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logical anthropology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Evolutionary Model of Depression as an Adaptation for Blocked Social Mobility

  • Park, Hanson;Pak, Sunyoung
    • 생물정신의학
    • /
    • 제29권1호
    • /
    • pp.1-8
    • /
    • 2022
  • Objectives In regard to the social competition hypothesis, depression is viewed as an involuntary defeat strategy. A previous study has demonstrated that adaptation in microenvironments can result in a wide range of behavioural patterns including defense activation disorders. Using a simulation model with evolutionary ecological agents, we explore how the fitness of various defence activation traits has changed over time in different environments with high and low social mobility. Methods The Evolutionary Ecological Model of Defence Activation Disorder, which is based on the Marginal Value Theorem, was used to examine changes in relative fitness for individuals with defensive activation disorders after adjusting for social mobility. Results Our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mobility on fitness by varying the d-values, a measure of depression in the model. With a decline in social mobility, the level of fitness of individuals with high levels of defense activation decreased. We gained insight into the evolutionary influence of varying levels of social mobility on individuals' degrees of depression. In the context of a highly stratified society, the results support a mismatch hypothesis which states that high levels of defence are detrimental. Conclusions Despite the fact that niche specialization in habitats composed of multiple microenvironments can result in diverse levels of defensive activation being evolutionary strategies for stability, decreased social mobility may lead to a decrease in fitness of individuals with highly activated defence modules. There may be a reason behind the epidemic of depression in modern society.

숲속에 사는 사람, 숲밖에 사는 사람 : 생태인류학적(生態人類學的) 관점(觀點) (People within the Forest, People outside the Forest : A View from Ecological Anthropology)

  • 전경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3호
    • /
    • pp.330-342
    • /
    • 1990
  • One might have a retrosp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est and human being from the viewpoint of ecological perspective. It is no doubt that most of the fossil humans should have lived on the forest and the latter provided foods and shelters for humans from their beginning stages, Since the so-called agricultural revolution, humans have extensively started to exploit the forest which had beer, their cradle. The industrial revolution has created another situation against the forest in terms of the quality of ecosystem. These two revolutions have set up the so-called civilization which seems to have been based on the sacrificial oblation of the forest. The cradle for human being has been kept exterminating for the shake of "economic development and miracle." This might be a synoptic history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forest and human beings in a sense. designates the behavioral aspects of human being against the forest and people consider the forest only as exploitable resource in this context, and the latter means that people live on the forest and strive to adapt the order of forest ecosystem. The resourcism has developed a strategy of colonialism to exploit the forest and provided a winner's position for the human beings against the forest, This idea and behavioral perspective seems to have started the backfire against the exploiter who is the owner of the civilization. However, there are different philosophies and ideas to 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est and human beings. People within the forest who are mostly considered as "primitives" still keep their idea of the ontology of the forest. There is a theoretical assumption of the "socionatural system" to look into the ecosystem. The forest could be viewed in the above frame of analysis. There are five variables : environment, resource, technology, organization, and ideology. Ideological aspect of the forest can be explained in the context of belief systems. Forest has a meaning of religion and rituals and people within the forest should admire it in anyway of religious reasons. This aspect of the forest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environmental aspect of the forest. People within the forest acknowledge and practice the above idea. People outside the forest have lost the idea, however, at the cost of acquiring the civilization. They have expelled themselves from the forest and divided the socionatural system of the forest by way of colonialism. The efforts like agroforestry and social forestry would be strategies for recovering the idea of ontology of the forest as well as the sense of community including the forest and human being. People within the forest will be a prospective model for the future socionatural system of the forest for the people outside the forest. At this point, an ecological anthropologist can work with the forest specialists.

  • PDF

출산 의사 결정의 진화의학: 정신-사회-생태적 설명 (The Evolutionary Medicine of Birth Decision: Psycho-Socio-Ecological Explanations)

  • 유지현;구자인;박한선
    • 정신신체의학
    • /
    • 제30권2호
    • /
    • pp.99-111
    • /
    • 2022
  • 번식은 진화의 핵심 요인이면서, 동시에 의학의 중요한 관심사다. 특히 생물학적 적합도 최대화에 반하는 현대 산업 사회의 낮은 출산율에 대해 진화학자들이 다양한 이론과 가설을 제안했다. 출산은 번식 적합도에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출산 행동 및 의도와 관련된 다양한 심리적 모듈이 진화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적 욕구, 사회적 지위 욕구, 양육 욕구, 출산 욕구(또는 아기 갈망)등이 번식과 관련된 진화 심리적 모듈로 제안되었다. 과거 진화적 적응 환경과 현대 산업 사회 환경의 불일치로 인해 과거에는 적응적이었던 심리적 모듈이 지금은 부적응적으로 발현될 수도 있다. 현대 사회에서 출산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진화생태학적 요인은 크게 개인의 성격적 요인, 유년기 생애사적 경험, 가임기 사회생태적 경험이 있다. 본 연구는 출산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진화정신의학적 요인에 관한 가설과 모델을 고찰하고, 현대 산업 사회의 저출산 현상과 관련된 심리적 요인을 진화의학적 관점에서, 정신적, 사회적, 생태적 요인을 중심으로 개괄한다.

정신의학의 진화생태학적 연구 시 고려사항 (Considerations about Evolutionary Ecological Study of Psychiatry)

  • 박한선
    • 인지과학
    • /
    • 제30권4호
    • /
    • pp.199-217
    • /
    • 2019
  • 정신장애에 관한 진화 연구는 다른 의학 연구에 비해 어렵다. 정신장애는 신체 질병에 비해 근연원인(proximate causation)이 불명확하고, 다양한 요인이 관여하며, 원인과 결과를 구분하기 어렵고,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난점에도 불구하고 우선 환원 모델을 이용하여 정신장애에 관한 진화 가설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데이터를 실증해나가는 방법이 가능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입장에서 생태학적 접근 방법을 진화정신의학 연구에 적용할 때 필요한 몇 가지 개념 정의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인간의 정신병리를 진화적으로 탐구할 때 적합한 설명의 수준, 연구 대상의 범위를 논의하고, 행동과 기능, 역기능의 개념 정의, 연구 대상으로서 적절한 선택의 층위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중국 내몽고 초원의 위기와 사막화 논쟁 -초원목계(草原牧鷄)가 등장하기까지- (Crisis Construction in the Inner Mongolia Grassland and the Controversy of Desertification: The Emergence of Grassland Chicken Farming)

  • 이선화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836-852
    • /
    • 2012
  • 이 연구는 중국 내몽고에서의 사막화 방지를 위한 제안과 실천의 변화과정을 기술 분석하였다. 사막화라는 생태문제는 자연적인 것만으로도, 사회적인 것만으로도 환원될 수 없는 다양한 인간과 비인간 행위자들의 구성과정의 결과물이다. 사막화 방지 제안들 속에는 사막화를 정의하기 위해 관계를 맺고 있는 여러 행위자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 행위자들의 차이 그리고 이들의 관계의 차이를 통해서 초원의 위기는 달리 구성되어 왔다. 조림사업, 보호구역, 휴목 금목, 젖소의 도입 등 기존에 내몽고에서 이루어졌던 사막화 방지 제안들은 각기 다른 행위자들의 이해관계를 조율하면서 사막화 방지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였지만 한계가 지적되었다. 이러한 위기 구성의 역사에서 가장 마지막에 등장한 초원목계 프로젝트는 '닭'이라는 새로운 행위자의 매개를 통해, 몽고족 목축민의 경제적 위기를 해결하지 못했던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는 혁신적인 시도가 되었다.

  • PDF

금강 철새도래지 생태관광객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rminants of the Ecotourist's Satisfaction with Geumgang Birdwatching Destination)

  • 문창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60-470
    • /
    • 2009
  • 본 연구는 금강 철새도래지 생태관광객의 인구통계적인 특성별로 만족도의 차이를 규명하고, 관광객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및 만족도 예측모형을 도출함으로써, 바람직한 생태관광지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연령층과 학력수준에 따라 관광객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모든 생태관광지 만족도 요인들이 종합적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지식 정보성' 요인과 '체험성' 요인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태관광객 만족도의 극대화를 위해, 관광객의 연령층과 학력수준에 따른 개별 집단의 수요 특성 및 만족도 수준을 고려한 기초조사가 선행되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태관광 세분시장에 대한 차별적이고 구체적인 생태관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관광객의 지적인 요구수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생태학습 및 자연체험 등 교육적으로 유익하고 학습 지향적인 다양한 생태체험프로그램과 생태탐방코스를 더욱 확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상서(湘西) 토가족(土家族) 마고사(毛古斯) 무용 원시숭배(原始崇拜)의 해석 (Interpretation of Primitive Worship of Maogusi Dance of Xiangxi Tujia Nationality)

  • 쭈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81-389
    • /
    • 2021
  • 토가족(土家族) 모고사(毛古斯) 춤은 상서(湘西) 토가족의 오래된 하나의 의식무(儀式舞)이다. 이는 인물, 대화, 단순한 스토리와 일정한 연출의 격식을 갖춘 일종의 원시적 춤이다. 또한 이는 중국 무용계와 연극계 전문가들로부터 중국 무용, 연극의 가장 원초적이고 살아있는 화석으로 인정받고 있다. 본 고는 철학, 종교학, 인류학 및 민속학 등 다각도에서 모고사(毛古斯) 춤의 원시 숭배 표상 뒤에 담긴 상고 시대에 남긴 여러 가지 정신 기호와 문화적 함의에 대해 해독하도록 하고자 한다. 이 여러 가지 정신 기호는 즉 자연 숭배, 토템 숭배, 조상 숭배와 생식 숭배이다. 그 강렬한 원시 숭배의식은 모구스춤의 공연과정의 시종에 내포되어 있으며, 그 행위와 정신 이념은 결코 미신과 봉건적인 행위가 아니라, 토가족의 풍부한 역사문화, 풍속과 정신내용을 진실하게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원시적 생태의식이 살아서 번성해온 진정한 원인을 탐구하고 모고사(毛古斯) 춤에 덮인 베일을 벗기려 함으로써 우리에게는 이 두터운 역사를 담아낸 예술 형식의 깊은 내면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