그것이 가진 한계에도 불구하고 우리 학문공동체에 다양한 함의를 시사하고 있었다. 그것은 실증주의라는 지배적 지식기반에 대한 비판의 의미와 함께 실증주의에 비견할 대항적 인식론, 대항적 담론을 형성할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비록 서구와 같이 격렬한 "논쟁"의 방식으로 패러다임의 다원화를 위한 노력이 가시화되고 있지는 않지만 "저변확대"의 형태로 패러다임의 다원화를 촉진할 수 있는 토대를 형성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과론적이고 시장중심적인 사회복지 현상에 대한 사유방식을 비인과적이고 덜 시장중심적인 내러티브적 사유방식의 확산이라는 의미를 내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