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n beam curing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4초

In-mold Decoration 포일에 사용되는 경질 코팅 수지의 전자빔 경화 (Electron Beam Curing of Hard Coating Resin for In-mold Decoration Foils)

  • 심현석;윤덕우;김건석;이광희;이병철
    • 폴리머
    • /
    • 제35권2호
    • /
    • pp.141-145
    • /
    • 2011
  • In-mold decoration 포일의 경질 코팅 층에 사용하는 수지를 대상으로 전자빔(electron beam, EB) 경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료에 다른 양의 EB를 조사하고 경화 반응 정도를 Fourier transform infrared(FTIR) spectroscopy를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EB 조사선량 증가에 따른 코팅 물성의 변화를 표면 경도와 내마모성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또한 나노 입자 첨가가 코팅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얻은 실험적 결과는 자외선(ultraviolet, UV) 경화 시스템과 유사한 EB 경화 시스템의 상업적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전자선 영향 평가 (Characterization of Electron Beam Cured Epoxy Acrylate)

  • 신진욱;오병환;고금진;전준표;강필현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71-276
    • /
    • 2010
  • Epoxy resin has wide application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because of their good mechanical strength, superiority adhesion and low shrinkage etc. And the typical curing method for epoxy resins is thermal and press compaction. However, a curing method was used electron beam process in this study. Epoxy acrylate was fabricated from mixture of epoxy, acrylic acid, tetraphenylporphyrin (TPP) and hydroquinone monomethyl ether (MEHQ) with mole ratios. Then electron beam irradiation effect on the curing of the epoxy acrylate resin was investigated various absorption dose in nitrogen atmospheres at room temperature. The dynamic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irradiated epoxy acrylate resins were characterized using dynamic mechanical analysis (DMA) and 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And the tensile and flexural strength were measured by an universal tensile machine (UTM).

에폭시 수지의 전자선 및 열경화 특성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Electron-Beam and Thermal Curing Properties of Epoxy Resins)

  • 이재락;허건영;박수진
    • 폴리머
    • /
    • 제26권1호
    • /
    • pp.80-87
    • /
    • 2002
  • 전자선 및 열경화 방법을 사용한 에폭시 수지의 경화거동과 열안정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benzylquinoxalinium hexafluoroantimonate(BQH)가 에폭시 수지의 잠재성 양이온 촉매로서 사용되었다. 열중량분석(TGA)에 의하면, Coats-Redfern 방법에 기초한 분해활성화 에너지는 열경화 방법의 경우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열로 경화되어진 에폭시 수지의 높은 가교 밀도로 인해 열확산 속도가 느려졌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전자선 방법으로 경화되어진 에폭시 수지에서는 안정한 짧은 고리구조, 적분열분해온도, 그리고 높은 충격강도를 위한 최종적인 연성 특성을 향상시키는 수산화기의 증가가 근적외선 분광기(NIRS) 측정으로 관찰되었다.

Effect of Electron Beam and ${\gamma}$-Ray Irradiation on the Curing of Epoxy Resin

  • Kang, Phil-Hyun;Park, Jong-Seok;Nho, Young-Chang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0권6호
    • /
    • pp.332-338
    • /
    • 2002
  • The effect of an electron beam and ${\gamma}$-ray irradiation on the curing of epoxy resins was investigated.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DGEBA) and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F (DGEBF) as epoxy resin were used. The epoxy resins containing 1.0-3.() wt% of triarylsulphonium hexafluoroantimonate(TASHFA) and triarylsulphonium hexafluorophosphate(TASHFP) as initiator were irradiated under nitrogen at room temperature with different dosage of EB and ${\gamma}$-rays from a Co$^{60}$ u source. The chem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irradiated epoxy resins were compared after curing of EB and ${\gamma}$-ray irradiation. The thermal properties of cured epoxy were investigated using dynamic mechanical thermal analysis. The chemical structures of cured epoxy were characterized using near infrared spectroscopy.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flexural strength, modulus were measured. The gel fraction of DGEBA with ${\gamma}$-ra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epoxy with EB at the same dose. Young's modulus of the sample irradiated by ${\gamma}$-ray is higher than that of sample cured by EB. From the result of strain at yield, it was found that the epoxy cured by ${\gamma}$-ray had a higher stiff property compared with the irradiated by EB.

방사선 경화 비닐에스터 수지의 기계적 특성 연구 (Mechanical Properties of Radiation-Curing Vinyl Ester Resin)

  • 신범식;전준표;김현빈;강필현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9-23
    • /
    • 2010
  • Vinyl ester (VE) resins, introduced in the late 1960s, have made large strides in reinforced plastics applications as adhesive and matrix materials on their appropriate mechanica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in the glassy state. Generally, VE resins are a group of dimethacrylate resins based on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They exhibit easy handling properties as well as good resistance to most chemical agents due to their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curing methods of vinyl ester resins on gel contents, flexural strength and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rmal curing (room temperature, $80^{\circ}C$) and electron beam curing were used to crosslink a VE resin/styrene complex (65/35 wt%) with methyl ethyl ketone peroxide (MEKPO) as a catalyst and an 8 wt% cobalt naphthenate in styrene solution as a accelerator. For the samples, gel contents as well as flexural strength and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were characterized and compared by soxhlet apparatus,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and dynamic mechanical analysis (DMA). As a result, the electron-cured VE resin was confirmed as a better condition than those for gel contents, flexural strength and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respectively.

광투과성 지방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전자선 경화 특성 연구 (Curing Behaviors of Transparent Aliphatic Epoxy Acrylate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 박상율;손혜미;명동신;김명화;서영수
    • 폴리머
    • /
    • 제37권3호
    • /
    • pp.302-307
    • /
    • 2013
  • Glycerol diglycidyl ether와 acrylic acid를 반응하여 지방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였다. 반응 경과는 적외선 분광법, 라만 분광법과 $^1H$ NMR로 분석하였다. 합성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전자선 조사에 의한 경화거동을 조사하기 위해 전자선 조사량에 따른 시료의 분광 분석과 유리전이온도 분석, 인장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약 30 kGy 정도의 저조사량에서 충분한 경화가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합성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점도가 낮아 용매 사용 없이 코팅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경화 시편이 높은 광학적 투과도를 가지고 있어 광학적 투명도를 요구하는 전자선 경화형 광학필름 코팅용에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온빔 조사된 저온 소성 인듐 아연 산화막을 이용한 액정의 고속 스위칭 특성 연구 (Fast liquid crystal switching performance on indium zinc oxide films with low curing temperature via ion-beam irradiation)

  • 오병윤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904-909
    • /
    • 2019
  • $100^{\circ}C$에 소성한 인듐 아연 산화막 (IZO)을 이온빔 처리하여, 균일할 수평 액정 배향을 구현하였다. 유리 기판 위에 코팅된 IZO 박막을 $100^{\circ}C$에 소성하고 액정 배향 기술로 이온빔을 사용하였다. 이것을 이용하여 얻어진 액정 배향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편광 현미경과 결정 회전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이온빔 처리된 IZO 박막을 이용하여 만든 액정 셀이 높은 품질의 액정 소자에 충분한 열적 안정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전계방출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이온빔의 IZO 박막의 표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것을 통하여 이온빔이 IZO 박막 표면의 거칠기를 변화시키고, 액정 배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IZO 박막으로 제작한 액정 셀의 전기-광학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것이 기존에 사용되는 러빙법 처리된 폴리이미드 박막으로 제작한 액정 셀보다 뛰어난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액정 고정 에너지를 측정하여 이것이 균일한 액정 배향을 구현하기 위한 적합한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rgon 이온 레이저 중합에 의한 Composite resin의 물성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THE CHARACTERIZATION OF COMPOSITE RESIN POLYMERIZED BY THE USE OF AN ARGON ION LASER)

  • 조현경;이정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7권1호
    • /
    • pp.69-82
    • /
    • 1992
  •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light curing composite resin P-50 was performed, in which an argon ion laser beam was irradiated.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laser polymerized composite resin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compressive strength, diametral tensile strength, curing depth and microhardness depending upo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such as the laser irradiation time(10sec, 20sec, 30sec) and laser power(300mW, 500mW, 1000mW). These observations were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visible light curing technique. In addition, to evaluate the marginal adaptation, Class V cavity was prepared on the buccal or lingual surface of the extracted premolar and filled with P-50 light curing resin. The test samples were irradiated with both light sources so that the interface between the restoration and the tooth structure were observed un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most of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laser cured resin showed a remarkable improvement than those treated with the conventional light source, while the observations with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provid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two polymerized sources. From the results in the experiment it appears that the potential of an argon ion laser is of important value of the use in the polymerization of composite resin.

  • PDF

Epoxy-Methacrylate Prepolymer의 合成 및 그의 單位體 混合物의 電子線硬化 (Preparation of Epoxy-Methacrylate Prepolymer and Electron Beam Curing of Its Mixture with Monomers)

  • 변형직;박완빈;김기엽;최규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84-292
    • /
    • 1977
  • 메타크릴酸과 diglycidyl ether 型 低分子量의 에폭시樹脂로부터 에폭시樹脂의 dimethacrylate를 合成하였으며 이 prepolymer와 단위체인 스티렌 및 polyethyleneglycol dimethacrylate 混合物의 電子線硬化에 關하여 檢討하였다. 에스테르化反應은 메타크릴酸에 對하여 約 250∼300ppm以上의 hydroquinone과 $1{\%}$(wt) 以下의 triethanolamine의 添加로서 거의 定量的으로 進行되었다. 空氣中에서 행한 硬化에 있어서는 단위체 濃度10 ∼ $30{\%}$에서 最高의 겔分率을 나타내었으며 겔化速度는 prepolymer의 未反應 에폭시基와 酸의 存在에 의하여 減少되었고 polyethyleneglycol dimethacrylate內의 polyethyleneglycol의 重合度가 增加함에 따라 增加하였다. 窒氣中과 空氣中에서 겔化速度는 별다른 差異가 없었으나 生成物 性質의 差異로 보아 硬化時의 酸素의 影響은 상당히 컸으며 polyethyleneglycol dimethacrylate類를 단위체로 使用時는 더욱 그러하였다.

  • PDF

In-mold Decoration(IMD) 포일용 경질 코팅 수지 설계 및 전자빔 조사가 IMD 포일 구성층에 미치는 영향 (Design of Hard Coating Resin for In-mold Decoration (IMD) Foil and Effects of EB Irradiation on IMD Foil Layers)

  • 심현석;김건석;신지희;이광희
    • 폴리머
    • /
    • 제36권3호
    • /
    • pp.268-274
    • /
    • 2012
  •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알루미나 나노 입자의 표면을 처리하였다. 표면을 개질한 나노 입자를 in-mold decoration(IMD) 포일의 경질 코팅 층에 도입하여 표면 경도 및 내마모성을 중심으로 도막의 물성 변화를 평가하였다. 전자빔(electron beam, EB) 조사가 IMD 포일을 구성하는 color layer 및 anchor layer에 미치는 영향을 색도변화와 cross-cut tape 시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EB 조사 온도에 따른 경화 거동을 표면 물성 변화 평가 및 Fourier transform infrared(FTIR) spectroscopy 관찰을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EB 경화 공정의 실용화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