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icity system reform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5초

가정용 전기요금에 대한 소비자인식 (Consumer Perception of Domestic Electricity Prices)

  • 이성림;박명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7-47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1) consumer perception about the level of electricity price, (2) the amount of household electricity consumption, and (3) consumer perception on electricity pricing system reform. For data collection, a national wid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November 22 and December 15, 2006. Excluding 233 cases, because of incomplete responses, data from 1767 households were analyz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More than 50% of the respondents consumed between 100-300kWh of electricity per month. Household size and incom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lectricity consumption. Approximately 50% of respondents perceived that electricity was being overcharged. Approximately 50% of the respondents positively evaluated the effects of the graduation pricing system. Households consuming more than 300kWh of electricity per month preferred a flat unit price.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e implications to reforming the electricity pricing system.

일본 전력시스템개혁에 따른 지능형 사업 발전과 도전과제 (New Businesses and Challenges related to Japan's Electricity System Reform)

  • 박찬국;김양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1-9
    • /
    • 2015
  • 일본 정부는 안정적 전력공급, 전기요금 인상 억제, 소비자 선택권 확대를 위해 3단계에 걸쳐 전력시스템개혁 단행하고 있다. 단계별로 추진될 개혁안 내용은 1단계 광역 계통운영기관 설립, 2단계 전기소매업 참여 전면 자유화, 3단계 송배전부문의 법적 분리로 요약된다. 일본의 전력시스템 개혁은 새로운 지능형 융합 사업들을 촉진함과 동시에 전력사업 참여 기업들의 경쟁구도 역시 변화시킨다. 그러나 전력시스템 개혁이 원활히 이루어지려면 전력시스템개혁과 관련한 과제들을 함께 해결해가야 한다. 국내에서도 에너지와 정보통신의 융합을 기반으로 한 여러 형태의 신산업 육성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일본과 비교하여 같은 종류의 신산업이 있다면 기간이 경과하면서 두 국가의 해당 산업 발달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상호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Clustering non-stationary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data

  • Kang, Donghyun;Lim, Yaeji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9권2호
    • /
    • pp.225-238
    • /
    • 202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clustering method for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data in Korea. As AMI data presents non-stationarity, we consider time-dependent frequency domain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which is a proper method for locally stationary time series data. We develop a new clustering method based on time-varying eigenvectors, and our method provides a meaningful result that is different from the clustering results obtained by employing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K-means and K-centres functional clustering. Simulation study demonstrates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approach. We further apply the clustering results to the evaluation of the electricity price system in South Korea, and validate the reform of the progressive electricity tariff system.

폐기물유래 촉매를 이용한 타르 개질에 관한 연구 (Study on Tar Reforming by Using the Catalyst Derived from Wastes)

  • 성호진;남성방;박영수;구재회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2014년도 제49회 KOSCO SYMPOSIUM 초록집
    • /
    • pp.267-270
    • /
    • 2014
  • Since contaminants of syngas obtained from the biomass gasification are removed, the syngas is clean fuel. In this study a high-efficiency energy production system is developed. The system produces electricity using a waste pressure and feeds a low-pressure steam to Dyeing industrial complex. Also, iron oxide derived from dyeing sludge is utilized as a self-catalyst to reform a tar and reduce a tar emission from gasifier. This system increases the amount of syngas and finally achieves a highly efficient gasification.

  • PDF

초고층 건물 커미셔닝에 따른 에너지 절감 효과 예측 (Prediction of Energy Saving Effects by Commissioning of High-Rise Building)

  • 조현;김효준;류성룡;조영흠
    • 한국지열·수열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30-35
    • /
    • 2018
  • In this study, the energy commissioning was conducted for high-rise buildings(manual control). First of all, we conducted monitoring the energy use of buildings (electricity, heating, etc.), a commissioning improvement (automatic control) was proposed for each system. In addition, energy simulation was conducted to predict the effectiveness of the reform measures. As a result, terminal units control the greatest energy saving effect, If we applied all the improvements, we could save about 20% less than traditional energy usage, and it turned out that $CO_2$ emissions were reduced by about 19% when converted to $CO_2$.

신뢰도 측면에서 본 배전계통 최적투자 우선순위 결정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 most suitable investment precedence decision aspect of the reliability side)

  • 이희태;김재철;문종필;박현택;박창호;박상만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384-386
    • /
    • 2003
  • Striking in change that present our country is much by electricity industry reform and th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is deciding power distribution system reliability indices every year but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reliability evaluation and establishment of investment program are consisting punily. If consider efficient inflection of resources and hereafter power distribution division that is limited for target achievement of schedule level service evaluation and reliability side in operation of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can expect efficient practical use of the power distribution property if gains in electrical side about these change and most suitable investment way consist because there is necessity of electric power plan establishment of area electric power distribution place of business unit. This paper consider proper reliability level and maximum effect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to gain electrical gains of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in reliability side depending on trend DB(Data Base) of data of electric power system composition appliance in this treatise and apply data administration and reliability rate analysis that serve to decide most suitable investment precedence to supply of electric power property to power distribution system present investment algorithm.

  • PDF

전력시장에서의 적정 운영예비력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eration Standards for Optimal Operating Reserve in Electricity Market)

  • 류성호;이강완;김광원;황갑주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력기술부문A
    • /
    • 제52권5호
    • /
    • pp.287-293
    • /
    • 2003
  • The deregulation and structural reform of power markets have started from the early 90s, which has brought about new studies on the new environment. Regardless the market structure, however, power systems need to be operated and planned in a stable and reliable manner. Therefore, decisions on proper amount of operating reserves and their reliable operations are very important. Up to now, the decision processes of operating reserves depend mainly on experiences of operators in Korea. When Korean power market comes under private management, operating reserves would influence power rate as well as power Quality, Therefore, it is time to prepare reasonable operating reserve standards in a systematic way for the new environment. This study suggests the proper operating reserve standards considering rules of the power market in Korea. To verify the adequacy of the proposed standards, stability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ower system are analyzed as well.

전력계통 모의를 통한 에너지세제 개편의 전력가격 및 조세수입에 대한 영향 연구 (Impacts of Energy Tax Reform on Electricity Prices and Tax Revenues by Power System Simulation)

  • 김윤경;박광수;조성진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4권3호
    • /
    • pp.573-605
    • /
    • 2015
  • 본 논문은 2014년 7월과 2015년 7월부터 시행된 발전용 유연탄 과세와 LNG 세율 변경을 중심으로 세제 개편의 시나리오들을 설정하여 2029년까지의 SMP, 정산단가, 조세수입에 대한 영향을 추정하고, 시나리오 1(기준시나리오)의 값들과 비교하였다. 추정에서는 우리나라의 전력계통과 전력시장 운용방식에 특화한 모형과 전력수급기본계획 등의 정부 계획자료를 이용하여 전력계통 모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발전용 유연탄에 과세하고 조세중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LNG에 대해서도 과세하는 경우에 단기에 SMP는 시나리오 1의 경우에 비해서 낮아진다. 원자력발전의 경우는 과세를 하여도 발전비용이 다른 발전원의 발전비용보다 작고, 원자력발전이 SMP를 결정하는 시간대가 거의 없기 때문에 과세가 SMP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 따라서 SMP와 정산단가의 동조화관계가 성립한다면, 단기에 발전용 유연탄에 대한 과세로 에너지소비의 전력화현상을 둔화시키기는 어렵다. 그러나 중 장기에는 석탄발전설비가 충분히 확보되면 발전용 유연탄에 대한 과세는 SMP를 상승시키므로 세제 개편의 형태가 단기에 발전용 유연탄에만 과세하고 신규 유연탄 발전설비가 충분히 도입된 이후에 LNG에 대한 세율을 조정하면 에너지세제 개편으로 전기요금을 인상시켜서 전력수요를 감소시키려는 목적은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중 장기에는 발전설비의 확충으로 LNG복합발전기의 이용률이 낮아지므로 LNG에 대한 세율이 정산단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원자력발전에 대한 과세는 SMP에 대한 영향과는 달리 정산조정계수의 영향으로 정산단가를 상승시켰다. 중 장기에 에너지세제가 갖는 순효과는 전력공급력의 확대에 따른 정산단가 하락이 에너지세제 부과에 따른 정산단가 상승을 상쇄시키는 정도에 따라서 달라질 것이다. 과세대상 중에서 원자력발전의 경우에 과세하는 경우에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조세수입이 가장 컸다. 에너지세제의 형태와 조세수입의 관계를 보면 발전용 유연탄에 대한 세율이 높을수록, 그리고 원자력발전에 신규로 조세를 부과할수록 조세수입은 커진다.

우리나라 전력부문의 환경유해보조금 개편 효과분석 : 산업용 교차보조금 개편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Effect of Korea's Environmentally Harmful Subsidy Reform in the Electric Power Sector : Mainly on its Industrial Cross-subsidies Reform)

  • 강만옥;황욱
    • 환경정책연구
    • /
    • 제9권1호
    • /
    • pp.57-81
    • /
    • 2010
  • 고유가 시대인 현실에서 우리나라는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저탄소 녹색성장이 가능한 경제사회 구조로의 전환이 시급하다. 현재 화석연료 사용과 관련된 보조금 개편은 환경에 유해한 투입요소에 대한 보조금을 감축 또는 제거하여 경제적 효율성을 제고하고 환경 피해를 완화시켜 사회 전체적으로 편익을 가져올 수 있는 Win-Win 효과가 기대되는 정책방안이다. 특히, 우리나라 전력부문에서 시행되는 보조금 제도 중에서 산업용, 농업용 및 심야전력에 대한 교차보조금의 경우, 전체 전력부문 보조금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가장 큰 규모인데 본 논문은 전력부문 환경유해보조금 가운데 가장 큰 비중(연간 약 1조 6,583억원)을 차지하는 교차보조금 제도 중에서 산업용 전기의 환경유해보조금 개편 시 기대될 수 있는 파급효과를 가격탄력성 추정을 통해 파악하였다. 가격탄력성 추정에는 ARDL(자기회귀시차분포) 모형을 이용하였고, 기본 데이터는 1990년부터 2007년까지의 분기별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환경유해보조금 제거로 산업용 전력에 대한 연간 에너지 수요변화량은 -12,475,930MWh만큼 사용량이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경우를 보면 연간 2,644,897톤이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보조금 폐지가 이산화탄소 저감에 상당한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U에서 제시한 오염물질 단위당 환경오염비용을 이용하여 배출저감량을 금액으로 환산하면 산업용 전력보조금 제거로 연간 약 1조 1,914억원의 환경개선편익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산화탄소의 경우 톤당 25유로를 적용하여 계산하면 산업용 전력보조금 제거로 연간 약 1,062억원의 환경개선편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다중 물 분사 노즐이 장착된 감온밸브의 해석 연구 (An Analysis Study on Desuperheater valve attachment on Multi Water Spray Nozzles)

  • 이덕구;조행훈;조남철;이채문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4-79
    • /
    • 2009
  •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and plant facilities have been attempting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with many efforts as those being basis of our country's economy. In particular, the CHP(Combined Heat Power plant) system, is producing the electricity and process steam, has generally been using for the cogeneration plants. When CHP system operates, the steam has to maintain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n order to have high efficiency of electric power production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the exhausted steam from the turbine has to reform proper temperature to use the needed process. The major purpose of desuperheater is that the superheated steam changes into the saturated steam because it is more efficient and suitable for using the process, furthermore, it is more convenient and stable regarding the process temperature control. The design of the desuperheater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 and preceding analysis. This paper is verified by analysis that water spray nozzle(${\Phi}$=28mm) shows the best ability under the real power plant condi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