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shell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32초

닭의 산란연령에 따른 자궁내막조직의 변화 및 난각 관련 유전자의 발현양상 (Histological Change of Uterus Endometrium and Expression of the Eggshell-related Genes according to Hen Age)

  • 박지애;조은정;박정연;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9-28
    • /
    • 2017
  • 계란의 난각은 닭의 자궁에서 형성되는 복잡하고 고도화된 다층 석회화 구조이다. 본 연구는 닭의 산란연령에 따른 자궁내막조직의 변화 양상과 난각 형성에 관여하는 주요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을 고찰하였다. 난각 형성과 관련하여 난각 단백질과 관련한 OCX-32, OCX-36, OC-17, OC-116 유전자와 난각 이온과 관련한 CALB1, SPP1, SCNN1G, ATP2A2, CA2, CALM1 유전자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궁내막조직의 현미경적 관찰 결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궁 섬모상피세포의 탈락 및 세포의 위축과 섬유화 진행양상이 심화되었다. 그러나 연령 증가에 따른 혈중 이온성분의 농도차이는 없었다. 자궁내막 상피세포의 텔로미어 함량 분석 결과, 산란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텔로미어 함유율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난각 형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량은 산란연령에 따라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일부 난각 단백질 관련 유전자의 발현량은 산란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양상을 보였으나, 이들 유전자들 간의 상호 관련성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난각 형성 이온 관련 유전자인 ATP2A2, SCNN1G, CA2, CALM1 유전자 간에는 상호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난각 단백질 관련 OCX-32 및 OCX-36 유전자는 대부분의 이온 관련 유전자들과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OCX-32, OCX-36, CALB-1, ATP2A2, SCNN1G, CA2 및 CALM1유전자들이 난각 형성에 상호 협력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작용한다. 결론적으로 산란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궁내막세포의 손상이 일어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인 난각을 형성할 수 있는 이유는 난각 단백질 및 난각 형성 이온 관련 일부 유전자들이 발현을 조절하여 난각 형성의 항상성 유지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Egg Quality Indicators in the Early Phase of Hy-Line Brown Laying Hens

  • Jang, Eunhye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53-60
    • /
    • 2022
  • 계란의 내부 및 외부의 품질을 나타내는 요소들 사이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할란 검사를 통하지 않고도 계란 품질을 예측하는데 적합한 지표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케이지 계사에서 사육 중인 27주령의 하이라인 브라운 산란계 동일 계군이 같은 날에 산란한 180개의 계란을 수집하였다. 분석 항목으로는 호우유닛, 농후난백높이, 파각 강도, 난각 두께, 난각 색(CIE L*, CIE a*, CIE b*, 반사율), 계란의 중량, 계란의 장경, 계란의 폭, 난형 지수 및 난황색 등 총 13가지의 지표를 조사하였다. 피어슨 상관 계수(r)를 이용하여, 각 품질 지표 사이의 선형 관계성을 평가하였다. 호우유닛과 농후난백높이, 난각색 CIE L*값과 반사율, 그리고 계란 중량과 계란의 폭 사이에서 매우 강한 정의 상관 관계가 분석되었다(r=0.975, r=0.973, r=0.814, P<0.001). 계란의 중량과 계란의 장경, 난각색 CIE L*값과 난각색 CIE a*값, 난각색 CIE a*값와 반사율, 그리고 난형 지수와 계란의 장경 사이에는 높은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r=0.703, r=-0.726, r=-0.681, r=-0.681, P<0.001). 난각의 파각 강도와 난각의 두께, 난각색 CIE a*값과 난각색 CIE b*, 난형 지수와 계란의 폭 사이에는 중간 정도의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r = 0.417, r = 0.590, r = 0.405, P<0.001). 난각색 CIE a*값은 호우유닛, 농후난백높이와 약한 정의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r=0.217, r=0.202, P<0.01), 난각색 CIE L*값과 파각 강도 사이에는 약한 부의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r=-0.236, P<0.01). 난각색 CIE b*값은 난각 두께와 약한 부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난각색 반사율은 파각 강도 및 난각 두께와 약한 부의 상관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0.225, r=-0.249, r=-0.222, P<0.01). 그 외 나머지 품질 지표들 간의 상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거나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색란의 난각색은 반사율만으로 표현하는 것 보다, CIE L*값, CIE a*값과 CIE b*값을 함께 적용했을 때 갈색의 정도를 더 구체적으로 표현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갈색란의 난각색 CIE L*a*b*값은 계란의 품질 지표인 호우유닛, 농후난백높이, 난각의 파각 강도와 두께를 간접적으로 예측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폐난각과 미세조류를 이용한 산성광산배수처리 (Treatment of Acid Mine Drainage using Eggshells and Microalgae)

  • 최희정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47-652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eavy metal removal and biomass productivity in the Acid Mine Drainage (AMD) using eggshell and microalgae. The experiment was operated 6 days in the eggshell and microalgae hybrid system, and using eggshell powder and microalgae as Chlorella vulgaris. The obtained result indicated that the biomass productivity of 2.82 g/L/d from 1.12 g/L initial concentration in 6 days was reached with light transmittance of 97% at a 305 mm depth in the optical panel photobioreactor (OPPBR). The total removal efficiency of Fe, Cu, Zn, Mn and Cd was found to be 98.92%, 99.91%, 98.78%, 88.99% and 98.00% in the AMD using eggshell and Chlorella vulgaris hybrid system,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biomass and concentration of each heavy metal ($R^2$ = 0.8771, 0.8643, 0.8669, 0.9134 and 0.6277 for Fe, Cu, Zn, Mn and C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ggshell and microalgae hybrid system was highly effective for heavy metal removal whe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iological process in the AMD. Therefore, the eggshell and microalgae hybrid system was effective for heavy metal removal and biomass productivity and can be applied to treat AMD in treatment plant.

Microarray Analysis of Genes Involved with Shell Strength in Layer Shell Gland at the Early Stage of Active Calcification

  • Liu, Zhangguo;Zheng, Qi;Zhang, Xueyu;Lu, Lizh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5호
    • /
    • pp.609-624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ge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ow genes in chicken shell gland modulate eggshell strength at the early stage of active calcification. Four 32-week old of purebred Xianju hens with consistent high or low shell breakage strength were grouped into two pairs. Using Affymetrix Chicken Array, a whole-transcriptome analysis was performed on hen's shell gland at 9 h post oviposition. Gene ontology enrichment analysis for differentially expressed (DE) transcripts was performed using the web-based GOEAST, and the validation of DE-transcripts was tested by qRT-PCR. 1,195 DE-transcripts, corresponding to 941 unique genes were identified in hens with strong eggshell compared to weak shell hens. According to gene ontology annotations, there are 77 DE-transcripts encoding ion transporters and secreted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and at least 26 DE-transcripts related to carbohydrate metabolism or post-translation glycosylation modification; furthermore, there are 88 signaling DE-transcripts. GO term enrichment analysis suggests that some DE-transcripts mediate reproductive hormones or neurotransmitters to affect eggshell quality through a complex suite of biophysical processes. These results reveal some candidate genes involved with eggshell strength at the early stage of active calcification which may facilitate our understanding of regulating mechanisms of eggshell quality.

난각을 이용한 폐수중의 인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osphorus Removal from Wastewater by Eggshell)

  • 김민수;강선홍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74-180
    • /
    • 2004
  • This study is a fundamental research to test the applicability of abandoned eggshell as seed material for crystallization reaction. Eggshell was calcinated at $850^{\circ}C$ and ground to lesser than 0.42mm. The calcination characteristics of eggshell were examined by X-ray diffraction (XRD). The effect of initial calcium concentration, alkalinity, reaction temperature condition, seed dosage were studied by batch test. For the low concentration sample(P concentration is under 50mg/L), more than 90% of P can be removed. The effect of initial calcium concentration(0~120mg/L) was performed. At the result of the test, more than 50mg/L calcium concentration has high removal efficiency. Alkalinity effect was studied for synthetic solution(100mg/L initial P, 50mg/L calcium, 0.025% seed dosage) with 0~300mg/L bicarbonate alkalinities. For synthetic solution(100mg/L initial P, 50mg/L calcium, 100mg/L bicarbonate alkalinity, 0.025% seed dosage), the phosphorus concentration was examined with $10{\sim}35^{\circ}C$. In addition, calcinated eggshell was injected to swine wastewater to test the applicability to actual wastewater.

산란계 사료 내 비타민 D3 첨가에 따른 난각품질과 계란내 비타민D3 함량에 관한 농장조사 (Farm Survey on Eggshell Quality and Egg Vitamin D3 Contents in Laying Hens Fed Vitamin D3-enriched Diets)

  • 조동해;권병연;김다혜;이경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73-80
    • /
    • 2023
  • 비타민 D3는 난각 형성에 필요한 칼슘의 흡수와 대사에 필수적일 뿐 아니라 칼슘과 인의 대사를 조절하여 뼈 건강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건강한 면역체계를 유지하는 영양소이다. 계란과 관련된 비타민 D3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산란계 농장에서 수행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비타민 D3 강화계란을 생산하는 산란계 농가에서 생산되는 계란의 난각 품질과 계란 내 비타민 D3 함량을 분석하고자 농가 조사를 수행하였다. 산란계 4개 농가를 선정하여 16,500 IU 및 29,000 IU 함유한 사료 급여 전과 후에 계란을 수거하여 난각 품질과 계란내 비타민 D3 함량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비타민 D3 첨가는 난각두께를 개선하는 효과는 있었으나, 난각색과 난각강도에는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산란계 사료내 비타민 D3를 첨가하면 계란 내 비타민 D3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과적으로 산란계 농가에서 사료 내비타민 D3를 추가로 공급한다면 난각 품질의 개선과 비타민 D3 강화계란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더 많은 산란계 농가에서 사료와 계란 내 비타민 D3 함량에 대한 추가 조사를 진행한다면 계란 내 비타민 D3 함량을 추정할 수 있는 회귀식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난각칼슘의 제조 조건 및 유기산이 칼슘의 이온화에 미치는 영향 (Preparation of Calcium Powder from Eggshell and Use of Organic Acids for Enhancement of Calcium Ionization)

  • 신형순;김공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6호
    • /
    • pp.531-535
    • /
    • 1997
  • 폐기물로 버려지고 있는 난각에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는 칼슘을 효율적으로 회수하고, 이온화 정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조사하였다. Ball mill을 이용해 난각을 분쇄해 물속에서 비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난각분을 얻었고, 회전속도 30 rpm, 체류시간 30분, volume fraction 0.08에서 가장 높은 난막 제거 효과를 보였다. 난각분을 전기로에서 회화시켜 얻은 난각칼슘분의 백색도를 측정해 L값이 90이상에 도달하는 시간은 전기로 온도 850, 900, $1000^{\circ}C$에서 각각 14, 9, 3시간이 소요 되었으며, 난각칼슘분의 Hausner ratio는 1.43으로 조사되었다. 난각칼슘분은 물, 초산, 구연산, 젖산$(0.05{\sim}3%)$ 용액에서 각각 990, 3500, 3900, 4200 ppm의 이온화 정도를 나타내었다. Calcium-citrate-malate complex(CCM), calcium-citric acid complex(CC), calcium-malic acid complex(CM)는 물에서 이온화 정도가 난각칼슘분에 비해 약 4-5배 증가 하였다.

  • PDF

RELATIONSHIPS BETWEEN EGGSHELL QUALITY AND BIOCHEMICAL PARAMETERS OF CALCIUM METABOLISM

  • Kang, C.W.;Nam, K.T.;Olson, O.E.;Carlson, C.W.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9권6호
    • /
    • pp.715-722
    • /
    • 1996
  • To determine relationships of biochemical parameters involved in Ca metabolism with eggshell quality, serum Ca level, duodenal and uterine calcium binding protein (CaBP) and uterine carbonic anhydrase (CA) activities were measured using 102-week old hens. Three groups of chickens were selected, those showing high quality (HQ) and low quality (LQ) eggshells and non-laying activity (NE). NE hens exhibited significantly (p < 0.05) lower serum Ca levels than laying hens. HQ and LQ hens were not different in the Ca level, indicating that serum Ca level was not good indicator of hen's ability to produce different quality eggshells. Duodenal CaBPs was highest in HQ and lowest in NE (p < 0.10). Uterine CaBPs of LQ and NE were not different and lower significantly (p<0.10) than that of HQ, suggesting that CaBP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eggshell quality. Uterine CA activities of the three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1) ; highest in HQ and lowest in NE, suggesting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CA and Eggshell quality.

Effects of Dietary Calcium Levels on Productive Performance, Eggshell Quality and Overall Calcium Status in Aged Laying Hens

  • An, S.H.;Kim, D.W.;An, B.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10호
    • /
    • pp.1477-1482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s with varying levels of calcium on egg production, shell quality and overall calcium status in aged laying hens. A total of five hundred 70-wk-old Hy-Line Brown layers were divided five groups and fed one of the five experimental diets with 3.5%, 3.8%, 4.1%, 4.4%, or 4.7% Ca, for 10 week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ed intake, egg production and egg weight among groups. The cracked eggs were linearly reduced as dietary Ca levels increased to 4.7% (p<0.01). A significant linear improvement for eggshell strength and thickness were determined with increasing dietary Ca levels (p<0.01). The contents of serum Ca and phosphorus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Ca levels. With increase in dietary Ca levels, the tibial breaking strength slightly increas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ibial contents of ash, Ca and phosphorus among groups. In conclusion, eggshell quality, as measured by appearance, strength and thickness of eggshell, were influenced by dietary Ca content as expected (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ged laying hens require relatively higher level of Ca than required levels from current Korean feeding standards for poultry.

Removal of Heavy Metals(Pb, Cr) Using Waste Eggshell

  • Park, Heung-Jai;Bong, Sang-Hun;Jeong, Seong-Ug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5년도 국제학술대회
    • /
    • pp.386-393
    • /
    • 2005
  • The calcination characteristic of waste eggshell were examined by thermal gravimetric analysis (TG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by X-ray fluorescence, and microstructural analysis by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y(SEM). The calcined sample was lager grain and pore siz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