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wndrag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초

단독말뚝과 군말뚝의 Downdrag (Downdrag on a Single Pile and on Pile Groups)

  • 정상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259-268
    • /
    • 1993
  • 이론적 해석과 수치 해석을 통하여 단독말뚝과 군말뚝에서 발생하는 downdrag 하중을 연구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룹 안에서 개개 말뚝들의 downdrag 하중 크기와 분포 정도를 파악하는데 있다. 따라서 단독말뚝과 군말뚝에서 발생하는 downdrag을 수치 해석하였으며 단독말뚝의 경우에 있어서는 비교적 정확한 downdrag 해석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그룹안의 개개 말뚝들은 단독말뚝의 경우에서 발생하는 downdrag하중보다 훨씬 작은 하중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군말뚝의 간격: 직경의 비가 2.5에서 5.0까지 변하는 9-25개 군말뚝의 downdrag 하중을 고려한 설계시 추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 하였다.

  • PDF

Downdrag에 의한 군말뚝의 상호작용계수 (Vertical Interaction Factors of Pile Groups due to Downdrag)

  • 정상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343-354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군말뚝에서 말뚝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다른 downdrag 하중분포를 발생시키는 그룹효과를 이론적인 해석과 수치해석을 통하여 연구 검토하였다. 3차원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으로 말뚝 간격과 개수에 따른 군말뚝에서의 상호작용계수를 산정하였다. 연구결과 그룹안의 개개 말뚝들은 단독말뚝에 비해서 말뚝 간격에 따라 현저한 상호작용계수의 변화를 보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에 의한 그룹안에서 말뚝들의 위치에 따른 downdrag 하중산정을 계산예를 통하여 그 외 여러 해석적인 방법들과 비교 검토하였다.

  • PDF

부마찰력의 계산적 예측방법 (Computational Predictions of Pile Downdrag)

  • 김명모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15-123
    • /
    • 1989
  • 종래의 탄성 고체법을 이용하여 말뚝의 부마찰력을 산정하는 전산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한계 상대 변위 개념을 도입하여 이 전산프로그램의 수정을 시도하였다. 끝으로 한계 상대변위로서 말뚝과 흙사이의 미끄러짐 발생 여부를 결정하고 모아-쿨롱의 파괴 방정식을 이용하여 부마찰력을 산정하는 단순 전이함수법을 개발하였다. 이 세가지 방법에 의한 결과는 모두 현장 측정치와 잘 일치하였다. 그러나, 이들이 원심력을 이용한 모형실험 결과를 예측할 때에는 각기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종합적으로 보면, 이 논문에서 제안한 단순전이 함수법이 말뚝 부마찰력 산정시 그 결과의 정확성과 계산상의 효율성들을 고려할 때 가장 능률적이라고 판단된다.

  • PDF

부주변 마찰력과 그 감소방법의 평가 (Estimation and Reduction of Downdrag Force)

  • 임종석;김명모;정인준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3권1호
    • /
    • pp.39-52
    • /
    • 1987
  • 말뚝에 작용하는 부주변마찰력의 양상과 감소방법을 일련의 모형실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감소 방법으로는 역청재와 확대선단부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점성토로 이루어진 모형지반에서 지름이 3.2cm인 모형강관말뚝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부주변마찰력으로 인한 하향력을 압력계로 측정하였다. 특히 여러가지 경우에 대한 확대선단부의 감소효과는 인발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보통말뚝인 경우에 부주변마찰력은 깊이에 따라 0.25(유효상재압)로 나타나며 말뚝과 주변 흙과의 상대변위가 아주 작아도 부주변마찰력은 충분히 발휘된다. 말뚝에 역청재를 도포하여 부주변마찰력을 50%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 확대선단부의 사용도 ㅂ주 변마찰력의 감소에 효과적이었으며, 말뚝의 지름에 대한 착러설단부의 지름인 커지거나 주변의 강도가 커질수록 그 효과는 커진다. 역청재와 확대선단부를 종시에 사용하던 약 90%의 감소효과가 있다.

  • PDF

LRFD설계법에 의한 부마찰력이 작용하는 말뚝의 안정성 평가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Stability Evaluation of Piles for Negative Skin Eviction by the LRFD Approach)

  • 조천환;김웅규;이우철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123-131
    • /
    • 2005
  •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해안 매립지역에서의 건설공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경우 말뚝기초에서는 부마찰력과 관련된 안정성 평가가 중요한 설계요소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뚝의 부마찰력 문제는 많은 지반 기술자들에게 충분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 이유는 부마찰력이 말뚝의 침하와 관련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설계기준들은 안전율에 의한 말뚝의 지지력 산정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LRFD 설계법은 말뚝의 지지력과 관련된 극한한계상태해석 외에 침하량과 관련된 사용성해석을 고려하므로 전통적인 국내 설계기준을 보완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마찰력이 작용하는 말뚝에서 LRFD 설계기법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전통적인 설계기법과 비교하여 보았다. 또한, 말뚝 재하시험을 통한 실제 사례분석을 통하여 각 설계기법의 적용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부마찰력이 작용하는 말뚝의 안정성 분석 시 접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였다.

LRFD 설계법에 의한 부마찰력이 작용하는 말뚝의 안정성 평가 (Stability Evaluation of Piles under Negative Skin Friction by the LRFD Approach)

  • 조천환;김웅규;이우철;강인철;김영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24
    • /
    • 2005
  • Recently construction activities increase in reclaimed onshore areas. It is therefore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for the design of pile foundation with problems in terms of settlements due to soft grounds. Nevertheless the design of piles for negative skin friction(or downdrag forces) is probably poorly understood by many engineers. It is mainly because the most of design specification give a way to design pile foundation in bearing capacity aspect although the negative skin friction is related to settlement(downdrag). Under LRFD(load resistance factor design) approach it is to separately consider ultimate limit state and serviceability limit state. This paper discusses LRFD approach to the design of piles for negative skin friction and compares this approach to traditional design approach. And also a case history is analyzed in that point of view.

  • PDF

매립장 사면에 설치된 토목섬유의 설계 인장강도 산정 (Design Forces Acting on Geosynthetics in Landfills)

  • 정문경;김강석;우제윤;류찬희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07-414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measured deformation of geomembrane installed on slopes of a landfill. The layout of geosynthetics installed on landfill slopes as required by regulations is composed of, in typical, geocomposite, geomembrane, geosynthetic clay liner in turn from the slope. An effort was made to better understand the sources of external forces acting on geosynthetics and their interactions. The results of a field observation indicated that tensile stresses induced on geomebrane were far less in magnitude than predicted by the design method employing mass equilibrium of waste. This was mainly because external forces acting on slopes were not transferred from geocomposite to underlying geomembrane. A simple, but rather rational method for assessing the stability of geosynthetics against tensile stresses was proposed. This method is based on a hypothesis that external forces acting on geosynthetics are the results of downdrag of waste during waste compaction.

  • PDF

Mechanics of kinking and buckling of plastic board drains

  • Madhav, Madhira R.;Park, Yeong Mog;Miura, Norihiko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3권5호
    • /
    • pp.429-443
    • /
    • 1995
  • The deformational response of plastic board drains installed to accelerate consolidation of soft soils, is examined as a problem of downdrag. The drain is modelled as a beam-column in which the axial load increases nonlinearly with depth. The soil response is represented by the Winkler medium whose coefficient of subgrade modulus increases linearly with depth. The governing equations for the drain-soil system are derived and solved as an eigenvalue problem. The critical buckling loads and the shape of the drain are obtained as functions of the normalized subgrade modulus of the soil at the top, the parameters signifying the variation of axial load along the length of the drain and the increase of subgrade modulus with depth. The derived deformed shapes of the drain are consistent with the observed o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