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ving aptitude test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7초

운전능력에 연관된 인적특성의 연령 임계점 연구 (Identification of Age Threshold for Driving Performance)

  • 김태호;고준호;원제무;허억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71-78
    • /
    • 2008
  • This study aims to identity the age group where driving performance significantly decrease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s driver aptitude tests in 2006. The test includes following six driving simulator-based tests: estimation of moving objects' speed, estimation of stopping distance, three tests for drivers' multi-task ability, and kinetic depth perception. These six test results were utilize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age threshold applying the CART technique, suggesting driving ability significantly be decreased over 50s. This finding was confirmed by two analyses using the accident history data containing the information of accident and non-accident drivers and the degree of accident seve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accident prevention efforts should be enhanced over a wider range of age group than the current practice where the age of 65 is generally applied for the threshold dividing senior and non-senior driver groups.

지하철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기관사의 적성관리 연구 (Study on aptitude test on engineers for preventing subway safety accidents)

  • 이태식;이꽃님;김장운;김철수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93-1198
    • /
    • 2007
  • The total number of passengers for Line $1{\sim}4$ operated by Seoul Metro among subways that act as foot of Seoul residents was 1.43116 billion passengers in 2006 and average of 3.921 million passengers per day. The results of analysis on safety accidents that occurred recently in subways show that various complaints on subways were reduced through the expansion of safety related facilities and training but accidents caused by negligent handling by employees including engineers are increasing on the contrary. At present time where various man-made accidents break out such as wrong handling and habits of engineers in charge of driving trains and momentary mistakes, there needs effort for active management and improvement to prevent and minimize accidents. Therefore, this study has drawn out problems through surveys on aptitude test system to engineers and compared with case studies in overseas. Thus, it attempted to minimize safety accidents in subways, and derived methods for improving safety management by focusing on improving the current aptitude test system for nurturing engineers suitable to handle railway driving in the future.

  • PDF

A Study on the New Aptitude Test Items for the Safety Critical Workers: Focused on Stress Tolerance under Emergency and Solitary Driving Situation

  • Shin, Tack-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Railway
    • /
    • 제5권1호
    • /
    • pp.48-54
    • /
    • 201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and validity of introduction of stress-concerned aptitude items for the safety critical workers, corresponding to the radical environmental change in railway industry. To attain this purpose, the author performed a brief literature survey, and scrutinized the western practice in detail. Then, the necessity of introduction of stress-related aptitude items was suggested, based on the statistics resulted from a survey which has been once performed for experts and drivers. The final conclusion is that the present selection system through which the safety critical workers are being staffed, without any rigorous screening mechanisms cannot but have some limitations. So, an overall restructuring for aptitude management system needs to be done in order for us to advance to the position of upper-class railway country.

운수종사자시스템을 활용한 사업용 고령운전자의 위험성 분석 (Analysis of Commercial Older Drivers Riskiness using Transport Workers Management System)

  • 허정철;이철기;전준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6-2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운수종사자시스템과 운행기록분석시스템을 활용하여 시내버스 고령운전자 운전적성정밀검사의 신규검사결과, 사고 및 벌점현황, 운행기록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시내버스 고령운전자를 사고수가 많은 관심대상 운수회사와 관리가 잘 되고 있는 교통안전 우수회사와 비교했을 경우 운전적성정밀검사의 결과는 비슷하였으나 최근 5년 동안 운행하면서 발생한 총 벌점은 상당한 차이를 보였고 사고의 경우 평균 중상자수와 경상자의 수도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운행 100km당 위험운전행동 횟수를 비교해보면 우수회사의 고령운전자는 다른 고령운전자와 비고령운전자와 비교해서도 위험운전행동 횟수가 상당히 적은데 잘못된 운전습관의 교정결과에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시내버스 운전자의 고령화에 따른 교통사고 저감대책 마련에 관한 실증적 연구 (Measures of Reducing Traffic Accidents by Aging Bus Drivers)

  • 최재원;정헌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3D호
    • /
    • pp.391-401
    • /
    • 2011
  •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은 시내버스 운전자의 신분안정과 근무환경, 복지의 향상을 가져왔다. 이러한 혜택은 시내버스 운전자의 이직을 방지하여 시내버스 운전자들의 연령이 증가하고 있다.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후 시내버스 교통사고 중 사망사고가 증가하는 등의 부작용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시내버스 준공영제로 인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시내버스 교통사고의 저감대책 마련 시 운전자의 연령 증가와 이로 인한 고령운전자의 운전행동 특성을 반영한 교통사고 저감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최근 부각되고 있다. 기존의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저감 대책 마련은 단순한 정책방향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제교통사고 야기자인 고령운전자와 비고령운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함께 운전정밀적성검사를 통하여 운전행동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고령운전자의 운전행동특성을 정확하게 알 수 있었다. 또한, 구조방정식을 통한 고령운전자 행동 특성 분석모형 결과를 통해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저감대책을 마련, 제시 할 수 있었다.

기능시험장을 활용한 고령운전자 운전능력 평가방법 개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Method for Older Drivers Driving Ability Using Driving Course Test Site)

  • 김대원;황순천;이동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41-158
    • /
    • 2022
  • 고령운전자를 대상으로 하는 운전적성검사 체계는 국내에 다수 마련되어 있으나, 실차주행을 통해 실질적인 운전능력을 평가하는 항목 및 체계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 존재하는 실차주행 평가방식인 기능시험 평가항목이 고령·일반 운전자의 운전능력 차이를 설명하는지 확인하고, 장내기능시험장을 활용하여 별도 평가항목을 개발하고자 실차주행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운전자별 주행행태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연령 및 신체·인지 능력에 따른 고령운전자의 운전능력 관련 통계적 유의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기능시험 평가항목보다 별도 개발한 평가항목이 운전능력에 대해 더 높은 설명력을 갖추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실차주행을 통한 실질적인 고령운전자 운전능력 평가방법 마련 및 시스템 개발에 대한 방향성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고령운전자 면허관리를 위한 교통사고발생 판별모형 개발 (Discernment Model of Traffic Accident for an Age-old Driver's License Management)

  • 박준태;이수범;이수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91-97
    • /
    • 2011
  • The weight of elderly people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Statistics show that the percentage of the elderly people in Korea was 3.1% in 1970; 3.8% in 1980; 5.1% in 1990, and 7.2% in 2000. Based on this trend, thus,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could be estimated to be 14% of the whole Korean population in 2018. This reveals that Korea is entering a super-aging society with remarkable fast pace. In such a change, the statistics related to elderly people driving license and the occurrence of traffic accidents are showing a noticeable numerical value.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 fatality in Korea ranks the highest value in OECD Countries. However, the research on old drivers in the nation is going on partially centering on system improvement and management scheme. Thus, first of all, researches about the linkage & characteristics between the driving behavior of old drivers and traffic accident should be implemented, in order properly to draw system improvement and management scheme for the old drivers. Therefore, the focus of this study is the influence model for discerning the severity of the age-old-caused traffic accidents by inquiring into the relation between the Driving Aptitude Test items that make it possible to measure their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influential factors by age group on the basis of the data on traffic accidents. The analysis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uggesting the behavioral research and countermeasure for traffic safety and its management for old driver in preparation for the aging society.

고령운전자 운전 및 신체특성을 반영한 교통사고 분석 연구 (Analysis of Elderly Drivers' Accident Models Considering Operation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 임삼진;박준태;김영일;김태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37-46
    • /
    • 2012
  • 65세 이상 고령운전자의 경우 지난 10년 새 교통사고건수는 3만 7,000건에서 27만 4,000건으로 무려 640.5% 증가되었다. 이는 전체사고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2%에서 3.1배 증가한 3.7%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교통안전 관련기관에서는 여러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무엇보다 고령운전자의 행동특성 및 신체특성에 대한 심층연구를 통해 안전대책과 연계하는 방안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운전자의 행동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운전자 적성검사(Driving Aptitude) 항목과 교통사고 자료를 토대로 고령운전자 운전특성과 사고특성을 연결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영향모형 개발을 위해 활용한 방법론은 영과잉 회귀모형을 적용하였고, ZIP 회귀모형과 ZINB 회귀모형에 대하여 베이지안 추론을 이용한 사고예측 모형을 선택하였다. AAE분석결과 ZIP 회귀모형이 적합하며, 3가지 변수속도예측, 주의전환, 인지능력이 고령자사고와 영향관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의 고령자 생체능력 조사로 안전한 운전면허 적성검사 강화 연령 추정 (Survey and Analysis of Vitality of the Senior to Safe Driving License in Korea)

  • 이준;방한나;이상조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622-635
    • /
    • 2022
  • 연구목적: 우리나라 인구구조의 변화로 고령자 운전자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초고령사회로 전환되어 향후 더욱 많은 고령자가 운전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고령자의 교통사고 증가에 따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현실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령에 따른 종합적 신체변화를 분석하고, 운전면허의 정밀 적성검사 연령을 추정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 연령별 운전자의 신체 기능 저하의 의학적 특징을 면밀히 분석해 보았는데 신체적인 면과 인지적인 면에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전반적으로 기능이 저하됨을 보았다. 그 중에서도 다양한 부분들이 70대 이후에 급격하게 떨어짐을 보이는데, 이는 의학적 측면에서 70세 이후를 고령자라 지칭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며, 또한 우리나라 고령자의 안전운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모색할 때 70세 이상을 기준으로 보고 수립해가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연구결과: 인지기능 및 판단능력의 연령대별 변화추이를 볼 때 70세 이후에는 신체적 능력이 모두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운전능력에 필요한 시각, 청각, 신체적 기능은 70세 이후에는 극히 일부만이 운전이 가능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운전면허 제도와 적성검사 등의 정밀한 분석이 70세 부터는 더욱 신중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운전자의 운전능력을 생체능력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고령운전에 중에서 차량운전행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 연령대를 찾고자 하였다. 향후 고령운전자를 위한 정책과 신체적 차이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초기·중기·후기 고령운전자의 사망자 발생위험도 분석과 시사점 (Study on Fatality Risk of Senior Driver with Aging Classification)

  • 최재성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48-161
    • /
    • 2018
  • A traffic fatality by young people marked average annual decrease of 4.5% since 2011. Meanwhile, a traffic fatality by senior over 65 years old marked average annual increase of 7.9% for the last five years which means that the annual increase of traffic fatality by senior will be a serious problem. This study started questioning that senior drivers over 65 years old did not retain the same causal factor of fatal traffic accidents and thus extensively analyzed a risk of it by age group quantitatively, dividing the senior driver group into the early, middle and latter stages. Depending on the aging level, the risk of traffic fatality showed a wide difference in seven different types of traffic accidents generally, and happened to increase with latter and middle parts of the senior driver more than the early par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four policy suggestions: 1) The senior driver need to be offered customized driving educations and the improvement of road environment is also recommended. 2) Political assistance is needed to support and guide a safety related technology installation for the new or existing car. 3) Renewal of driving license and an aptitude test(physical examination, cognitive test) for drivers over 75 years old should take in a less than 3 years and an additional road test is needed as occasion demands. 4) Like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development and extension of customized treatment guidebook for medical teams who examine senior drivers is needed and establishment of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system that a supervisor of driving license renewal can impose safety restriction and American anonymity reporting system is considered to institutionalize in the medium to longer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