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ervicescap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1초

인터넷 패션쇼핑몰의 e-서비스스케이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servicescape and Positive Emotion on Purchase Intention for Fashion Products)

  • 이채연;박은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7-16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d test a conceptual model of purchase intentions, positive emotion, and e-servicescape that is defined as the online environment factors that exist during service delivery. Survey research method was used to gather data regarding consumers' perceptions of e-servicescape. Surveys were administered to 681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purchasing fashion products on the Internet. The results showed that e-servicescapes perceived by fashion consumers were composed of three dimensions: (1) Aesthetic appeal, (2) Ambient conditions, and (3) Layout & functionality. These dimensions of e-servicescape influenced consumers to lead positive emotions and purchase intentions. Additionally, positive emotions constituted a key variable for the purchase intention of fashion products during online exchange. The study revealed that consumers' interpretations of online environments exerted a powerful influence over positive emotion and purchase intentions. Also, it strongly endorsed the view that the purchase intentions of customers were linked to the extent to which they feel positive emotions by the e-service provider.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how consumers' interpretations of e-servicescape affect their subsequent positive emotions and ultimately their intentions to purcha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lso have numerous implications for both services managers and internet developers related to fashion products.

The Effect of e-scape on Internet Shopper's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Responses

  • Kim, Sang-Hee;Koh, Joon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 /
    • pp.690-698
    • /
    • 2007
  • By investigating Internet shopping malls from a viewpoint ofenvironmental psychology, this study tries to expand the subject of servicescape into the Internet rather than to confine it to physical space. This study empirically validates the effect of e-servicescape (hereinafter e-scape) on customers'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s which subsequently can lead to customers' behaviors. An analysis of 490 questionnaires found that e-scape influences the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s, ultimately triggering customers' behaviors. We also found that the effects of e-scape on customers' behavior may be mediated by customers' internal respons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servicescape management is important on the Internet just as it is in physical space. Concepts such as e-scape management can be one of the effective strategies to make an Internet shopping mall distinguishable from other Internet shopping malls.

  • PDF

e-서비스스케이프가 웹사이트 신뢰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servicescape on Website Trust and Repurchase Intention)

  • 신진희;정용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490-504
    • /
    • 2021
  • 1인 가구의 증가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 다양한 신제품의 출현, 가격 비교 경쟁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온라인 시장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기업들은 온라인 환경 변화에 적응하고, 경쟁력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 이러한 환경에서 기업이 온라인 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과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웹사이트에 대한 소비자 인식의 중요성을 고려하고 소비자의 내적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 환경을 통하여 경쟁업체와의 차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심미적, 기능적, 프라이버시, 상호작용적 요인을 e-서비스스케이프 구성요인으로 제시하여 e-서비스스케이프가 웹사이트 신뢰, 브랜드태도,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데이터 분석에서는 온라인 쇼핑 경험이 있는 일반인 48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하였다. 설문방식은 문항별로 7점 리커트(likert)의 척도로 하였고, SPSS 24.0과 AMOS 25.0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e-서비스스케이프에서 심미적, 프라이버시 요인이 웹사이트 신뢰와 브랜드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의 서비스 스케이프가 소비자의 인지적, 감정적, 행동 의욕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Servicescape on the Customers' Cognitive, Affective, and Conative Attitudes in Franchise Coffee Shops)

  • 김동진;이슬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32-24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매 비즈니스 환경에서 서비스 스케이프가 소비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와 관련 연구를 토대로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의 서비스 스케이프가 소비자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 의욕적 태도(즉, 브랜드 이미지, 고객 만족도,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자료 수집은 대구를 포함한 경북 2개 도시의 성인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의 서비스 스케이프가 소비자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 의욕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 스케이프가 정서적 태도 즉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이 소비자 태도의 세 가지 유형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의 서비스 스케이프를 활용한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미국 컨벤션뷰로의 웹사이트 서비스 품질결정요인 (DETERMINANTS OF US CVB'S WEBSITE SERVICE QUALITY)

  • 김민숙;방호열
    • 통상정보연구
    • /
    • 제10권4호
    • /
    • pp.125-151
    • /
    • 2008
  • Website service quality is widely accepted as one of the key determinants of online business success. Several studies identified key factors that determine the website service quality factors appropriate for online business environments. A convention and visitors bureau (CVB) website is a service portal that delivers information online about a destination so users can develop an overall image of the location. CVBs struggle to deliver positive destination images because the competition among destinations to host conventions is intense. In spite of the important role of CVBs and the beneficial spillover effect of CVBs, there are few studies available reporting on the unique service qualities of a CVB websit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termining factors that are appropriate for CVB websites from the meeting planners' perspective. The research questions arc: What are the determining factors of service quality of a CVB website? Do the determining factors of CVB website service quality positively influence meeting planners' satisfaction? The new conceptual framework was developed from a variety of destination marketing and Internet marketing concepts: e-servicescape management, web community network, Internet service encounter management, and online system quality.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three of the four factors, that is, e-servicescape, web community network, and online system quality are important determinants in evaluating CVB website service quality. The findings also show that three determinants have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meeting planners' satisfact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provide meaningful advice for CVB website quality management. To enhance the CVB website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level of meeting planners, these three determinants' should be considered of the utmost strategic importance and priority.

  • PDF

e-서비스스케이프가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servicescape o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s)

  • 신진희;정용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815-828
    • /
    • 2013
  • 오늘날 온라인 쇼핑몰 기업들은 이용고객의 다양한 필요와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새로운 상품 및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새로운 웹 사이트의 출현으로 인해 업체 간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온라인 쇼핑몰업체들은 이용고객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용고객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장기적으로 유지하여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를 높여줌으로써, 애호고객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심미적 매력, 공간 기능성, 결제 안정성, 머천다이징 4개의 차원으로 압축된 온라인 물리적 환경으로서의 e-servicescape의 개념적 모델을 제시하고, 이 개념과 신뢰 및 구매의도의 관계를 논의하기 위함이다. 또한 기존의 온라인 연구를 물리적 환경으로 개발하고 확대하기 위한 것에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첫 번째 공헌은 첫째, 온라인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이론적 종합과 조작적 정의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신뢰가 온라인 거래에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발견한 것에 있다. 셋째, 소비자의 구매의도의 선행요인에 대한 통찰에 대한 공헌이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는 신뢰와 구매의도에 대해 상당한 영향을 가하고 있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Antecedents of Online Shopping Success: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 Kang, Young Sik;Kim, Jeoungkun;Min, Jinyoung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6권3호
    • /
    • pp.393-426
    • /
    • 2016
  • The qualities of the technological artifact of online shopping websites and the overall support delivered by the service provider through the website are generally agreed to be crucial elements in creat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However, a lack of consensus exists on how those qualities are related to each other, what they consist of, and how they can be conceptualized.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and using a servicescape framework as a theoretical lens, we divide online shopping website qualities into information and system qualities and argue that both factors affect service quality. We conceptualize each of the three types of quality as a second-order formative construct comprising its most salient quality dimensions: information quality consisting of reliability, understandability, currency, and relevance; system quality consisting of usability, availability, and responsiveness; and service quality consisting of efficiency and fulfillment. Our model of how information, system, and service qualities are related to one another and to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is then tested empirically with a data set of 570 online shopping customers. Our integrated model reconciles the seemingly contradictory conceptualizations of previous researchers and provides an effective way to create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패밀리 레스토랑에서의 브랜드 증거가 감정, 브랜드 만족 및 고객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rand Evidence on Emotion, Brand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in Family Restaurants)

  • 전귀연;하동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06-218
    • /
    • 2009
  • The study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evidence (e.g., brand name, price/value for money, servicescape, core service, employee service and self-image congruence) and positive/negative emotion and brand satisfaction, and between positive/negative emotion and brand satisfaction in the family restaurant setting. Also, the relationship of positive/negative emotion and brand satisfaction with customer loyalty were assessed. Customers who used five brands of family restaurant in Daegu and Pusan during October of 2008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s. Brand evid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positive emotion and brand satisfaction, and was negatively related to negative emotion. Positive emo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brand satisfaction and negative emo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brand satisfaction. Brand satisfaction was positively relatively to customer loyalty. The results indicate that management of family restaurants should focus on brand evidence as a means of increasing profits and sales volume.

중국 모바일 앱 서비스 만족에 관한연구 -유료와 무료 모바일 서비스의 비교- (A study on the service satisfaction of Chinese mobile Apps -Comparing paid and free services-)

  • 진영;이상준;이경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127-137
    • /
    • 2017
  • 스마트폰은 전화 통화와 정보 교환 수준의 장치에서 종합적 문화서비스 플랫폼으로 변화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모바일 앱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스마트 비즈니스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앱 서비스의 결과품질, 유동적 상호작용품질, 서비스스케이프, 비용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특히 서비스가 유료 혹은 무료 인가에 따른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중국 모바일 앱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모바일 앱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에 관한 설문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또한, 유료와 무료 모바일 앱 서비스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고객이 인지하는 모바일 앱 서비스의 결과품질, 서비스 스케이프 품질과 비용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객이 인지하는 모바일 앱 서비스의 비용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무료모바일 앱 서비스가 유료 모바일 앱 서비스보다 더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논문은 유료 모바일 앱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무료에서 유료로 모바일 앱 서비스를 전환하려는 모바일 앱 서비스 제공회사에게 수익창출의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