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employment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31초

노인의 취업성향에 관한 연구 -취업노인과 비취업노인의 비교- (A Study on the Tendency to Employment of Elderly)

  • 이영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85-29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pecific ways to invigorate the employment of the elderly. To achieve this goal, attitude and information about elderly employment were required, and the groups divided based on them were fou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Attitudes toward employment of the elderly was considerably positive. Among the attitudes, the attitude toward employment-support was the most positive, and the attitude toward employment-motive was relatively less positive. 2. The extent the elderly possessed information about employment was comparatively limited, and quite a low score was shown in knowledge of employment-information of the elderly, which means the elderly are not exposed to the ways to get employed. 3. The groups were divided in four type: passive-stagnation, positive-adjustment, lack of information-work oriented, retirement oriented. Of the employed, the positive-adjustment were the most and the passive-stagnation were the least, while the lack of information-work oriented were the most and the retirement oriented were the least of the unemployed. The result that the lack of information-work oriented were the most of the unemployed shows the choice of unemployment was not an intended one.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Policy Suggestions for Senior Employment Promotion Programs for Improving Life Quality for the Elderly)

  • 박경순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9권4호
    • /
    • pp.1-17
    • /
    • 2015
  • This study is aimed to discover the deciding factors in senior employment program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The dependent variable used in this study was the quality of elderly persons. Personal and familial characteristics, and the community involvement of the elderly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encouraging the elderly to participate in a senior employment promotion program was previous experience of senior employment programs. Second, health condition, residence in city areas, experience of volunteer work, and knowledge of senior employment program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men and women. However, living arrangements had an effect solely on elderly men, and home ownership and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had effects solely on elderly women. Third, the life quality of the elderly was affected differently by sex. Health condition had the greatest effect on male elderly persons, whereas, the effective variable, the composition of the family had the most effect on female elderly persons. Thus, active campaigns through various mass media and information sessions are needed to promote participation in senior employment programs, according to the above mentioned deciding factors. In particular infrastructure providing the elderly with more volunteer work opportunity needs to be built for baby boomer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In addition, diversified senior employment programs are needed. Because the elderly living in city areas are more willing to participate in senior employment programs, specialized programs suitable for the elderly in city areas are needed. The government should also prepare programs that help the elderly stay healthy while they are working.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사회적 자본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to the Change of Social Capital from Participation in Elderly Employment Programs)

  • 장유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2호
    • /
    • pp.261-289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의 사회적 자본 변화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규명하여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을 사회적 자본 변화를 통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 중 사회적 자본이 변화하였을 때, 사회적 자본의 변화를 유형별로 나누어 참여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노인일자리사업 특성을 변화유형별로 비교해 보았다. 이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노인 삶을 변화시키는데 직 간접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실증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 중 사회적 자본이 변화하였을 때, 생활상의 어려움에 있는 노인층에서 사회적 자본 중 신뢰, 관계망, 사회참여가 모두 증가하였고,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생활상의 어려움을 가진 노인층에게 사회적 자본 증가의 효과를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들 사회적 자본 중 노인 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은 신뢰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특히 생활상의 어려움에 있는 노인층과 생계비를 벌기 위해 참여한 노인층에서 사회적 자본 중 신뢰, 관계망, 사회참여가 모두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으며, 노인일자리사업이 생활상의 어려움을 가진 노인층에게 사회적 자본 변화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일자리유형에서 사회참여는 상승하였고, 생계를 위해서 참여한 노인층이나 생활상의 어려움이 있는 노인층에서 특히 사회참여가 증가하였다. 짧은 참여기간 동안의 조사로 나타난 결과이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 노인의 노동참여를 통한 사회참여는 보호적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 PDF

고연령층 고용변동이 청년층 고용에 미치는 효과: 사업체패널 자료를 이용한 분석 (The Impacts of Changes in Elderly Employment on Youth Employment in Korea: Evidences from an Establishment-level Panel Data)

  • 김준영
    • 노동경제논집
    • /
    • 제34권1호
    • /
    • pp.71-101
    • /
    • 2011
  • 본 연구는 고용보험 DB를 이용하여 구축한 사업체패널 자료(2000~2009년)를 이용하여 고연령층의 고용변화가 청년층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사업체 수준에서 (1) 고령근로자의 비중 증가가 청년층 고용에 미치는 영향과 (2) 고연령층 고용과 청년층 고용 간의 일자리 경합 여부를 실증분석한다. 사업체패널 전체를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에서 고연령층의 고용 증가와 노동력 고령화가 청년층 고용 감소를 동반한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분석 결과가 하부 표본별 추정에서는 일관되게 관찰되지 않는다.

  • PDF

취업 여부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ployment Status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 남혜경;이윤정;허정이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92-504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ployment of elderly over 65 years on elderly depression using the "Nation Elderly Survey 2014". Methods: The subjects were 10,451 elderly aged 65 or older who were selected from 16 cities and provinces via multilevel stratified sampling method. In an effort to represent well the nation's elderly population, composite sample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the study, and a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ose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Results: The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were education level, household income, Perceived health status, smoking, drinking, physical activity, body mass index and employment status. It was found that the unemployed persons were 1.68 times more likely to be depressed than those who remain employed. Conclusion: Where the average life expectancy is getting longer and the poverty rate of elderly is high, employment activities of the elderly are of great significance in terms of ensuring economic stability as well as in lowering medical expenses through reduction of depres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mployment rates of the elderly for economic, social and healthcare perspectives.

A Study on the Expansion of the Employment of the Elderly in Small Business: Focusing on the Opinions of Small Business Owners

  • YOO, Beong-Sun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5호
    • /
    • pp.35-44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lan to expand the employment of the elderly in Small business as one of the way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company due to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problem of the elderly pover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the researcher visited a small and medium-sized company directly and collected data by conducting an in-depth interview with a business owner. The interview period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5 business owners from November 5, 2013 to November 18, 2013. Results: First, the reason why companies hire the elderly is because they are suitable people, and the reason why they are not employed is because the elderly are not suitabl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ost recruiting paths continued to work after retirement. Third, the strengths of the elderly in their businesses were diligence, integrity, leadership, wisdom, warmth, and skill. Disadvantages the elderly in their businesses include wanting to be treated as an adult, poor productivity, poor accuracy, and health risks. Fourth, in case of hiring the elderly, they were considering convergence with young employees, and it was suggested that there are no difficulties in being an elderly because the companies hiring the elderly use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Fifth, It is realistic to actively utilize the employment system after retirement. Sixth, it was found that, unlike young people, it is not easy to recruit people on the Internet,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Lastly, some industries clearly distinguished between the jobs of the elderly and the jobs of the young, but in many industries, it was desirable to create jobs for the elderly by harmonizing the main and secondary jobs. Conclusion: Ultimately, the work of the elderly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hould be reborn as a high-quality job that can solve the poverty of the elderly by working as a regular worker in the enterprise, rather than simply working for the elderly.

장애노인 고용특성 및 취업 영향요인 -1인가구와 다인가구 비교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and Factors Affecting on the Employment of Elderly with Disabilities -A Comparison of On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 박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387-393
    • /
    • 2019
  • 본 연구는 장애노인 고용특성을 살펴보고 취업 영향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2차웨이브 1차 장애인 고용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대상 장애노인은 452명이다. 통계분석은 기술통계, 카이스퀘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노인 취업집단은 미취업집단에 비해 경증장애,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 자격증이 있는 경우, 공공취업서비스 경험이 없는 경우, 유배우자인 경우, 비수급자인 경우, 가구소득이 높은 경우가 많았다. 둘째, 장애노인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 요인은 공공취업서비스 경험(p<.01), 가구소득(p<.01)이고, 다인가구 장애노인 취업 영향요인은 장애수용(p<.05), 1인가구 장애노인 취업 영향요인은 기초생활보장수급(p<.05)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노인의 취업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준고령자의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지속성 요인 (Factors on Continuing Participation in the Eldrly Employment Program with the Semi-Elderly)

  • 김제선;김선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718-728
    • /
    • 2016
  • 본 연구는 60세 이상 65세 미만의 준고령자들이 노동시장에서 은퇴한 이후 노인일자리사업에 얼마나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그러한 참여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은퇴를 앞둔 준고령자의 일자리 창출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의 '새누리 시스템'의 원자료(Raw Data)를 변환하여 2차 자료 분석을 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13,370명이었으며, SPSS 18.0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평균분석, 상관관계 및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존의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했던 준고령자 중 1년 동안 270일 이상을 지속적으로 참여한 비율은 41.2%이었고, 참여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급여액이었다. 그 외에 일자리 참여동기 및 일자리 유형 등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노동 시장에서 본격적으로 은퇴를 하는 준고령자들의 소득 확보와 노인일자리사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노인 채용 관련 필요한 지원서비스 유형과 채용계획 결정요인 (Types of Support Services needed for hiring the Elderly and the Determinants of Elderly Employment Plan)

  • 정규형;신지민;박은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87-294
    • /
    • 2021
  • 연구는 노인채용 관련 필요한 지원서비스를 유형화하고, 노인채용 관련 필요한 지원서비스 유형과 노인채용계획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A구 상공인과 소상공인 182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채용 계획 확률을 높이는 요인이 종사자 수와 노인 인력 여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노인채용 관련 '필요 지원서비스 고수준 집단'이 타 집단보다 노인 채용 계획이 있을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민간 사업체가 노인 인력 채용 시에 필요한 정부의 지원 방향 관련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만족도와 참여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공공분야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The Satisfaction of Employment Promotion and the Intension of Participation Continuity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Intension of the Participants of the Public Sector Employment Promotion Program)

  • 김진욱;손지윤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295-1311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 실태조사 원자료(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07)를 활용하여, 공공부문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노인의 참여만족도, 참여지속의사, 그리고 참여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공공부문 일자리사업 참여노인들의 참여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었지만, 보수 수준에 대한 만족도는 높지 않았다. 둘째, 공익형에 비하여, 교육형이나 복지형 사업에 참여한 노인들의 만족도가 더 높았고, 참여지속의사도 더 강하게 표출되었다. 셋째, 교육수준이 높고, 경제적 형편이 양호하며, 참여만족도가 높을수록 참여를 지속하겠다는 의사를 표현할 확률이 높았고, 공익형에 비하여 교육형과 복지형에 참여한 것이 참여지속의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노인 일자리사업의 발전방향으로서 노인들의 참여 동기 파악, 보수 수준 인상 및 참여기간의 연장, 공익형 일자리사업의 질 제고, 노인일자리 사업의 내용의 다양화, 자원봉사활동을 지원하는 관리운영체계의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